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전봉건 시선

전봉건 시선

  • 전봉건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8-13 출간
  • |
  • 151페이지
  • |
  • 148 X 210 X 20 mm
  • |
  • ISBN 9788966804160
판매가

19,8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모더니즘의 감각을 시력(詩歷)의 마지막까지 고수한, 전후 모더니스트 전봉건의 대표 시 60편을 소개한다. 전봉건은 상황의 비극성을 명분을 앞세운 절규로 드러내지 않고, 언어의 데생 작업을 한다. 묘사적 상상력이 전쟁을 전유하고 시각 영상으로 펴 보이는 전봉건의 시관(詩觀)을 통해, 독특한 지성으로 그려진 한국전쟁의 상흔을 엿볼 수 있다.

그림으로 그린 포화(砲火)

6·25의 기억을 모티프로 한 시 중엔 전화(戰禍)의 고통을 지적 ‘오브제(objet)’로 그려 낸 의외의 가편들이 있다. 숨 막히는 상황 속에서도 비극을 미학화해 낸 작품들이라 하겠는데, 우리는 이와 관련해 시인 전봉건(全鳳健)의 이름을 기억한다. ‘전후 모더니스트’라 명명돼 온 이유도 그러한 개성을 시단에 과감하게 선보였던 테크니션이었기 때문이다. 전봉건은 청각적 심상마저도 묘사의 어법을 고수함으로써 시를 하나의 ‘캔버스’로 일으켜 세웠다.
한마디로 전봉건의 시는 ‘말로 그린 데생’이라 할 수 있다. 작시법 면에서 ‘묘사’의 일관된 경도가 전봉건을 전후 모더니스트 중 가장 개성적 반열에 오르게 한 것이다. 시인은 그 아비규환이 가득한 상황에서 각종 이질적 이미지들을 지적인 대위법(對位法)으로 처리하는 천재성을 보여 주었다. 때문에 전란의 상황을 고발하기 위한 진술이나 영탄 등은 그의 시에서 잘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전봉건의 시관(詩觀)을 엿볼 수 있게 하는 단서이기도 하다. 그의 시에서 전란과 관련한 ‘파토스(pathos)’는 대개 묘사의 부수 효과로 일어나지만, 그 파토스 자체를 목적으로 쓴 경우보다 독자의 가슴을 강렬하게 울린다.
전봉건의 손에 닿은 이미지들은 어떤 것이든 그 지성의 아틀리에에서 황홀한 비극의 데생으로 완성된다. 우리 시사가, 김종삼의 <평화롭게>에서 ‘평화로움’의 세계나 김춘수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에서 ‘부다페스트’의 세계처럼, 시대의 참상을 지적 언어로 처리해 낸 경우가 없진 않았다. 그러나 모더니즘 시들이 종횡무진 하는 작금의 시단에서 현대 시사를 회고해 본다면, 전봉건은 앞 두 시인보다 더 지속적인 데생을 꿈꾼 자다. 시업의 전 시기를 회화의 의지 하나로 밀고 나간 사람이기 때문이다.

목차

≪꿈속의 뼈≫
祝禱
장난
BISCUITS
속의 바다·3
속의 바다·19
儀式·1
儀式·3
儀式·4

피아노

乳房
太陽
말·3
말·4
코스모스
제비
가을 나그네

動物園
그림
女子
꽃과 下降
여름 1977
여름
無題
요즈음의 詩
가을

≪새들에게≫
1954年의 4月은 왔다
꿈과 포키트
音樂
오늘
江河
歐羅巴의 어느 곳에서
希望
薔薇의 意味
지금 아름다운 꽃들의 意味
江물이 흐르는 너의 곁에서
10月의 少女
빛에 대하여
바다의 편지
겨울 野獸
챔피언
全部 童話 같은
童話
아침의 여자
새끼 새 한 마리

장맛
여름 여자
햇살
새들에게
여름 예수

≪돌≫
돌·1
돌·5
돌·23
돌·27
돌·28
돌·31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전봉건(1928∼1988)은 1928년 평안남도 안주군 동면 명확리에서 부친 전형순과 모친 최성준의 일곱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시인 전봉래(全鳳來)의 동생이자 음악가 전봉초(全鳳楚)의 종제(從弟)다. 어린 시절부터 내성적이었기에 혼자 소년 소녀 서적 등을 탐독하는 일이 많았고, 독서 취미에 빠져 입학시험에 낙방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1945년에 평양 숭인학교를 졸업하고 전봉래를 통해 문학 세계에 발을 디뎠으며, 집중해서 시를 쓰기 시작한 때는 어린 시절 아파서 학교를 쉬던 시절부터였다고 한다. 1946년에 삼팔선을 넘어 월남했고, 1950년에 ≪문예≫지에 서정주와 김영랑이 그의 <원>, <사월>, <축도>를 추천했다. 그해 생활고 때문에 경기도 지역의 갈매국민학교에서 준교사를 하다가 6·25전쟁 때 징집됐다. 1951년 군위생병으로 근무하던 중 중공군의 진격 때문에 중동부 전선에서 부상을 입었고, 제대 후엔 대구 피난민 수용소에서 지냈다. 이 시기 김종삼, 이철범, 최계락 등과 교유했다. 1953년 이후 서울로 와서 ‘희망사’에 취직해 출판업에 손을 댔고, 1964년엔 월간 ≪문학춘추≫의 편집 일을 했으며, 1969년엔 월간 ≪현대시학≫을 창간해 주간을 맡기도 했다. 1957년 김광림, 김종삼 등과 공동 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자유세계사)를 간행했고, 1959년에 시집 ≪사랑을 위한 되풀이≫(춘조사)로 제3회 한국시인협회상을 받았다. 1961년엔 시론집 ≪시를 찾아서≫(청운출판사)를 냈으며, 1969년엔 장시집 ≪춘향연가≫(성문각)를 냈다. 1979년엔 시집 ≪피리≫(문학예술사)를 통해 대한민국문학상을 받았다. 1980년엔 시선집 ≪꿈속의 뼈≫(근역서제)를 냈고, 그해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1982년엔 시집 ≪북의 고향≫(명지상)을 냈다. 1983년에 시선집 ≪새들에게≫(고려원)를, 1984년에 시집 ≪돌≫(현대문학사)을 냈고, 이해 대한민국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1985년에 시선집 ≪전봉건 시선≫(탐구당)과 장시집인 ≪사랑을 위한 되풀이≫(혜진서관)를 냈다. 1986년엔 시화집 ≪트럼펫 천사≫(어문각)와 수필집 ≪플루트와 갈매기≫(어문각)를, 1987년엔 시선집 ≪아지랭이 그리고 아픔≫(혜원출판사) 및 ≪기다리기≫(문학사상사)를, 그리고 수필집 ≪뱃길 끊긴 나루에서≫(고려원)를 냈다. 1988년 6월 13일을 일기로 작고했다.

도서소개

『전봉건 시선』은 모더니즘의 감각을 시력의 마지막까지 고수한, 전후 모더니스트 전봉건의 대표 시 60편을 담은 시집이다. 전봉건은 상황의 비극성을 명분을 앞세운 절규로 드러내지 않고, 언어의 데생 작업을 한다. 묘사적 상상력이 전쟁을 전유하고 시각 영상으로 펴 보이는 전봉건의 시관을 통해, 독특한 지성으로 그려진 한국전쟁의 상흔을 엿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