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

  •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기획)
  • |
  • 한울아카데미
  • |
  • 2017-06-02 출간
  • |
  • 232페이지
  • |
  • 159 X 232 X 21 mm /480g
  • |
  • ISBN 9788946059917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2,77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77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기억이 역사를 지배하고 사회를 조직한다’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집단기억이 형성한
오늘날의 국내외 정세를 고찰하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이 70여 년이 지났는데도 우리는 여전히 이 전쟁을 유례없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억하고 있다. 세부적인 차이는 있을지라도 한 사회 또는 나라가 이 전쟁에 대해 공통적으로 기억하는 바가 있는데, 이른바 제2차 세계대전의 ‘집단기억’이다. 집단기억은 사회구성원의 인식을 통제하고 사회를 조직한다. 당시의 집단기억은 곧 역사로 편입되고 이로써 인류와 사회에 내재된다.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은 “집단기억이 인식의 차이를 낳고 미래에 대한 구상의 차이를 낳는다”고 주장하는 박찬승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엮고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가 기획한 책으로, 종전 70주년을 맞은 ‘제2차 세계대전’과 역사 연구의 주요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집단기억’ 문제를 연계해 각국의 현지 필자들이 참여한 책이다.
동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각국의 집단기억 사이에 발생하는 충돌이 한·중·일 3국의 정세에 미치는 영향부터 러시아에서 푸틴 정권이 높은 인기를 얻는 데 대전에 대한 집단기억이 활용되는 실상까지 집단기억이 만든 오늘날의 국내외 정세와 각국의 역사, 문화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이 책은 여전히 긴 그림자를 거느리고 있는 이 전쟁과 전쟁 기억이 인류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감하게 한다.

“지금 우리가 기대고 있는 역사는 누구의 기억인가?”
제2차 세계대전과 이에 대한 집단의 지배적인 기억을 말하다

인류의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기억하는 역사적 사건은 과연 몇이나 될까. 아마 그 범위는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협소할 텐데, 그중 하나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2017년의 오늘날을 사는 우리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이어진 이 전쟁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인류 역사에서 유례없는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전쟁이었으며, 이를 기점으로 미국과 서유럽 중심의 자본주의와 중국과동유럽 중심의 공산주의 체제로 세계가 재편성되었다는 사실 외에 단편적인 몇몇 정보만을 제시할 수 있지 않을까
시기상의 차이만큼이나 그때의 사실과 지금 우리가 그 사건에 대해 그리는 그림의 간극은 꽤나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가 그 사건에 대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바가 있는데, 바로 그것이 ‘집단기억’이라 불릴 수 있는 것이다. “‘집단기억’이란 한 집단이 상징적 기호와 행위를 통해 가지는 특수한 기억이며 집단의 지배적인 기억이다. 전쟁에 대한 집단기억은 역사가의 저서와 논문, 생존자의 증언, 박물관, 기념행사, 각종 매체와 문학·예술 작품, 역사 교과서 등에 의해 형성된다.” 즉, 오늘날 우리의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인식은 집단기억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집단기억은 사람들의 인식을 통제하고 나아가 사회를 구성한다. 당시의 집단기억은 곧 역사에 편입되고, 이로써 역사는 집단기억으로 점철된다. 즉,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는 당시의 집단기억, 누군가들의 기억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이 형성한 오늘날의 국내외 정세
제2차 세계대전 관련 주요국들의 다양한 집단기억

우리가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기억 문제에 주목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의 엮은이인 한양대학교 박찬승 교수는 “우리가 과거 전쟁에 대한 기억과 기념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이 문제가 미래의 전쟁 또는 평화의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의 차이는 현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낳고 미래에 대한 구상의 차이를 낳는다”라고 말한다. 책의 각 장에서 필자들은, 실제로 이 전쟁과 관련된 당사국들이 서로 다른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념 역시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각국의 집단기억 사이에서는 다양한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오늘날 국내외 정세에서 또 다른 사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책에 나와 있는 비근한 사례를 들자면, 특히 동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각국의 집단기억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역사 분쟁으로 연결되었다. 즉, 집단기억의 차이가 역사 인식의 차이를 낳아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갈등 요소로 자리 잡은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진행형이고 당분간은 사그라들 것 같지 않다. 한 집단 안에서 완벽하게 ‘동질적인 기억’은 존재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바, 거대 집단인 국가 간 집단기억의 차이 역시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것이 초래하는 집단 사이의 대규모 갈등은 우리 앞에 놓인 하나의 숙명적인 과제다.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보편적인 가치관을 따르지 않은 담론이나 집단기억은 점점 설득력을 잃어가고, 따라서 결국은 인권, 자유, 민주 등과 같은 보편적인 가치관에 근거한 담론과 집단기억이 보다 우세하게 될 것”이라며 집단기억의 향방을 노정하고 있다.

역사 연구의 주요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집단기억’ 문제
현지 필자들이 전하는 각국의 실상에 대한 고찰과 제언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념과 집단기억에서는 우선 종전 70주년을 맞이해 중국, 타이완, 일본에서 어떤 기념행사가 열렸는지, 종전 70주년을 맞이해 발표한 아베 일본 총리의 담화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에 대해 주변 각국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를 다룬다. 또 중일전쟁·태평양전쟁에 대한 일본의 집단기억, 전쟁 책임과 전후 책임에 대한 일본 각계의 인식, 난징대학살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집단기억의 충돌에 대해 다룬다.
제2장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대한 기억: 1995년 이후 수정주의적 전환에 대한 분석에서는 우선 1995년 우파 정부가 다시 들어서면서 전쟁을 비롯해 일본 근현대사에 대한 신수정주의적 시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이어서 1945년 이후 출생한 세대를 ‘포스트메모리’ 세대라 지칭하고, 이 세대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다룬다. 그리고 일본인이 전쟁의 가해자라는 인식 대신 피해자라는 인식을 갖게 된 배경을 다루며, 최근 일부 학자들이 거론하는 ‘전후 책임감’이라는 논제에 대해 설명한다.
제3장 항일전쟁과 중국혁명,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제2차 세계대전 기념에서는 먼저 1970년대까지의 중국 정부나 역사학자들의 중국혁명과 항일전쟁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다룬다. 또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특히 1990년대 이후 중국 정부나 역사학자들의 역사 인식의 추가 혁명에서 근대화로 옮겨간 과정과 항일전쟁에서의 국민당 역할에 대한 재평가 문제를 설명한다. 그리고 2000년 이후 항일전쟁에 대한 시각이 혁명 중심에서 평화와 발전 중심으로 바뀐 것, 사회주의에서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로 바뀐 것에 대해 다룬다.
제4장 ‘좋은 전쟁’, 그리고 희미해지는 태평양전쟁에 대한 기억에서는 우선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식에는 참석하는 반면에 정작 일본에 대한 자국의 태평양전쟁 승전 기념식에는 소극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미국에서 태평양전쟁에 대한 관심이 쇠퇴한 이유를 설명한다. 또 미국인들이 남북전쟁, 양차 세계대전을 기념하는 방식을 설명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의 기념물 제작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태평양전쟁에 관한 시각에서의 주요 쟁점, 예컨대 ‘미국인이 생각하듯이 제2차 세계대전은 좋은 전쟁이었는가’, ‘핵무기 사용은 정당했나’와 같은 이슈들을 다룬다.
제5장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러시아에서의 ‘대조국 전쟁’ 서사는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소련의 공식적 기억과 민간의 비공식적 기억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한다. 우선 1941년 독소전쟁이 개시된 이후 ≪프라우다(Pravda)≫가 이 전쟁을 ‘소련 인민의 대조국 전쟁’으로 명명하게 된 배경과, 그러한 ‘대조국 전쟁’은 결국 군국주의적 독재로 전락한 자본주의와 미래를 향한 사회주의의 대결이었다는 인식이 1960년대에 이르러 역사서, 문학적 서사, 영화 등으로 완성되어간 과정을 다룬다. 이어서 1980년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특히 1990년대 소비에트러시아 붕괴 이후 반공주의 물결 속에서 위와 같은 ‘대조국 전쟁’의 공식 서사가 상당히 동요했다는 점을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1990년대 말 이후 민족주의적 열풍 속에서 민족주의적으로 해석된 ‘대조국 전쟁’ 서사가 다시 등장하게 된 점을 설명한다.
제6장 21세기 초 영국의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문화적 기억: ‘평범한 영웅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영국인의 문화적 기억이 과거의 산물이 아니라 바로 현재의 산물이라는 시각에서 그 기억의 생성과 순환을 설명한다. 우선 2015년 9월 15일을 영국 본토 공중전의 날로 지정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또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트랜스내셔널한 기억들, 특히 홀로코스트와 난민에 관한 영국인의 기억 문제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영국 본토 공중전에 대한 기억과 영국 공군의 독일 지역 폭격 작전에 대한 기억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7장 독일의 20세기: 집단기억 속의 제2차 세계대전은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독일인의 집단기억 문제를 다룬다. 우선 1950년대 이후 독일인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폭격과 포로 등의 경험을 되살려 ‘독일은 피해자의 나라’라는 집단기억을 만들어냈으며, 이는 “히틀러 외에는 독일인 모두가 패배한 전쟁의 피해자들”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전쟁에 대한 독일의 집단기억은 ‘감상적이고 편파적이며 독단적이고 자기변명적’이라고 지적한다. 물론 독일 안에서는 가해자로서의 기억, 즉 부역자들의 활동, 민간인에 대한 범죄 등도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상실과 실향의 경험을 통한 피해자로서의 기억이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머리글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제2차세계대전의 기념과 집단기억_박찬승
제2장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대한 기억: 1995년 이후 수정주의적 전환에 대한 분석_아키코 다케나카
제3장 항일전쟁과 중국혁명,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제2차 세계대전 기념_황동연
제4장 '좋은 전쟁', 그리고 희미해지는 태평양전쟁에 대한 기억_G. 커트 피엘러
제5장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러시아에서의 '대조국 전쟁' 서사_박노자
제6장 21세기 초 영국의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문화적 기억: '평범한 영웅주의'_루시 녹스
제7장 독일의 20세기: 집단기억 속의 제2차 세계대전_피터 프리체

저자소개

저자 아키코 다케나카(Akiko Takenaka)는
미국 켄터키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대 일본의 사회사·문화사 분야, 특히 아시아태평양전쟁의 역사서술론과 기념비, 박물관 등 기념 공간과 기억의 정치 문제를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야스쿠니 신사: 역사, 기억과 일본의 끝나지 않는 전후 시기(Yasukuni Shrine: History, Memory and Japan’s Unending Postwar)』(1995)가 있으며 그 외에 전몰자의 기념에 대한 연구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현재 새로운 저서 『전쟁에 반대한 어머니들: 전후 일본에서의 젠더와 풀뿌리 평화운동(Mothers Against War: Gender and Grassroots Peace Activism in Postwar Japan)』과 『일본과 동아시아에서의 전쟁, 트라우마와 전후 시기(War, Trauma, and Postwar in Japan and East Asia)』를 집필하고 있다.

저자 황동연은
연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동양사를 전공한 후 1999년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항일전쟁 시기 대일합작 난징정부에 관한 연구로 중국현대사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미국 소카대학교(Soka University of America)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새로운 과거 만들기: 권역 시각과 동부아시아 역사 재구성』(2013), 『한국의 무정부주의: 독립, 트랜스내셔널리즘과 국가발전의 문제, 1919- 1984(Anarchism in Korea: Independence, Transnationalism, and the Question of National Development, 1919-1984)』(2016) 등이 있다. 최근에는 님 웨일스(Nym Wales), 김산의 『아리랑』을 새롭게 번역하는 작업과 도쿄, 상하이, 관둥과 연안 등 동부아시아에서 대두된 트랜스내셔널 급진주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 G. 커트 피엘러(G. Kurt Piehler)는
미국 럿거스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후 럿거스대학교 구술사 아카이브의 책임자로서 제2차 세계대전 미국인 참전자 200여 명의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현재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의 ‘제2차 세계대전과 인류의 경험 연구소’를 설립해 이끌고 있다. 주요 저서로 『미국식으로 전쟁 기억하기(Remembering War the American Way)』(1995), 『제2차 세계대전(World War II)』(2007),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미국(The United States in World War II)』(편저, 2012), 『미국과 제2차 세계대전: 외교, 전쟁과 후방에 관한 새로운 관점(The United States and the Second World War: New Perspectives on Diplomacy, War, and the Homefront)』(공편저, 2013) 등이 있다.

저자 박노자는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Vladimir Tikhonov)’다. 러시아(당시 소련)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동방학부에서 조선사를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한국고대사 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 한국으로 귀화했으며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 문화 연구 및 동양언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한국에서의 민족주의의 형성와 불교의 역사에 저자 관한 많은 연구를 생산해왔으며, 주요 저서로 『우승열패의 신화』(2005), 『씩씩한 남자 만들기』(2009), 『한국 사회다윈주의와 민족주의의 기원(Social Darwinism and Nationalism in Korea: The Beginnings)』(2010), 『거꾸로 보는 고대사』(2010)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당신들의 대한민국』(2006), 『주식회사 대한민국』(2016) 등 국가에 짓밟힌 개인과 사회의 저항의 역사에 초점을 둔 다수의 저서를 발간한 바 있다.

저자 루시 녹스(Lucy Noakes)는
영국 브라이턴대학교 사학과 교수이자 동 대학 ‘기억, 내러티브와 역사 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20세기 양차 세계대전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특히 전쟁, 기억, 민족됨과 젠더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전쟁과 영국인: 젠더와 민족정체성, 1939-91(War the British: Gender and National Identity, 1939-91)』(1998), 『영국군 내의 여성: 전쟁과 부드러운 성, 1907- 1948(Women in the British Army: War and the Gentle Sex, 1907-1948)』(2006), 『영국의 문화적 기억과 제2차 세계대전(British Cultural Memory and the Second World War)』(공편저, 2013) 등이 있다. 현재 “슬픔의 정치: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영국에서의 죽음, 비탄과 애도”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 피터 프리체(Peter Fritzsche)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87년부터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세기 독일 사회사·문화사·지성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저서로 『파시즘의 리허설: 바이마르 공화국에서의 포퓰리즘과 정치 동원(Rehearsals for Fascism: Popu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Weimar Germany)』(1990), 『기억의 작업: 독일 사회와 문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The Work of Memory: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German Society and Culture)』(공편저, 2002), 『제3제국에서의 삶과 죽음(Life and Death in the Third Reich)』(2008), 『철의 바람: 히틀러 치하의 유럽(An Iron Wind: Europe Under Hitler)』(2016) 등이 있다.

도서소개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은 “집단기억이 인식의 차이를 낳고 미래에 대한 구상의 차이를 낳는다”고 주장하는 박찬승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엮고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가 기획한 책으로, 종전 70주년을 맞은 ‘제2차 세계대전’과 역사 연구의 주요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집단기억’ 문제를 연계해 각국의 현지 필자들이 참여한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