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_ 시대의 선구자
정약용, 새로운 인간관을 바탕으로 토지혁명을 꿈꾸다
1. 다산의 성장과 학문
2. 다산의 공부론과 새로운 인간관
3. 농민적 균산
4. 농자득전
5. 여전론과 그 형성의 의미
6. 원리로서의 정전제 실시와 사회적 균직론
7. 정전제 운영과 다산의 생각
김옥균, 개화의 길에 뿌린 피와 눈물
1. 작은 편지에서 읽는 큰 역사
2. 기기국 신설, 병대가초, 세관개설, 외약첨결에 대하여
3. 차관실패에 대하여
4. 울릉도 벌목사건
5. ‘북사北社’에 대하여
6. 어윤중과의 관계
7. 편지의 행간, 역사의 여운
이범진, 한국과 러시아동맹을 추진한 외교관
1. 이범진, ‘비밀요원’ 대 ‘극단인물’ 상반된 두 시선
2. 이범진의 정계진출과 국내정치활동
3. 주러 한국 공사 이범진의 외교활동
홍명희, 뛰어난 작가·민족해방운동가
1. 홍명희가 주목되는 이유
2. 가계와 성장배경
3. 홍명희의 현실인식과 대응
4. 괴산 3·1운동 주도와 사회단체 활동
5. 신간회 창립과 민중대회 사건 주도
6. 홍명희의 문예관과 그에 대한 인물평
7. 해방 이후 및 북한에서의 활동
8. 홍명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여성,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민족운동가
1. 부잣집 맏아들에서 불의에 저항하는 청년으로
2. 비밀 결사를 통해 민족해방운동에 투신
3. 일본 유학과 사회주의 운동 참여
4. ?동아일보? 배척 운동과 연설회
5. 세계 약소민족운동에 대한 관심
6. 신문사 기자로서 현실 문제에 적극 개입
7. 숫자조선연구 집필·출판으로 식민지 현실 폭로
8. 역사화 그리기
9. 복식사 연구
전태일, 노동해방의 불꽃
1.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2. 노동자의 삶과 사상적 변화
3. 분신사건의 파장
4. 민주노조운동의 단초를 열다
5. 민중 ‘주체’ 인식의 변화와 발전
2부_ 일제에 맞선 사회주의자
김철수, 상해 국민대표회의의 조직자
1. 자살 충동
2. 대표자 선정
3. 원내 대표단
4. 삼삼프락치야
5. 파국
6. 새 모색
김단야, 드높은 이상과 허망한 현실
1. 단야의 1929년
2. 누가 혁명의 길로 가라하지 않았다
3. 단야를 버린 모스크바
김두용, 이론을 넘어 현실에 선 재일조선인 민족해방운동가
1. 아, 김두용!
2. 이론 투쟁의 선두에서
3. 예술운동과 만나면서
4. 또 다른 모습, 동지사, 도쿄예술좌에서
5. 이론 투쟁의 선두에서 해체를 주장하다
6. 1945년, 해방은 그에게 선택을 원했다.
7. 그는 국제주의자이고자 했다.
8. 김두용을 생각하는 것은
이한빈, 105일 단식투쟁 끝에 옥사한 선진노동자
1. 이한빈과 만남
2. 단식을 무기로 싸운 사람들
3. 이한빈의 이름과 사진
4. 신흥탄광습격사건과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시절
5. 목숨을 던진 단식투쟁
6. 되살아나는 기억
방한민, 일제강점기 언론·교육운동의 선구자
1. 출생과 성장
2. 항일 언론운동의 선구자 방한민
3. 동양학원 설립운동
4.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5. 출감 후
3부_ 혁명의 길에 선 여성
정칠성, 근우회의 버팀목이 된 신여성
1. 기생 금죽에서 여성운동가 칠성으로 변신
2. ‘나의 결정’, 근우회
3. 해방 후 여성운동의 현장에 다시 서다
4. 기생 정금죽을 만나다
5. 신여성, 정칠성을 만나다
조원숙, 조선부녀총동맹의 맹장
1. 출생과 성장
2. 1920년대 여성운동계의 지형
3. 조선여성동우회와 경성여자청년동맹에서 활동
4. 근우회의 3차 조공 야체이카 책임자로 활동
5. 상해 망명과 결혼
6. 귀국 후 거제도 시댁에 은둔
7. 해방 후 여성운동 재개와 신국가건설운동
양즈화, 혁명의 약속을 지키다
1. 약속
2. 만남
3. 여성노동자 교육과 조직 활동
4. 모스크바와 상해에서의 생활
5. 이별, 그 이후
크루프스카야, 남성 지배 역사가 지운 볼셰비키 혁명가
1. '레닌의 아내'
2. '열성적인' 볼셰비키 활동가
3. 사회주의 교육의 창시자
4. 나데즈다 콘스탄티노브나 크루프스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