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덕혜옹주

덕혜옹주

  • 정명섭
  • |
  • 책우리
  • |
  • 2016-08-08 출간
  • |
  • 205페이지
  • |
  • 141 X 205 X 15 mm /327g
  • |
  • ISBN 9788993975161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만약 덕혜옹주가 태어난 조선 왕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큰 힘에 따르는 큰 책임)와 같은 모범적인 전통을 앞장서서 보여줬다면, ‘사회 지도층 인사’라고 불리는 인물들의 탈세와 병역 비리, 권력 남용 등은 눈에 띄게 적었을 겁니다. 하지만 덕혜옹주의 오라버니였던 영친왕 이은을 비롯한 왕실 사람들은 일본의 지배 체제에 편입된 채 부유하고 안락한 삶을 누립니다. 광복 후에는 자신의 삶을 우선하는 모습까지 보여서 조국에 큰 실망을 안깁니다. 결정타는 역시 마지막 왕손이자 영친왕 이은의 아들인 이구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런 일들이 겹치면서 우리 곁에서는 조선 왕실의 그림자가 차츰 사라져갑니다. 조국이 그들을 버린 것이 아니라, 그들이 조국을 버렸으니까요. _ ‘에필로그’ 중에서

덕혜옹주, 사라진 나라의 늦둥이 왕녀로 태어나…
중전, 즉 왕비가 낳은 공주와 달리 옹주는 후궁의 딸이다. 물론 아버지가 왕이니 그 또한 왕녀다. 왕녀와의 결혼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부마(왕의 사위) 개인과 그 가문의 영광이며,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심지어 영달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평강공주를 만난 ‘바보온달’처럼 말이다. 그러나 조선의 마지막 왕녀 덕혜옹주와 ‘쓰시마 섬 도주(島主)’였던 소 다케유키 백작의 결혼은 두 사람 모두에게 비극이 되었다. 특히 20세기의 여성이던 덕혜옹주에게는 그녀의 평생을 결박한 정신질환의 원인이기까지 했다.
덕혜옹주는 조선이 사라진 뒤 일본 왕실에 편입된 조선 왕실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만약 그녀가 단지 ‘폐왕(廢王) 고종의 늦둥이’로 인식되었을 뿐 왕녀로 인정받지 못했다면 그녀의 삶은 어떠했을까? 아이러니하게도 고종이 꾀를 내어 조선총독 데라우치로 하여금 그녀를 자신의 딸로 호적에 올리게 한 것이 비극의 원인이 되었다. 그녀는 어린 나이에 강제로 일본으로 끌려갔다. 영친왕 이은을 비롯한 조선 왕실의 다른 자식들처럼, 그녀도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덕혜옹주는 아는 사람이라곤 오라버니인 영친왕 이은과 그의 아내 이방자(결혼 전 이름은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밖에 없던 일본에서 외롭게 지내야만 했다. 태어났을 때부터 왕족이라 세상물정 모르고 일본인들의 꼭두각시처럼 움직이던 오라버니 부부도 그녀를 챙겨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절망적이고 엄혹한 분위기에 시달리던 덕혜옹주는 결국 정신질환을 앓게 되었다. 일본의 귀족이라지만, 실상은 사회적·경제적으로 별 볼 일 없던 소 다케유키와 결혼하게 된 것도 그 때문이었다. 돈과 명예만 보고 결혼한 남자와의 삶은 그녀의 병을 더욱 심화시켰다.
덕혜옹주의 비극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타국에서 외롭게 지내고 원치 않던 결혼마저 해야 했어도 딸 정혜가 있어서 겨우 버틸 수 있던 그녀다. 하지만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망하고 조선인들이 해방된 뒤,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에 의해 ‘일본 귀족으로서의 특권’마저 잃은 그녀는 남편에게서 버림을 받았다. 돈도 명예도 모조리 상실하고 정신마저 온전치 못한 그녀에게 소 다케유키는 기대할 것이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후 10여 년간 덕혜옹주는 정신병원에서 홀로 지내야 했다. 그러는 동안 하나뿐인 딸 정혜는 영영 실종되었고, 남편인 소 다케유키는 예전부터 알고 지내던 여인과 결혼하기 위해 덕혜옹주와 완전히 이혼했다. 주변의 도움으로 40여 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망가질 대로 망가진 그녀는 제대로 된 삶을 살지도 못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은, 눈을 감는 그날까지 일본이 기획한 정략결혼의 또 한 명의 희생자인 이방자와 함께 창덕궁에서 풍파에 휩쓸리지 않고 살 수 있었던 것이다.
덕혜옹주의 비극은 지난 시대 우리 민족이 겪었던 아픔을 상징한다. 그녀의 비극은 단순히 개인의 비극이 아니라 한민족이 겪었던 불행한 시기의 결정판이다. ‘아무도 기억하지 않던, 어떠한 권력도 없는 왕실의 일원인 덕혜옹주가 겪은 비극’에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이유도 그녀의 고통이, 그녀의 삶이 우리 자신들이 일제 강점기 때 당한 고통과, 해방 뒤에도 이어진 기막힌 삶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1912년 5월 25일, 덕혜옹주 태어나다

1921년, 경성(서울)의 ‘히노데 소학교’에 입학하다.

1925년, 유학을 명목으로 일본으로 떠나다.

1926년, 큰오빠인 순종(융희) 황제의 임종에 맞춰 급히 귀국하다.

1927년 1월 26일, 경성방송국에서 덕혜옹주가 지은 동요 <춘명호>를 방송하다.

1929년, 오랫동안 보지 못한 생모 복녕당 양씨의 죽음음 맞이하다.

1931년 5월 8일, 쓰시마 섬 번주이자 백작인 소 다케유키와 결혼하다.

1932년 8월 14일, 딸 정혜를 낳다.

1946년 가을쯤, 정신병원에 입원하다.

1950년 1월, <조선일보> 기자 김을한을 만나다.
그로써 해방된 조국에 그녀의 상황이 알려지다.

1955년 가을쯤, 딸 정혜가 와세다 대학에서 만난 스즈키 노보루와 결혼하다.
비슷한 시기에 덕혜옹주와 소 다케유키가 이혼하다.

1956년 8월, 정혜가 ‘자살하고 싶다’는 유서를 남기고 실종되다.

1962년 1월 26일, 귀국 후 서울대학병원에 입원하다.

1989년 4월 21일, 창덕궁의 수강재에서 거주하다가 사망하다. 향년 77세.

이건, ‘인쇄기술자 모모야마 켄이치’
1909년 의친왕 이강의 장남으로 태어난 이건은, ‘왕자’임에도 어머니가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강이 한량 생활 때 교제한 일본 여인의 소생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래서인지 이건은 3.1 만세 운동에 관여하고 상하이 임시정부로 탈출하려 한 아버지에게서 미움을 받았다. 이는 오히려 이건이 자신을 ‘돌보던’ 일본인들과 친해져, 종국에는 일본으로 귀화한 원인이 되었다. 일본 측에서 맺어준 첫 아내와 이혼한 이건은 모모야마 켄이치로 개명한 뒤 인쇄 기술을 배웠다. 하지만 창업할 때마다 실패하고, 아버지가 한국 땅에 남긴 재산 문제로 소송을 하게 되는 등 행복한 삶을 살지는 못했다. 영친왕 이은과 이방자의 외아들이자 이건의 사촌동생인 이구가 아버지와 고모(덕혜옹주)의 병원비를 횡령하고, 아리타 기누코라는 무속인과 함께 사기극을 벌인 것과 더불어 조선 왕실에 대한 대중의 실망감을 높이기까지 했다.

이우, ‘어린이’가 앗아간 조선 왕실의 마지막 희망
의친왕 이강의 차남인 이우는, 숙부인 영친왕 이은과 배다른 형인 이건 등 다른 왕족들이 일본에 순응하거나 지배 계급에 편입되어 호의호식하던 반면, 죽을 때까지 일본과 대립각을 세웠다. 심지어 일본 측에서 일본 여성과 혼인시키려 하자 이를 거부하고 박영효의 손녀딸 박찬주와 결혼했다. 그는 일본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들어간 육군사관학교와 군대에서도 왕자다운 면모를 보임으로써 일본인 부하들의 충성심도 샀다. 그야말로 군계일학(群鷄一鶴)이었던 셈이다. 그래서 이우는 해방 직후 조선 땅에 잔류하던 일본 관헌들과 협상을 벌일 수도 있었을 인물이라는 평도 받고 있다. 하지만 일본군은 그를 미군의 ‘본토 상륙’에 대비해 히로시마에 부임시켰다. 결국 광복이 되기 불과 9일 전에 이루어진 히로시마에 대한 원자폭탄(암호명 ‘어린이[Little Boy]’)의 투하로 목숨을 잃었다. 아이러니한 일은 그의 시신이 조국으로 운구된 뒤 거행된 장례식이 8월 15일에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지금은 없어진 동대문운동장의 전신인 경성운동장에서 장례식이 한창일 때, 밖에서 “만세!” 함성이 들려오자 유족들은 더욱 슬펐다고 한다.

민갑완, 조선 왕실이 겉치레가 아니었음을 보여준 ‘왕자의 여인’
조선 왕실이 겉치레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 인물은 엉뚱하게도 조선 왕실의 며느리가 될 뻔했던 민갑완이었다. 영친왕 이은과 같은 해 같은 날(1897년 10월 20일)에 태어난 그녀는, 영친왕의 어머니인 엄 귀비에 의해 영친왕의 아내가 될 여인이었다. 영친왕의 일본 유학을 저지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엄 귀비보다 한 수 위였던 당시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는, 영친왕을 막무가내로 일본으로 끌고 간 뒤 일본 여인과 결혼시켰다. 그리고 민갑완의 집에는 파혼을 강요했다. 민갑완은 다른 남자와 결혼하는 대신 남동생과 함께 상하이로 탈출하여 임시정부에 의탁했다. 조선이 해방될 때를 기다리면서 말이다. 그러나 조국이 해방되었을 때, 그녀는 이미 노년을 맞이하는 노처녀였다. 그동안 청혼을 해온 남자들이 없지는 않았으나 민갑완은 꿋꿋이 거절했다. 그 이유를 1958년 6월 29일 자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한국 여성의 지조가 얼마나 강한지를 일본인들에게 보여줌으로서 우리의 비운을 복수하려고 한 겁니다.” 조선 왕실의 구성원들이 일본 측에서 제공한 부귀영화에 취해있을 때, 오히려 조선 왕실의 며느리가 될 뻔한 여인이 조선 왕실의 명예와 기개를 지켜낸 것이다.

{ 책속으로 추가 }

조선의 왕실 사람들이 일본의 귀족으로 살아가는 동안, 민갑완은 자신이 굳이 지킬 필요가 없는 ‘절개’를 끝까지 지키면서 살아갑니다. 오늘날 우리가 조선 왕실 대신 민갑완, 그리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잃어야만 했던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실, 굴복과 복종 그리고 배신에는 이유와 목적이 존재합니다. 친일매국노의 대표격인 이완용, 조선 최고의 문인이었음에도 변절한 이광수도 자신들의 행동을 변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변명이 변명으로 그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민갑완 같은 존재가 있기 때문입니다. _192쪽

목차

1. 덕혜옹주
덕혜옹주를 아십니까?
사라진 나라의 왕족으로 태어나다
이름을 얻다
일본으로
소 다케유키와의 혼인
세상 밖으로
귀환
수강재에서 지다

2. 이건
이건, 모모야마 켄이치
아버지와 아들
알려지지 않은 어머니
새로운 조국

3. 이우
원폭의 구름 속에서 사라진 조선의 꿈
의친왕 이강의 둘째 아들
반항아
안타까운 최후
조국으로

4. 민갑완
비운의 여인
운명의 소용돌이
망명을 떠나다
조국으로 돌아오다
백 년의 한, 천 년의 슬픔

5. 에필로그

-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정명섭은 1973년에 태어났다. 2006년 랜덤하우스에서 역사추리소설 《적패》 출간을 시작으로, 소설과 교양서를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고 있다. 장편소설 《폐쇄구역 서울》, 《마의》, 《쓰시마에서 온 소녀》, 《김옥균을 죽여라》, 《바실라》, 《명탐정의 탄생》, 《조선변호사 왕실소송사건》, 역사 교양서 《연인, the lovers》, 《혁명의 여신들》, 《조선의 명탐정들》, 《조선전쟁 생중계》, 《고려전쟁 생중계》, 《조선직업실록》, 《조선백성실록》, 《조선의 엔터테이너》 등을 썼다.

도서소개

역사에 흔적을 남긴 네 사람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일본인과 정략결혼을 해야만 했고, 정신 질환을 앓다가 하나뿐인 딸을 잃고 상처 입은 몸으로 조국으로 돌아와야만 했던 덕혜옹주, 영친왕의 배다른 형 의친왕의 둘째 아들 이우와 이우의 배다른 형 이건, 영친왕의 약혼자라는 명분을 지키기 위해 평생을 바친 민갑완. 『덕혜옹주』는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덕혜옹주, 이건, 이우, 민갑완의 생애를 담아낸 책이다. 지난 시대 우리 민족이 겪었던 아픔을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의 삶을 통해 나는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고민하게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