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봉선화

봉선화

  • 이봉선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5-16 출간
  • |
  • 120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4566
판매가

17,800원

즉시할인가

16,0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0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십 대에 이미 명기(名妓)로서 시명(詩名)을 날리고 독립운동가 김홍조와의 열렬한 사랑으로 온 경남 지방을 떠들썩하게 했던 구소 이봉선. 그러나 당대 최대 규모의 시사에서 활동하고 스스로의 시집을 자편할 만큼 활발히 문예 활동을 펼쳤던 그녀의 모습은 양반가 소실이라는 사회적 제도에 묻혀 버렸다. 격동의 근현대기에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적극적으로 활동했던 여류 문인의 자취를 이 귀한 시집에서 찾을 수 있다.

구소 이봉선의 한시는 대부분 그의 나이 10대 후반에서 20대까지 창작되었다. 그런데 10여 년에 걸쳐 창작된 이봉선의 한시는 매우 다채로운 변화를 보여 준다.
처음 전국적인 규모의 시사(詩社)인 신해음사(辛亥?社)에 한시를 투고하며 작가로서의 자의식을 형성해 가던 시기, 이봉선은 자신의 창작의 방향을 식민지 현실과 이에 대한 인식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설정한 듯하다. 그런데 이봉선의 창작 방향은 갑자기 변화한다. 그의 시집에서 정치적·사회적 현실을 직접적으로 묘사한 시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대신 이봉선은 청(淸)·백(白) 등의 맑고 깨끗한 이미지를 추구하고, 자신의 생활 공간을 신선 세계로 묘사하는 시상을 전개했다.
이봉선이 한시에서 사회성, 역사성 짙은 자의식을 토로하다가 갑자기 그 시상을 감춘 것은 우선 1910년대 식민지에 드리운 검열과 통제가 큰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이봉선이 시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활동했던 신해음사가 탈정치를 표방했기 때문인 듯하다.
이후 이봉선은 두 번째 남편인 김홍조(金弘祚, 1863∼1922)와의 격렬한 연정(戀情)을 시로 표현했다. 또 이봉선은 자연의 이법,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삶과 사유 등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작가 이봉선의 모습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1922년 김홍조가 세상을 떠나고 난 뒤 정태균의 소실이 된 이봉선은 작가의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그런데 이봉선은 창작을 그만둔 지 수십 년이 흐른 뒤인 1980년, 그의 두 번째 남편 김홍조가 1919년 3·1운동 이후 상하이로 독립운동을 위해 떠나던 때를 회상하며, 김홍조에 대한 그리움과 그의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 등을 격렬한 만사(輓詞)로 지었다. 이봉선이 1980년에 쓴 <추전령은 상해로 가시다>다. 이 만사에서 이봉선은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의 독립운동을 위해 떠나는 김홍조와 그의 조력자인 자신의 모습 그리고 두 사람의 연정을 매우 사실적으로 기록했다. 여기서 한시에서 사라진 1920년대 이후의 이봉선의 의식과 행동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우리는 이봉선의 한시를 통해 그가 김홍조와 정태균의 소실로서 각각 어떠한 삶을 살았던가를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봉선이 남긴 두 편의 산문을 통해 그가 30대 이후에 식민지 시대를 거쳐 근현대를 어떻게 살아갔는지, 기생 출신 소실의 삶과 문학 환경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신분제가 철폐된 뒤에도 기생 출신은 신분에 대한 관습적 인식을 벗어나기가 어려웠다. 기생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은 제도가 철폐되어도 쉽사리 사라지지 않고 계속되었던 것이다. 이봉선과 김홍조의 관계 그리고 정태균의 관계는 관기 제도가 철폐된 뒤에도 여전히 가족의 경계 주변에 머물렀던 기생 출신 시인들의 삶의 행로를 잘 보여 주는 듯하다.

목차

자서 ·······················3
세모 ·······················5
족두리풀 ·····················6
등잔불 ······················7
작천정에 오르다 ··················8
시골 생각 ·····················9
여름밤에 우연히 읊다 ···············11
고아하게 읊다 ··················12
또 ·······················13
산속 정자에서 더위를 피하다 ···········14
기러기 울음을 듣다 ················15
어린 종이 산도화 몇 가지를 꺾어 오기에 병에 꽂으며 그 자리에서 읊다 ···············16
치통으로 부산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한가한 틈을 타 여러 노선생들과 함께하다 ············17
또 ·······················18
참령 이단우 대감의 시에 화답하다 ·········19
또 ·······················20
서천 이동연 영감에게 화답하며 ··········21
요양하며 홀로 읊다 ················23
술회 ······················25
또 ·······················26
또 ·······················28
평양 소홍의 시에 화운하다 ············29
우연히 읊다 ···················31
중양절 뒤 달밤에 읊다 ··············32
또 ·······················33
반산에서 김 선생의 수연을 축하하며 ········34
반구대에서 중양절날 포은 정 선생의 운으로 부르다 ·36
통도사 ·····················38
석남사 월하선사의 편액에 차운하다 ········39
화장암 ·····················40
아름다운 모임 ··················42
가을밤 ·····················43
우연히 읊다 ···················44
가을밤에 ····················45
봄을 보내며 ···················46
술회 ······················47
중양절에 작천정을 오르다 ·············48
작천정 편액 시 ··················49
편액을 거는 날 여러 선생과 더불어 읊다 ······51
단옷날 ·····················52
여름날 작천정에 올라 ···············53
또 ·······················54
비에 갇혀 지은 시에 화답하다 ···········55
작천정에 오르다 ·················56
새봄 ······················57
또 ·······················58
눈 ·······················59
술회 ······················60
세모 생각 ····················61
단풍을 감상하며 정자에 오르다 ··········62
승지 김추전 영감과 함께 작천정에서 읊다 ······63
또 ·······················65
또 ·······················66
또 ·······················67
또 ·······················68
문수암에서 어머니 재를 올리고 ··········69
일본 유학생에게 화답하다(추전 영감의 매형) ····70
아름다운 모임 ··················71
경성에 편지를 부치다 ··············72
4월 작천정에 올라 ················73
우연히 읊다 ···················74
박연수 어른의 80세 경사스러운 잔치 시에 차운하다 ·75
술회 ······················77
추전령은 상하이로 가시다 ·············79

부록
이봉선 육필원고 ·················87
옛 서문. 인사동 해사당 편지 ············92
≪천인재지언≫의 서문 ··············95
오병선의 서문 ··················99
종부 인동 장씨 제문 ···············102

해설 ······················107
지은이에 대해 ··················112
옮긴이에 대해 ··················118

저자소개

저자 이봉선(李鳳仙, 1894∼1992)은 경남 언양 지방에서 한시, 서예, 거문고 솜씨뿐만 아니라 빼어난 미모로 이름을 떨친 기생 출신 한시 작가다. 이봉선의 부모는 무남독녀였던 딸을 학식과 재능이 있는 기생으로 기르기 위해 어려서부터 교육했다. 그리하여 종조부에게 천자문을 배웠고, 10세 무렵에는 언양 지방의 한학자이자 소설가 오영수의 조부인 오병선이 열었던 서당에서 경서와 사서 등을 배웠다. 17세 즈음에는 한시 작법을 배웠다. 그리하여 이봉선은 기방에서 자랐지만 담박한 은자의 풍모가 있었다고 한다. 은 경남 언양 지방에서 한시, 서예, 거문고 솜씨뿐만 아니라 빼어난 미모로 이름을 떨친 기생 출신 한시 작가다. 이봉선의 부모는 무남독녀였던 딸을 학식과 재능이 있는 기생으로 기르기 위해 어려서부터 교육했다. 그리하여 종조부에게 천자문을 배웠고, 10세 무렵에는 언양 지방의 한학자이자 소설가 오영수의 조부인 오병선이 열었던 서당에서 경서와 사서 등을 배웠다. 17세 즈음에는 한시 작법을 배웠다. 그리하여 이봉선은 기방에서 자랐지만 담박한 은자의 풍모가 있었다고 한다. 이봉선은 근대 전환기에 한시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한 여성 작가였다. 이봉선은 1911년에 결성된 전국적인 규모이자 당시 최대의 시사인 신해음사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시인으로서의 자신의 재능을 알렸다. 이봉선의 신해음사 시사 참여와 창작 활동은 그의 첫 남편인 오무근(吳武根)과 함께 고향인 언양에서 시작되었다. 이봉선은 오무근과 함께 신해음사에 시를 발표하다가 1914년 전후에 오무근과 헤어졌고 이후 신해음사 활동도 주춤했다. 다만 신해음사의 시사집 편집과 발행에 처음부터 간여해 신해음사의 실상을 가장 잘 아는 인물인 안왕거가 이봉선의 활동 기간을 1916년으로 언급한 것을 보면, 이봉선은 오무근과 헤어지고 난 뒤에도 신해음사의 시사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봉선은 오무근과 헤어진 뒤, 김홍조(金弘祚, 1868∼1922)의 소실이 되었다. 김홍조는 울산 지방의 거부로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다. 장지연이 ≪경남일보≫에 황현(黃玹)의 <절명시(絶命始)>를 발표할 때에 김홍조가 사장이었고, 이 사건 이후 ≪경남일보≫는 정간당했다. 김홍조는 1919년 만세 운동 이후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했는데, 이봉선은 김홍조의 곁에서 그를 지지했다. 한편 이봉선과 김홍조의 사랑 이야기는 지금까지도 언양에서 유명한 일화로 남아 있다. 하지만 이봉선은 김홍조 집안에서 기첩(妓妾)으로 인식되었던 듯하다. 그리하여 김홍조 사후 3년상도 마치지 못한 채 이봉선은 그의 집을 떠나야 했다. 김홍조 사후 이봉선은 다시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후손이자 종손인 모와(某窩) 정태균(鄭泰均)의 소실이 되었다. 정태균의 소실이 된 이후 이봉선은 비로소 가첩(家妾)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시인 이봉선의 모습은 정태균의 소실이 된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그러나 그 창작 기간이 길었던 것 같지는 않다. 김홍조 사후의 이봉선의 한시는 시집, 신해음사 시사집, 기타 지면에서도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도서소개

『봉선화』는 십 대에 이미 명기로서 시명을 날리고 독립운동가 김홍조와의 열렬한 사랑으로 온 경남 지방을 떠들썩하게 했던 구소 이봉선의 시를 엮은 것이다. 이봉선의 한시를 통해 그가 김홍조와 정태균의 소실로서 각각 어떠한 삶을 살았던가를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봉선이 남긴 두 편의 산문을 통해 그가 30대 이후에 식민지 시대를 거쳐 근현대를 어떻게 살아갔는지, 기생 출신 소실의 삶과 문학 환경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상세이미지

봉선화(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