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

  • 유득공
  • |
  • 휴머니스트
  • |
  • 2010-06-14 출간
  • |
  • 287페이지
  • |
  • 153 X 224 X 20 mm /602g
  • |
  • ISBN 9788958623120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2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유득공은 열하와 북경에서 만난 아시아의 각국 인사들과 활발히 접촉하면서 주체적 시각으로 아시아를 조망하였다. 박지원이 산문을 통해 연행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면, 유득공은 한시를 통해 연행문학의 또 다른 경지를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 조선후기 대표 지식인 유득공,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쓰다

<이 책의 개요>


이 책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는 18세기 대표적 지식인 유득공이 1790년 건륭제의 80회 만수절을 맞아 조선에서 파견한 사절단의 일원으로 열하와 연경(북경)을 다녀온 후 쓴 연행록 《열하기행시주(熱河紀行詩註)》를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에서 옮기고 엮은 책이다.
유득공은 조선후기 정조 때의 북학파 문인으로서 빼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학자적 면모도 유감없이 발휘했던 인물이다. 그는 세 차례 중국 땅을 밟았는데, 첫 번째는 그의 나이 31세 때인 1778년, 두 번째는 1790년, 세 번째는 1801년이다. 《열하기행시주》는 바로 두 번째 사행(使行)인 1790년의 기록이다.
이 책은 가장 큰 특징은 기록의 형식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연행록이 일기체의 산문 형식인 것과 달리 《열하기행시주》는 시(詩) 형식으로, 총 49편의 7언절구(七言絶句)와 각 시편들에 대한 작자의 상세한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유득공은 이덕무·박제가·이서구와 함께 조선후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불렸을 만큼 시로써 이름을 드높였다. 《열하기행시주》는 평면적 산문 기록을 넘어 연행의 개인적 소회를 시로써 형상화한 점이 돋보이는데,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산문으로 연행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면, 유득공은 한시를 통해 연행문학의 또 다른 경지를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열하기행시주》에는 다른 연행록에는 없는 안남(安南 : 베트남), 남장(南掌 : 라오스), 면전(緬甸 : 미얀마) 등과 같이 아시아 여러 민족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실려 있어 그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더불어 18세기 조선의 지식인 유득공이 지닌 중국(청)과 아시아 여러 민족에 대한 역사 인식을 읽을 수 있다는 점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유득공은 규장각 검서로 있으면서 박학한 지식을 쌓아온 만큼, 연행의 내용이 다른 연행록에 비해 풍부하다. 특히 그의 시와 주석의 행간에서 아시아를 향한 열린 시각을 읽을 수 있다.
부록으로 《열하기행시주》의 원문, ‘1790년 사은사행 여정’, 당시 ‘유득공이 교유한 외국인들’에 대한 짤막한 소개글을 실었다. 특히 ‘사은사행 여정’은 1790년 사절단의 일행이었던 서호수의 《연행기》의 기록을 참조하여 작성한 것이다. 《열하기행시주》 역주본의 출간을 계기로 동일한 시기 쓰인 다른 여러 연행록과의 비교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역사적 통찰력으로 가득한 시와 주석

<자료적 가치 1>


《열하기행시주》은 7언절구 연작시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시들은 열하를 가기까지의 여정, 열하에서 만난 동아시아 제 민족에 대한 단상, 인물평 등을 주제어로 삼은 것들로, 이 함축적인 시 작품의 이해를 위해서 유득공은 시마다 상세한 ‘주석’을 덧붙이고 있다. 주석에는 열하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역사에 대한 고증, 그리고 작자의 견해를 펼치는 논설적 성격의 글로 가득하다. 유득공 하면 《발해고(渤海考)》와 《사군지(四郡志)》를 쓴 역사가의 이미지를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열하기행시주》에서도 바로 그러한 역사적 통찰력을 확인할 수 있다.

3. 아시아 여러 민족에 대한 생생한 기록과 열린 자세

<사료적 가치 2>


18세기에 박학(博學)으로 유명했던 성해응은 자신의 필기 《난실담총(蘭室譚叢)》에서 《열하기행시주》의 주석 내용을 발췌, 초록하였으며, 19세기 이규경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열하기행시주》를 활용하였다. 한중 문화교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 선구적 업적을 남긴 후지쓰카 지카시(藤塚?)는 조선시대 연행과 관련된 대표적 기록으로 《담헌연기(湛軒燕記)》, 《열하일기》와 함께 《열하기행시주》를 거론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황을 미루어 《열하기행시주》에 수록된 각종 정보가 당시에 매우 요긴한 것이었음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정보가 그러할까?
《열하기행시주》에 드러난 유득공의 행적과 관련하여 가장 인상적인 면모는 그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자세이다. 유득공은 서호수의 종관 신분이었던 만큼, 공식 외교업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그는 박제가와 함께 아시아 각국에서 모인 축하사절단 인사들과 자유롭게 만나며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그는 몽고(蒙古)와 회회(回回)의 제왕(諸王)들과 친해져 온갖 농담을 하며 못하는 말이 없을 정도였다. 또한 안남(安南 : 베트남), 남장(南掌 : 라오스), 면전(緬甸 : 미얀마) 사절단에 대한 기록과 묘사가 치밀하다. 한중 문화교류 현장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국 사신들과의 교류를 통해 아시아를 향한 열린 그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유득공은 당시 동아시아를 시야에 둔 거시적 안목을 지닌 학자였다.

4. 18세기 한중 문화교류의 생생한 보고(報告)

<사료적 가치 3>


최근 학계에서는 일국 중심적 역사 연구에서 벗어나 더 넓은 국제적 안목으로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일고 있다. 따라서 연행록과 일본통신사 관련 자료들을 통해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열하기행시주》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에는 중국의 학자들과 교류한 내용이 상세히 적혀 있는데, 조선에서의 일방적 요구가 아닌 청국 학자들 또한 교류를 원하고 있었고, 이런 교류가 일회적인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어, 당시 청조의 지식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고민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책속으로 추가>
장수옥의 이름은 도악(道渥)이고, 강소성 양주부 사람이다. (중략) 양봉 나빙의 처소에서 서로 보게 되었는데, 부채에 시를 써서 내게 주었다. (중략) 나와 차수를 청하여 가서 술을 마시려 하는데 양봉이 화를 내며 손님을 빼앗아 간다고 하자, 수옥 또한 성을 내어 그 자리에서 큰 싸움이 벌어졌다. 그래서 나는 그곳에 남고 차수가 떠나서 겨우 미봉이 되었다.
- 본문 <장수옥> 중에서(151쪽)

완원의 자는 백원(伯元)이니, 강소 의징(儀徵) 사람으로 한림편수(翰林編修)이다. 유환지의 자는 패순(佩循), 호는 신방(信芳), 산동 제성현(諸城縣) 사람으로, 한림검토(翰林檢討)이다. 내가 객관에 머물 때 두 사람이 함께 수레를 타고 와서 객관의 앞에 배회하였지만 누구도 맞아서 접대하는 사람이 없자 섭섭한 태도로 돌아가려 하였다. 내가 그들을 청하여 캉에 이르게 하여 함께 말을 해보니 모두 명망 있는 선비였다. 그들이 말하기를, “지난해 우리 모두 서길사(庶吉士)로 있으면서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신들과 서로 알고 지냈습니다. 지난해 왔던 사람이 어찌 한 사람도 오지 않았습니까?”라고 하여 내가 대답하기를, “꼭 다시 오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완백원의 저서 중에 《거제고기(車制考紀)》가 있는데, 대종백이 그 고증한 것이 정밀하고 자세하다고 자주 칭찬하였다는 것을 내가 열거하며 말하였더니 백원이 환한 얼굴로 좋아하였다. - 본문 <유환지ㆍ완원 두 태사> 중에서(159~160쪽)

목차

책을 펴내며
해제 - 1790년 유득공의 열하 여행과 《열하기행시주》
일러두기

서문
압록강鴨綠江
심양서원瀋陽書院
주류하周流河
신점新店
세하細河
의주義州
만자령蠻子嶺
조양현朝陽縣
라마구喇嘛溝
야불수夜不收
건창현建昌縣
평천주平泉州
홍석령紅石嶺
열하熱河
분장한 배우들의 연극扮戱
연회에 참석하다入宴
만주滿洲의 여러 왕諸王
몽고蒙古의 여러 왕諸王
회회回回의 여러 왕諸王
안남왕安南王
남장南掌의 사자使者
면전緬甸의 사자使者
대만臺灣의 생번生番
발발餑餑
시표時標
난평현灤平縣
고북구古北口
원명원圓明園
결채結綵
가산假山
서직문 밖에서西直門外
감달한堪達漢
산호수珊瑚樹
서산궁전西山宮殿
기효람紀曉嵐 대종백大宗伯
어사御史 반추루潘秋●
이묵장李墨莊·이부당李鳧塘 두 태사二太史
연성공衍聖公
나양봉羅兩峰
장수옥張水屋
오백암吳白菴
장복조莊復朝 중서中書
유환지劉鐶之·완원阮元 두 태사二太史
웅방수熊方受·장상지蔣祥墀 두 서상二庶常
철야정鐵冶亭 시랑侍郞
복건장군福建將軍
신점新店
심양瀋陽
봉성鳳城

열하기행시주 원문
1790년 사은사행 여정
유득공이 교유한 외국인들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의 자는 혜보(惠甫), 호는 영재(泠齋)·고운(古芸)이며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서족 출신으로, 20대부터 박지원을 중심으로 한 동인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북학파’ 또는 ‘이용후생학파’로 불린다. 정조의 지우를 입어 규장각 검서(檢書)로 발탁된 뒤, 제천·포천·양근 군수 및 풍천부사를 역임하는 등 내외직을 오가며 국고·문헌 정리사업에 이바지하였다. 시에도 뛰어나 이덕무·박제가·이서구와 함께 조선후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 역사에 관심이 많아 《발해고(渤海考)》를 편찬하였으며, 우리나라 옛 도읍지를 돌아보고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지었다. 연행을 세 차례 다녀왔는데, 1790년 열하를 다녀온 뒤에 《열하기행시주(熱河紀行詩註)》를 지었다. 이 작품에는 연행에서 보고 느낀 것들을 예리한 시선과 섬세한 필치로 형상화한 유득공의 빼어난 시들이 실려 있을 뿐 아니라, 화이론(華夷論)과 같은 중국중심주의에 매몰되지 않은 주체적 역사의식이 담겨 있어 여타의 연행록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받고 있다. 이외에도 《영재집》, 《사군지四郡志》,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경도잡지京都雜誌》, 《연대재유록燕臺再游錄》, 《병세집竝世集》, 《발합경》, 《삼한시기三韓詩紀》 등의 저술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