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임영조 시선

임영조 시선

  • 임영조
  • |
  • 커뮤니케이션북스
  • |
  • 2012-12-27 출간
  • |
  • 236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6263
판매가

19,8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평생을 좋은 시 쓰기에 몰두하는 자세로 산 시인 임영조. 철들어 가는 인생의 과정에서 깨달은 삶의 비의들을 보편적인 소재와 친숙한 언어, 간결한 구문으로 가슴부터 울리는 노래로 승화시켜 이웃들과 나누고자 했던 그의 시를 모았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 근현대시선’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쉽고 간결한 시어 속에 삶의 깊은 비의를 담보하며, 일상과 밀착된 진중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자기반성의 과정을 촌철살인의 해학성과 달관의 주제의식을 통해 ‘언어의 꽃’으로 승화시킨 임영조는 삶과 시, 일상과 초월, 대상과 자아가 하나로 통합되는 시적 긴장의 순간을 가장 적확하고 예리한 붓끝으로 통찰해 온 천생 시인이다. 20년 세월을 시계추처럼 한결같이 성실한 직장인으로 살며 생활의 터전을 일구어 오면서도 그에 버금가는 충만한 시적 세계를 선보이는가 하면, 한순간 삶의 자리를 시작(詩作)의 절해고도인 ‘이소당(耳笑堂)’으로 옮겨 오로지 시 쓰기의 고행에만 온몸을 내던지기도 하는 등 임영조의 인생길은 그 자체로 인간 생활사와 자연 섭리의 표리를 두루 보듬어 안으며 풍요롭고도 염결한 시 세계를 우직하게 완성해 온 구도자의 행보였다고 평할 만하다.
그는 “누가 불러도 다시는 돌아가지 않을 듯/ 나 홀로 떠나는 즐거운 유배!”(<즐거운 유배>)를 자처하며 평생을 행복한 시 쓰기에 골몰했던 시인임이 분명하다. “‘시인’이란 대저,/ 한평생 제 영혼을 헹구는 사람/ 그 노래 멀리서 누군가 읽고/ 너무 반가워 가슴 벅찬 올실로/ 손수 짜서 씌워 주는 모자 같은 것”(<시인의 모자>)이라고 노래했던 것처럼 임영조는 소박하고 튼튼한 “시인의 모자”를 바투 쓰고 그 “모자값”을 톡톡히 해 왔던 시인이다. “‘시인’이란 작위”를 평생 가슴에 달고 성실한 생활 시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했던 시인 임영조, 그는 살아생전 그가 바랐던바 독자들의 마음속에 “진짜 좋은 시 한 편 얻기 위해 평생을 노심초사한 시인”으로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다.

목차

해동갑 ······················3

≪바람이 남긴 은어≫
사십 줄 나이 ···················7
꽃을 위하여 ····················8
木瓜나무 ·····················9
안경알을 닦으며 ·················11
바람의 탈 ····················13
겨울나무 ····················15
땡감에게 ····················16
出航 ······················18
木手의 노래 ···················21
轉屬 ······················24
斡旋 ······················26
自鳴鼓·1 ····················28
同行歌 ·····················30

≪그림자를 지우며≫
春蘭 ······················35
耳鳴 ······················36
詩 짓기 ·····················37
鳥籠을 보며 ···················39
現像實技 ····················41
2월 ·······················43
손금 ······················44
파도 ······················46
출타 중 ·····················48
蘭값이 파값보다 ·················50
괄호 속에서 ···················51
白磁頌 ·····················53
허수아비의 춤·2 ·················55
시계 ······················58
詩題 ······················60
섬 ·······················61
안부 ······················63
꽃辭說 ·····················64
蘭을 보며 ····················66
여치 ······················68

≪갈대는 배후가 없다≫
성냥 ······················71
나무의 四季 ···················73
果川別曲 ····················75
自?像 ·····················77
눈 오는 날에 ···················78
안전선 밖에 서서 ·················80
넥타이 ·····················82
綠茶를 끓이며 ··················84
6월 ·······················86
손 ·······················88
12월 ······················90
환절기 ·····················92
리모콘 ·····················94
50을 바라보며 ··················96
갈대는 배후가 없다 ················97
아웃사이더 시대 ·················99
知天命 ·····················101
염소를 찾아서·2 ················102

≪귀로 웃는 집≫
겨울 산행 ····················107
도꼬마리씨 하나 ·················109
익명의 스냅 ···················111
매미 껍질 ····················113
지네 ······················115
거미 ······················116
孤島를 위하여 ··················118
나비 ······················120
봄 산행 ·····················122
여름 산행 ····················124
덩굴장미 ····················126
벌 ·······················128
나팔꽃 ·····················130
시 읽기 1 ····················132
이소당 시편 1 ··················133
이소당 시편 4 ··················135
이소당 시편 6 ··················137
天池를 보다 ···················139
직소폭포 ····················141
문장대에 오르다 ·················143

≪지도에 없는 섬 하나를 안다≫
틈 ·······················149
고등어 ·····················151
빨래 ······················153
겨울 통신 ····················155
강화도 시첩 2 ··················157
강화도 시첩 3 ··················159
머위씨 이야기 ··················161
그 섬에 가면 ··················163
멀어서 아름다운 것 ···············165
그대에게 가는 길 6 ···············167
남해금산 ····················169
즐거운 유배 ···················171
신륵사 목어 ···················175
방생 ······················177

≪시인의 모자≫
오이도 ·····················181
느티나무 타불 ··················183
첼로를 켜는 여자 ················185
따뜻한 등짐 ···················187
석류 부처 ····················189
시인의 모자 ···················191
나무는 죽어서도 나무다 ·············193
너무 멀리 와 있네 ················195
나의 다비는 ···················197
지천명 ·····················198
상생의 힘 ····················199
사막 3 ·····················201
너는 나와 다르다 ················203
풀쐐기집 ····················204

해설 ······················207
지은이에 대해 ··················223
엮은이에 대해 ··················225

저자소개

저자 임영조(任永祚, 1943~2003)는 1943년 10월 19일 충남 보령시 주산면 황율리에서 태어났으며, 주산초등학교, 주산중학교와 서울 대동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주산중학교 재학 시절, 지리 교사로 부임한 신동엽 시인으로부터 ‘기억력 좋고 글 잘 쓰는 아이’로 주목받았던 임영조는 고등학교 진학 후 ≪진달래≫, ≪한국 명시 전집≫, ≪한국 시인 전집≫ 등을 독파하면서 시에 눈뜨기 시작했고 신동엽 시인의 ‘무릎제자’가 되어 본격적인 시작(詩作) 지도를 받았다. 1965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진학 후 서정주, 박목월, 김구용, 김수영, 이형기, 함동선, 김동리, 손소희 등 한국 문단의 거장들 문하에서 본격적인 문학 수업을 받았다. 군 복무 후 대전 근교의 비래사에서 6개월간 시 쓰기에만 골몰하며 30여 편의 습작시를 창작한 시인은 1970년 ≪월간문학≫ 제6회 신인상에 《出航》이, 197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木手의 노래》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1975년 ‘육성동인(肉聲同人)’을 결성해 사화집 ≪육성(肉聲)≫ I, II를 펴냈다. 10여 년의 공백을 깨고 1985년 첫 시집 ≪바람이 남긴 은어≫를 발표하며 시작 활동을 재개한 시인은 이후 ≪그림자를 지우며≫(1988), ≪갈대는 배후가 없다≫(1992), ≪귀로 웃는 집≫(1997), ≪지도에 없는 섬 하나를 안다≫(2000), ≪시인의 모자≫(2003) 등의 시집과 시선집 ≪흔들리는 보리밭≫(1996),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고도를 위하여 외≫(1994)를 출판했으며, 1989년 제23회 잡지언론상(기업사보 부문), 1991년 제1회 서라벌문학상, 1993년 제38회 현대문학상, 1994년 제9회 소월시문학상, 2003년 소월시문학상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1994년, 생업인 오랜 회사 생활을 접고 동작구 사당동에 ‘이소당(耳笑堂)’이라는 작업실을 마련해 시작과 독서에만 전념하던 시인은 여러 대학의 문예창작학과에서 시 창작을 지도하고 한국 시인 협회 임원으로 활동하는 등 시인으로서의 충실한 삶을 영위하다가 갑작스러운 발병으로 2003년 5월 28일 타계했다.

도서소개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작품만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시리즈 『임영조 시선』. 철들어 가는 인생의 과정에서 깨달은 삶의 비의들을 보편적인 소재와 친숙한 언어, 간결한 구문으로 가슴부터 울리는 노래로 승화시켜 이웃들과 나누고자 했던 시인 임영조의 시를 모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