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법조윤리

법조윤리

  • 최진안
  • |
  • 세창출판사
  • |
  • 2014-12-10 출간
  • |
  • 717페이지
  • |
  • 180 X 255 X 20 mm /164g
  • |
  • ISBN 9788984115019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4,6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6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2판 출간 후 2014.2.24.변호사윤리장전이 전면 개정되어 같은 달 25. 공포되고, 2014.5.20.변호사법도 일부 개정·공포되었다.

변호사 시험법이 2009년 5월 제정, 시행됨에 따라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조윤리》과목을 이수한 후 《법조윤리》시험에 합격해야만 변호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법조윤리》에 관한 학습은 불가피하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점을 목표로 하여 저술하였다.

1.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강의를 위한 기본교재 혹은 수험서를 염두에 두었으나 등록초기의 변호사나 변호사 사무실 직원등도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2. 법조윤리에 관한 주제를 17개로 대별하고 이를 장으로 구분하였다.
3. 17개의 주제중 변호사시험의 《법조윤리》과목에서 출제 비중이 가장 높은 부분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징계결정 및 질의 회신 사례등을 분류하여 포함시켰다.
4. 변호사 시험 중 시험범위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외국법자문사법》의 기본내용을 포함시켰다.
5. 법조윤리에 관한 이론적 쟁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6. 우리의 실정규범을 기초로 설명하였고 미국, 일본 등의 관련규범을 보충, 해석하였다.

목차

제1장 법조윤리 총설 1
Ⅰ. 법조 및 윤리 1
1. 법조의 개념 1
2. 윤리의 개념 3
Ⅱ. 법조윤리의 의의 4
1. 법조윤리의 개념 4
2. 법조윤리의 기능 5
3. 법조윤리의 유형 5
4. 법조윤리의 특성 7
Ⅲ. 전문직윤리로서의 법조윤리 9
1. 전문직의 개념 9
2. 전문직윤리와 일반윤리의 관계 9
3. 법조전문직으로서 변호사직의 특징 11
4. 법조전문직에 대한 윤리규제의 근거 18
5. 법조전문직과 의료전문직 20

제2장 변호사의 직무와 윤리 24
Ⅰ. 변호사의 사명·지위·직무 25
1. 변호사의 사명 25
2. 변호사의 지위 29
3. 변호사의 직무 30
Ⅱ. 변호사의 윤리 38
1. 변호사윤리의 본질 38
2. 변호사윤리의 실정규범적 근거 41
3. 변호사윤리와 개인윤리의 관계 42
4. 변호사의 자율성 43
5. 변호사윤리와 상인성과 공공성 47

제3장 변호사의 기본의무 54
Ⅰ. 총 설 54
Ⅱ. 변호사의 법조전문직으로서의 일반적 의무 55
1. 형식적 적법절차원리의 구현 55
2. 실질적 적법절차원리의 지향 56
3. 법과정에의 충실 58
4. 사법개선의 실현 59
Ⅲ. 변호사에 고유한 기본적 의무 61
1. 의뢰인에 대한 보호의무 61
2. 공공성의 유지의무 65
3. 사회적 신뢰의 유지의무 71

제4장 변호사와 의뢰인의 관계 80
Ⅰ. 개 설 81
1. 변호사직무의 연혁 81
2. 변호사법의 규정 81
Ⅱ. 법률사무처리의 위임관계 82
1. 예비적 위임관계 82
2. 본래적 위임관계 88
3. 사후적 위임관계 99
Ⅲ. 관련 문제 103
1. 수임금지와 수임거절 103
2.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권한배분 109
3. 전략적 법률상담에 대한 대응 111

제5장 변호사의 성실의무, 비밀유지의무 114
Ⅰ. 성실의무 114
1. 성실의무의 의의 114
2. 성실의무와 다른 윤리적 가치와의 관계 117
3. 성실의무의 내용 119
4. 성실의무의 한계 128
5. 성실의무의 해태사례 130
Ⅱ. 비밀유지의무 132
1. 의 의 133
2. 취 지 133
3. 비밀유지의무의 내용 134
4. 비밀유지의무의 해제 141
5. 비밀유지의무의 위반 효과 147
6. 비밀유지의무와 비밀유지특권 147

제6장 변호사의 이익충돌 회피의무 155
Ⅰ. 이익충돌의 의의 156
Ⅱ. 이익충돌회피의무의 취지 156
Ⅲ. 이익충돌회피의무의 한계 158
Ⅳ. 이익충돌회피의무의 내용 159
1. 기본개념의 정리 160
2. 당사자 충돌형 169
3. 의뢰인·변호사 충돌형 201
4. 공무관련 충돌형 208
5. 중립적 사무 충돌형 219
6. 증인될 사건 충돌형 221
7. 공동법률사무소 충돌형 223
Ⅴ. 이익충돌의 사후적 해결 247
1. 문제의 소재 247
2. 쟁점의 정리 247
3. 사후적 해결방법 248
Ⅵ. 이익충돌회피의무 위반의 법적 효과 250
1. 대리행위의 법적 효과 250
2. 변호사의 책임 253
Ⅶ. 비소송분야에서의 이익충돌의 문제 255
1. 문제의 소재 255
2. 비소송분야에서의 이익충돌의 법리의 적용여부 255
3. 비소송분야에서의 이익충돌회피원칙의 수정 한계 256
4. 비소송분야에서의 이익충돌회피원칙의 수정 근거 257

제7장 변호사와 제3자의 관계 261
Ⅰ. 서 261
Ⅱ. 상대방과의 관계에서의 윤리 262
1. 이익수령의 금지 262
2. 부당한 이익 제공금지 263
3. 상대방의 유혹·비방금지 263
4. 공동 직무수행에 있어서의 윤리 264
Ⅲ. 상대방의 변호사와의 관계에서의 윤리 264
1. 개 설 264
2. 사무직원의 채용에 있어서 부당경쟁 등 금지 265
3. 사건에의 부당한 개입금지 266
4. 다른 변호사의 참여방해 금지 등 267
5. 대리인이 있는 상대방과의 직접교섭 금지 267
Ⅳ. 변호사회와의 관계에서의 윤리 269
1. 개 설 269
2. 변호사의 자격, 등록, 등록의 거부 및 취소 270
3. 개업, 휴업의 신고 273
4. 법률사무소의 개설 273
5. 변호사의 연수 281
6. 분쟁의 조정 284
7. 기 타 284
Ⅴ. 법원·검찰 등과의 관계에서의 윤리 287
1. 개 설 287
2. 법원과의 관계에서의 윤리 287
3. 검찰 등과의 관계에서의 윤리 292
Ⅵ. 정부기관에 대한 관계에서의 윤리 299
1. 비밀이용 금지 299
2. 겸직시 수임제한 300
Ⅶ. 법조윤리협의회와의 관계에서의 윤리 300
1. 설립 연혁 300
2. 구성 및 운영 300
3. 기능 및 권한 301
4. 법조윤리협의회의 의무 305

제8장 변호사의 광고, 사건의 유치, 변호사법의 벌칙 307
Ⅰ. 변호사의 광고 307
1. 변호사의 광고의 의의 307
2. 변호사의 광고에 대한 이론적 논의 309
3. 변호사의 광고에 대한 입법의 변천 313
4. 변호사의 광고에 관한 현행법의 내용 314
5. 광고법규 위반의 효과 337
Ⅱ. 사건의 유치 338
1. 사건유치의 의의 338
2. 사건유치에 대한 규제의 취지 340
3. 사건유치에 대한 규제의 내용 340
4. 비변호사의 변호사 고용금지 352
5. 변호사와 비변호사의 동업금지 354
6. 변호사의 겸직제한 358
Ⅲ. 변호사법의 벌칙 364
1. 비변호사의 법률사무 취급 등 364
2. 변호사·사무직원의 재판·수사기관 공무원에 대한 청탁 명목의 금품 수령 378
3. 공무에 관한 청탁 명목의 금품 수령 379
4. 권리실행 업무, 변호사 자격 거짓 등록, 미등록 변호사의 법률사무 취급 등 382
5. 변호사시험 합격자의 법률사무소 개설제한 위반 등 387
6. 상 습 범 388
7. 법무법인 등의 처벌 388
8. 몰수·추징 388
9. 과 태 료 391

제9장 변호사의 보수와 윤리 394
Ⅰ. 변호사보수의 의의 394
1. 변호사보수의 개념 395
2. 변호사보수의 특성 395
Ⅱ. 변호사보수에 관한 입법 연혁 396
Ⅲ. 변호사보수의 결정 397
1. 자율과 규제에 관한 논란 397
2. 변호사보수에 관한 규제 397
Ⅳ. 변호사보수의 내용 404
1. 개 설 404
2. 보수산정방식에 따른 분류 404
3. 법률서비스의 내용에 따른 분류 405
Ⅴ. 변호사의 보수청구권 406
1. 변호사선임계약과 보수 406
2. 보수지급에 관한 약정이 없는 경우 409
3. 변호사선임계약상 결과발생의 필요 여부 410
4. 위임계약이 중도에 해지된 경우 411
5. 위임계약이 종료된 경우 412
Ⅵ. 보수에 관한 구체적 문제와 윤리 413
1. 성공보수 약정 413
2. 비환불특약 417
3. 승소간주약정 419
4. 불공정한 보수의 금지 422
5. 시간당 보수계약 425

제10장 형사소송과 변호사의 윤리 429
Ⅰ. 서 430
1. 형사절차의 이념과 변호사 윤리 430
2. 형사소송의 구조와 변호사 윤리 431
3. 형사소송과 변호사의 당파성 및 공공성 431
Ⅱ. 형사소송에서의 성실의무 434
1. 성실의무의 의의 434
2. 성실의무와 변호사의 윤리 439
3. 성실의무의 한계 442
Ⅲ. 형사소송에서의 진실의무 452
1. 진실의무의 의의 452
2. 적극적 진실의무와 소극적 진실의무 452
3. 소극적 진실의무와 변호사의 중립성 453
4. 진실의무의 한계적 문제 454
Ⅳ. 형사소송에서의 비밀유지의무 461
1. 비밀유지의무의 의의 461
2. 의뢰인의 유죄의 증거와 비밀유지의무 462
3. 의뢰인의 범죄와 비밀유지의무 463
4. 기록무단유출과 비밀유지의무 467
Ⅴ. 피해자와의 합의와 윤리 468
Ⅵ. 피해자에 대한 증인신문과 윤리 468
Ⅶ. 국선변호인과 윤리 469
1. 개 설 469
2. 국선변호인의 사임의 한계 470
3. 국선변호인의 보수 및 대가의 수령 471
4. 국선변호인의 사선변호사로의 전환 472

제11장 민사소송과 변호사의 윤리 475
Ⅰ. 서 475
1. 민사소송과 변호사의 진실의무 475
2. 소송사기죄와 진실의무 477
3. 위증죄와 진실의무 480
Ⅱ. 소송지연 482
1. 문제의 소재 482
2. 견해의 차이 483
3. 견해의 공통점 484
4. 논전의 핵심 484
5. 검 토 485
Ⅲ. 법률상담 485
1. 사실확인 의무 486
2. 제3자에 대한 성실의무 487
Ⅳ. 협 상 488
Ⅴ. 민사집행절차 490
1. 민사보전처분 490
2. 민사집행절차 492

제12장 법무법인 등의 직무윤리 494
Ⅰ. 총 설 494
Ⅱ. 법무법인 등의 기본적 윤리 495
1. 구성원 등의 규정준수 의무 496
2. 비밀유지의무 497
3. 수임제한 497
4. 수임관련 정보의 관리 498
5. 동일 또는 유사 명칭의 사용 금지 499
Ⅲ. 법무법인 등의 구성 및 윤리적 책임 500
1. 법무법인 500
2. 법무법인(유한) 511
3. 법무조합 515
Ⅳ. 외국법자문법률사무소 517
1. 외국법자문사 제도 517
2. 외국법자문사의 자격승인 519
3. 외국법자문사의 등록 519
4. 외국법자문사의 업무범위 520
5. 외국법자문사의 업무수행의 방식 520
6. 외국법자문법률사무소 520
7. 외국법자문사의 권리와 의무 522
8. 외국법자문사의 징계 525
9. 외국법자문사에 대한 벌칙 528

제13장 조직의 변호사의 윤리 530
Ⅰ. 조직의 변호사의 의의 530
Ⅱ. 조직의 변호사의 윤리일반 532
1. 윤리적 충돌 532
2. 변호사의 의뢰인 533
Ⅲ. 조직의 변호사와 윤리의 한계적 문제 534
1. 기업변호사 534
2. 정부기관의 대리 552

제14장 변호사의 공익활동 555
Ⅰ. 변호사의 공익활동의 의의 555
Ⅱ. 공익활동의무의 근거 556
Ⅲ. 공익활동의무에 대한 찬반론 557
Ⅳ. 공익활동의 유형 559
1. 근무의 형태 559
2. 업무의 성격 560
3. 활동의 주체 561
Ⅴ. 공익활동의무의 내용 562
1. 공익활동의 내용 562
2. 공익활동의 의무내용 563
3. 공익활동의 협력 및 보고 의무 565
4. 공익활동심사위원회의 설치 및 기금의 운용 565
5. 공익활동의무의 위반의 효과 565
Ⅵ. 관련 문제 566
1. 공익활동과 이익충돌의 문제 566
2. 소위 무변촌 문제 567

제15장 변호사의 징계 569
Ⅰ. 총 론 569
Ⅱ. 징계실체법 570
1. 징계의 주체 570
2. 징계의 대상 571
3. 징계의 종류 573
4. 징계의 사유 580
5. 징계의 효력발생시기 586
Ⅲ. 징계절차법 589
1. 징계개시의 신청 및 청원권자 589
2. 징계개시의 청구권자 591
3. 징계개시의 청구절차 591
4. 징계결정의 절차 593
5. 징계처분의 공개 599
6. 징계청구의 시효 602

제16장 법관의 직무와 윤리 605
Ⅰ. 서 605
1. 법관윤리의 연혁 605
2. 법관윤리의 중요성 607
Ⅱ. 사법권의 독립과 법관윤리 609
1. 사법권 독립의 의의 609
2. 사법권 독립과 윤리 610
Ⅲ. 법관의 공정성과 윤리 613
1. 개 설 613
2. 공정성의 의의 614
3. 공정성의 요건 615
4. 공정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 618
Ⅳ. 법관의 성실성과 윤리 629
1. 개 설 629
2. 직무수행능력의 향상 629
3. 신속하고 충실한 재판 630
4. 소송관계인에 대한 친절 631
5. 직무에의 전념 631
Ⅴ. 법관의 직무 외 활동과 윤리 634
1. 개 설 634
2. 적절한 학술활동 등 참여 634
3. 타인의 법적 분쟁에 관여금지 635
4. 법률적 조언 등의 제한 635
5. 사교활동의 한계 636
Ⅵ. 법관의 경제적 행위와 윤리 637
Ⅶ. 법관의 정치적 중립과 윤리 638
Ⅷ. 법관의 징계 639
1. 징계 사유 639
2. 징계처분의 종류 639
3. 법관징계위원회 640
4. 징계청구와 징계심의의 개시 640
5. 징계사유의 시효 640
6. 징계절차의 정지 640
7. 법관징계위원회의 징계결정 641
8. 불복 절차 641

제17장 검사의 직무와 윤리 643
Ⅰ. 개 설 644
1. 검사의 직무 644
2. 검찰권 행사와 윤리 644
Ⅱ. 공익의 대표자와 윤리 645
Ⅲ. 직무의 공정성과 윤리 647
1. 정치적 중립 647
2. 단독관청으로서의 검사 650
3. 검사윤리강령과 공정성 확보를 위한 윤리 653
Ⅳ. 적정절차의 원리와 윤리 659
1. 개 설 659
2. 객관의무 660
3. 수사권 남용 662
4. 기소편의주의 663
5. 공소권남용 664
Ⅴ. 도덕성·청렴성 666
Ⅵ. 대외적 의견의 표명과 윤리 668
1. 피의사실의 공표 669
2. 수사비밀의 공표 671
3. 기타 의견의 표명 672
Ⅶ. 검사의 징계 674
1. 징계 사유 674
2. 징계의 종류 674
3. 검사 징계위원회 675
4. 징계의 청구와 개시 675
5. 징계부가금 675
6. 재징계 등의 청구 675
7. 징계혐의자에 대한 직무정지 676
8. 무혐의의결 676
9. 징계심의의 정지 676
10. 징계 등 사유의 시효 677

[부록 1] 변호사윤리장전 679
[부록 2] 2014.11.4. 입법 예고된 변호사법 개정안 689
[부록 3] 2014.10.10. 입법 예고된 검사징계법 개정안 707

찾아보기 709

저자소개

저 자 최 진 안(崔珍安)은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제22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제12기)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
스페인 국립 Madrid Complutense대학교 방문연구원
독일 Max-Planck 국제형사법연구소 방문연구원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대검찰청 공판송무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제6부장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차장검사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변호사
사법시험 위원
변호사시험 위원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도서소개

『법조윤리』는 법조윤리에 관한 주제를 17개로 대별하고 이를 장으로 구분하였다. 17개의 주제중 변호사시험의 《법조윤리》과목에서 출제 비중이 가장 높은 부분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징계결정 및 질의 회신 사례등을 분류하여 포함시켰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