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의 차 문화 천년 3

한국의 차 문화 천년 3

  • 송재소
  • |
  • 돌베개
  • |
  • 2011-03-28 출간
  • |
  • 440페이지
  • |
  • 158 X 230 X 30 mm /842g
  • |
  • ISBN 9788971994252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삼국시대와 고려 때 창작된 시문(詩文) 중에서 ‘한국의 차 문화’가 담겨 있는 다양한 옛글을 엄선하여 번역한 것이다. 2009년 6월에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1, 2권으로 출간한 바 있다.
삼국시대는 사료가 남아 있는 것이 매우 드문데, 가야와 신라의 기록이 주를 이룬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실린 기록들과 최치원의 『고운선생문집』, 『계원필경집』을 1차 자료로 하였다. 고려는 개인의 문집, 그리고 개인 문집 없이 『동문선』에만 실린 작품, 『고려사』 『고려도경』 등을 1차 자료로 하였다.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천년을 이어 내려온 우리나라 고유의 차 문화에 관한 문헌 기록 자료를 집대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차시(茶詩)를 포함한 개인 문집의 자료,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삼국사기』, 『삼국유사』등의 관찬 사료(官撰史料)와 『동문선』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성호사설』(星湖僿說), 『음청사』(陰晴史) 등의 별집류(別集類)를 비롯하여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은 자료까지 차에 관한 모든 문헌 자료를 망라할 계획이다.

옛글을 통해 천년의 차 문화를 만나다

한국에 차가 전래된 것은 가야국 시조 김수로왕에게 시집온 인도 공주 허황옥부터라는 설이 있을 만큼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 차와 관련한 오랜 문화적 전통은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한자 문화권에 공통된 것으로, 한자와 유교, 선종 계통의 불교와 함께 동아시아의 문화적 전통을 이해하는 주요한 코드이다.
한국에서의 차 문화 관련 문헌 자료의 정리와 소개는 일부 애호가들의 손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때문에 전문 연구자들이 이용하기에는 내용이 소략하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많고, 일반인들이 교양으로 접하기에도 힘들었다.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은 한문 고전에 익숙한 전문 연구자들이 관련 문헌을 폭넓게 정리하고 번역했다. 삼국시대로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차 관련 문헌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번역함으로써 차 문화 연구의 기초 자료는 물론 일반인들의 한국 차 문화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천년의 차 문화를 연 삼국시대

우리나라 차 문화의 시초는 삼국시대라고 추정된다. 삼국시대는 전하는 문헌이 매우 적지만, 당시에 기록된 문헌과 후대인이 삼국시대에 관해 기록한 문헌들 하나하나가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중 『조선불교통사』는 한말의 학자 이능화가 편찬한 것인데, 이 책에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 순도(順道)의 입국으로부터 시작하여 1917년까지의 한국 불교 역사가 정리되어 있다. 이 책에 따르면, 김해의 백월산에는 죽로차(竹露茶)가 있는데, 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許黃玉)이 인도에서 가져온 차씨로 재배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일본인 학자 아오키 마사루(1887~1964)는 그의 책에서 고구려 옛무덤에서 나온 작고 얇은 떡차를 표본으로 간직하고 있다고 기록한 바 있다. 떡차에 관해서도 자세히 적었는데, 지름이 4센티 남짓의 엽전 모양이고, 무게는 5푼 가량이 된다고 한다. 전남의 청태전과 유사한 것이었다고 짐작된다.
『삼국사기』에 신라 흥덕왕 3년(828), 김대렴이 중국 당나라에서 차의 씨앗을 가져다 지리산 인근에서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차 문화의 시작은 선덕여왕 때부터라고 한다. 그리고 흥덕왕 대에 크게 유행했다고 한다. 관찬사료에서 전하는 가장 확실한 기록은 아마도 이것일 텐데, 당시 견당유학생이었던 최치원 또한 오랜 기간 당나라에서 지냈으므로, 귀국 무렵 수준 높은 당나라의 차 문화를 신라로 들여왔으리라 짐작된다. 최치원의 글에는 차를 선물하거나, 새 차를 보내준 데 대해 감사한다는 등의 글이 자주 보인다. 차를 마시는 문화가 이미 생활 속에 깊이 자리했음을 보여주는 기록들이다.

융성한 불교문화가 꽃피운 고려의 차 문화

차 문화가 발달하게 된 데에는 불교문화의 영향이 매우 컸다. 삼국시대를 이어 고려는 불교가 화려하게 꽃피었던 시기였다. 경남의 화계와 밀양, 전남의 광양과 순천 등 주요한 차의 산지가 대부분 사찰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경내에 따로 다헌(茶軒)을 마련하거나 공양을 위해 인근에 차밭을 가꾸기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통도사 인근에는 전문적으로 차를 만들어 바치던 다소촌(茶所村)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통일신라 말기에 세워진 전남 장흥의 보림사에는 아직도 차밭이 남아 있어서, 차 문화와 불교문화의 밀접한 관련을 엿볼 수 있다.
문인들이 스님들과 교유하며 차를 주고받는 모습이 시문을 통해 자주 보이는데, 임춘은 겸 스님에게 몽산차와 자순차를 보낸다는 시를 썼고, 이인로는 절에서 말차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던 차 맷돌을 돌리는 모습을 시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규보는 절에서 스님과 차를 마시는 풍경을 여러 편의 시로 남겼다. 불교문화의 융성과 함께 차 문화 또한 불가에서 가장 융성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에서 들여오는 차 외에 국내에서 재배하던 차는 대부분 각 지방의 절에서 재배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문인들이 차를 얻는 방법은 중국에서 차를 들여오거나 아는 스님을 통해 얻는 것이 대부분이었다는 사실이 여러 편의 글 속에서 발견된다.
고려 때는 왕이 몸소 차밭을 일구었다는 기록이 『고려사』 「열전」에 나오고, 고려 의종 21년에는 왕이 귀법사에 거둥하였다가 말을 달려 달령(獺嶺)의 다원(茶院)에 도착했다는 기록도 있다. 그리고 국가 간의 예물로도 차가 쓰여, 송(宋)에서 고려로 혹은 고려에서 요(遼)와 금(金)으로 차를 보낸 기록들이 보인다.

차 문화의 일반화와 상업화

차 문화가 백성들에게도 일반화되고 상업적으로 유통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기록들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요즘의 다방처럼 고려 때는 다점(茶店)이 있었다. 임춘이 쓴 시 중에 「이유의가 다점에서 낮잠 자다」라는 시가 바로 그것! 김극기의 시 「박금천」을 보면 찻물을 길어가기 위해 사람들이 온종일 떠들썩한 모습을 읊었다. 다점이 성행하고, 좋은 찻물을 구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여들었던 모습을 상상해보면, 그 당시 차 문화가 얼마나 일상생활에 가까웠는지 짐작이 간다.

한 줄기 빠른 내가 비로소 근원을 발한 곳은
인가가 끊어진 유산(乳山)의 뿌리.
달고 서늘한 맛이 차 달이기에 알맞아
괴롭게도 도성 사람들이 떠들썩하게 길어가는구나.

한 줄기 시내 어디서부터 근원하였나
유산 아래 흰 바위라네.
차를 달이느라 곳곳의 사람들이 길어가니
오고 가는 사람들로 온종일 떠들썩하네.
-김극기, 「박금천」(薄金川)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박금천은 평양부 북쪽 9리에 있는 내의 이름이다. 또한 고려의 차시에는 용봉차, 몽산차, 자순차 등 중국의 명차와 육우(陸羽), 노동(盧仝), 왕몽(王?) 등 유명한 다인(茶人)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 또한 번성했던 차 문화의 일면을 보여준다 할 것이다.

그들은 정적(政敵)이기 이전에 다인(茶人)이었다

여말선초, 고려와 조선 사이에서 충절과 변절의 길을 걸었던 이들! 정몽주, 이숭인, 정도전 등의 문인들도 격변기의 정적이기 이전에 소탈한 다인(茶人)이었다. 정답게 차를 나누던 이들이 서로에게 칼을 겨누는 사이로 돌아서는 모습은 바로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까.
절의의 충신 정몽주는 늘그막 돌솥에 차를 달이는 호젓한 모습을 시로 읊었다.

늙은 서생은 나라 위해 할 일 없어
습관처럼 차 마시며 세상에는 마음이 없네.
바람 불고 눈 오는 밤 한적한 집에 홀로 누워
돌솥에서 나는 솔바람 소리 듣기를 좋아하노라
-정몽주, 「돌솥에 차를 달이며」

이색은 그의 시에서 차의 효용에 대해 읊었는데, 차를 마시면 몸속의 열이 내려가고 나쁜 기운이 씻기며, 눈까지 맑아진다고 말하고 있다(이색, 「뜨거운 물로 차를 우리다」). 이외에도 이색은 차를 마시는 즐거움을 여러 편의 시로 남기고 있다.
이숭인은 정도전에게 차 끓일 샘물 한 병과 차 한 봉지를 보내며 그 내용을 시로 읊었다.

숭산(崧山) 바위틈을 굽이굽이 흐르는 작은 샘
솔뿌리 얽힌 곳에서 솟아난 것이라오.
오사모(烏紗帽) 쓰고 독서하는 맑은 낮 따분할 제
돌솥에서 찻물 끓는 소리 좋이 들으시구려.
-이숭인, 「차 한 봉지와 안화사 샘물 한 병을 삼봉에게 주며」

삼봉 정도전은 조선의 개국을 도왔던 인물이다. 오사모 쓰고 독서하는 이는 바로 정도전으로, 이숭인은 정도전에게 존경의 마음을 담아 차 선물을 했다. 훗날 정도전은 이숭인을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아 심복을 보내 살해하지만, 그 전에는 이렇게 차와 찻물을 나누던 다인이었다.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삼국시대와 고려의 차 관련 문헌을 엄선, 번역한 것이다.
? 작품의 수록 순서는 저자의 생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단 『동문선』과 『고려사』의 기록은 별도로 장을 마련했는데, 『동문선』에 수록된 시들은 개인 문집이 없는 경우이다.
? 권말에 인명사전과 서명사전 항목을 마련하여, 중요하게 거론되는 사람과 책의 경우 설명을 따로 하였다.
? 가야와 신라, 그리고 고려의 다기(茶器) 유물 사진을 수록하여, 차 문화의 이해를 도왔다.
?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은 전6권으로 간행될 예정이며,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1. 조선 후기의 차 문화 - 시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 - 산문
3. 삼국시대·고려의 차 문화
4. 조선 전기 및 중기의 차 문화(근간)
5. 조선 말기 및 근대의 차 문화(근간)
6. 승려의 차 문화(근간)

목차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삼국시대ㆍ고려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일러두기

삼국시대의 차 문화
최지원 崔致遠,857~?

고려의 차 문화
김극기 金克己,?~1209
임춘 林春,1148~1186
이인로 李仁老,1152~1220
이규보 李奎報,1168~1241
백비화 白費華,1180~1224
이승휴 李承休,1224~1300
홍간 洪侃,?~1304
안축 安軸,1282~1367
이제현 李齊賢,1287~1367
민사평 閔思平,1295~1359
이곡 李穀,1298~1351
정포 鄭?,1309~1345
이집 李集,1327~1387
이색 李穡, 1328~1396
원천석 元天錫,1330~?
정추 鄭樞,1333~1382
한수 韓脩,1333~1384
김구용 金九容,1337~1384
정몽주 鄭夢周,1337~1391
성석린 成石璘,1338~1423
이첨 李詹,1345~1405
조준 趙浚,1346~1405
이숭인 李崇仁,1347~1391
이행 李行,1352~1432
길재 吉再,1353~1419
정총 鄭摠,1358~1397
이종학 李種學,1361~1392
『동문선』東文選
『고려사』高麗史외
인명 사전
서명 사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 송재소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역자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역자 정해렴
현대실학사 대표

역자 조창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

역자 이규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도서소개

한국의 차 문화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정리하는 작품집 『한국의 차 문화 천년. 3』. 인간의 기호식품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차는 우리 역사상 어느 때보다 지금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우리의 유구한 차 문화 전통을 문학작품과 역사의 이야기 속에서 종합 정리함으로써 이 땅의 차 문화를 깊고 내밀하게 들여다본다. 제2권은 이익의 「다식」에서부터 이덕리의 「기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총 29명의 차와 관련된 산문을 수록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