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1-30 출간
  • |
  • 547페이지
  • |
  • 148 X 210 X 35 mm
  • |
  • ISBN 9788966802227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구조주의의 선구자로 불리는 소쉬르가 주네브 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기록하고 편집한 책이다. 소쉬르의 사상과 연구 성과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의 제반 영역에 걸쳐 커다란 획을 그었다고 평가 받는다. 모든 언어를 구조적 틀 내에서 바라봄으로써 보이지 않는 법칙과 원리까지 발견하려는 소쉬르의 연구 방법이 돋보인다.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가 만년에 주네브 대학에서 3차에 걸쳐 강의한 노트들을 바이와 세슈에가 한 권의 책으로 편집해서 출간한 것이다. 1907년 1월에 시작된 1차 강의는 비판적 수용 단계로서 기존 언어학의 용어를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기호’나 ‘가치’ 등의 공시, 일반 언어학과 관련된 용어는 가능한 한 피했다. 1908∼1909년의 2차 강의는 재해석과 방법적 모색의 단계로서 서론은 소쉬르의 언어학에 대한 일관성 있는 해설이다. 일반언어학적 주제로서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인도유럽언어학과 일반언어학의 문제를 다루었다. 1910∼1911년의 3차 강의는 새 패러다임을 구축해 소개한 강의로서 소쉬르의 사고를 보여 주는 가장 충실한 강의이며, 언어철학적인 인식론을 이 강의에서 잘 보여 주고 있다.
마르크스가 사회경제사의 큰 흐름의 방향을 제시하고 프로이트가 인간 심리의 숨겨진 무의식 세계를 발견했을 때, 소쉬르는 인간 정신과 문화의 매개이자 담지자인 언어의 과학적 탐구를 통해 다가올 새로운 시기의 과학 패러다임을 추구했다. 그가 20세기 인문과학에 미친 영향의 역사적 의미는 구조주의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을 만들어 낸 데에 있다. 유럽의 구조주의학파들은 ≪일반언어학 강의≫에 제시된 혁신적인 언어 이론과 인식론, 철학적 성찰을 수용해서 각기 독자적으로 연구 관점과 대상, 방법론을 쇄신해 학적 체계를 재구성해서 발전을 도모했다. 따라서 구조적 인식, 즉 구조의 틀 내에서 사고함으로써 과학의 제반 영역에서 숨겨진 보이지 않는 원리와 법칙을 발견하려는 인식과 과학적 절차를 제시한 공적은 바로 소쉬르에게서 유래한다. 인문학의 제반 영역, 즉 언어학을 비롯해 인류학, 문학, 철학, 정신분석학, 해석학, 기호학, 사회학과 같은 학문들이 경이적으로 발전한 것도 구조적 패러다임 덕택이었다.

목차

초판 서문 ····················xv
재판 서문 ···················xxiii
3판 서문 ····················xxiv

서론
제1장 언어학사 일별 ················3
제2장 언어학의 주제와 과제: 인접 과학과의 관계 ···14
제3장 언어학의 대상 ···············18
1. 언어, 그 정의 ···············18
2. 인간언어 현상에서 차지하는 언어의 위치 ···25
3. 인간 현상 내에서 언어의 위치, 기호학 ····33
제4장 언어의 언어학과 발화의 언어학 ········38
제5장 언어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 ········43
제6장 문자법에 의한 언어 표기 ···········49
1. 이 주제를 연구할 필요성 ··········49
2. 문자법의 위력, 구어 형태보다 우월한 원인 ··50
3. 문자 체계 ·················54
4. 문자법과 발음의 불일치 원인 ········56
5. 불일치의 결과 ···············60
제7장 음운론 ···················67
1. 정의 ···················67
2. 음운론적 문자 체계 ·············69
3. 문자 체계의 증언에 대한 비판 ········71

부록 음운론의 원리
제1장 음운종(音韻種) ···············79
1. 음소의 정의 ················79
2. 발성 기관과 그 기능 ············85
3. 구강의 조음에 따른 음성 분류 ········90
제2장 발화 연쇄의 음소 ·············102
1. 음성을 발화 연쇄에서 연구해야 할 필요성 ··102
2. 내파와 외파 ···············106
3. 발화 연쇄에서 일어나는 외파와 내파의 결합 ·112
4. 음절 경계와 모음점 ············117
5. 음절 구분 이론에 대한 비판 ·········119
6. 내파와 외파의 지속 ············122
7. 간극 4의 음소, 이중모음, 문자의 문제점 ···124

제1부 일반 원리
제1장 언어 기호의 성격 ·············133
1. 기호, 기의, 기표 ··············133
2. 제1원리: 기호의 자의성 ··········138
3. 제2원리: 기표의 선적 특성 ·········142
제2장 기호의 불변성과 가변성 ··········145
1. 불변성 ··················145
2. 가변성 ··················152
제3장 정태언어학과 진화언어학 ··········161
1. 가치를 다루는 모든 과학의 내적 이중성 ···161
2. 언어의 내적 이중성과 언어학사 ·······166
3. 실례를 통해서 본 언어의 내적 이중성 ····169
4. 비교를 통해서 본 두 차원의 차이 ······178
5. 방법과 원리가 대립되는 두 언어학 ······183
6. 공시적 법칙과 통시적 법칙 ·········186
7. 범시적 관점이 있는가? ···········193
8. 공시와 통시의 혼동으로 생겨난 결과들 ····195
9. 결론 ···················199

제2부 공시언어학
제1장 개요 ···················207
제2장 언어의 구체적 본체 ············210
1. 본체와 단위, 정의들 ············210
2. 단위 구분의 방법 ·············213
3. 단위 구분의 실제적 난점 ··········215
4. 결론 ···················218
제3장 동일성, 실체, 가치 ·············220
제4장 언어 가치 ·················228
1. 음성 재료로 조직된 사상으로서의 언어 ····228
2. 개념적 측면에서 본 언어 가치 ········232
3. 질료적 측면에서 본 언어 가치 ········240
4. 전체로 본 기호 ··············245
제5장 통합 관계와 연합 관계 ···········250
1. 정의 ···················250
2. 통합 관계 ················252
3. 연합 관계 ················255
제6장 언어의 메커니즘 ··············259
1. 통합적 연대 ···············259
2. 두 형태의 어군의 동시적 기능 작용 ·····261
3. 절대적 자의성과 상대적 자의성 ·······266
제7장 문법과 그 하위 구분 ············272
1. 정의: 전통적 하위 구분 ···········272
2. 합리적 구분 ···············275
제8장 문법에서 추상적 본체의 역할 ········278

제3부 통시언어학
제1장 개요 ···················285
제2장 음성 변화 ·················292
1. 절대적 규칙성 ··············292
2. 음성 변화의 조건 ·············293
3. 방법적 문제 ···············296
4. 음성 변화의 원인 ·············299
5. 음성 변화의 작용은 무한하다 ········308
제3장 음성 진화의 문법적 결과 ··········312
1. 문법 관계의 단절 ·············312
2. 단어 합성의 소멸 ·············314
3. 음성적 쌍립어는 없다 ···········317
4. 교체 ···················320
5. 교체의 법칙 ···············322
6. 교체와 문법 관계 ·············326
제4장 유추 ···················328
1. 정의와 실례 ···············328
2. 유추는 변화가 아니다 ···········332
3. 유추: 언어 창조의 원리 ···········336
제5장 유추와 언어 진화 ·············344
1. 유추 혁신은 어떻게 언어에 들어오는가? ···344
2. 유추 혁신: 해석 변화의 징조 ········346
3. 유추: 쇄신과 보존의 원리 ··········350
제6장 민간 어원 ·················355
제7장 교착 ···················360
1. 정의 ···················360
2. 교착과 유추 ···············362
제8장 통시적 단위, 동일성, 실체 ··········366

제2부와 제3부에 대한 보충 강의 ··········373
A. 주관적 분석과 객관적 분석 ·········373
B. 주관적 분석과 하위 단위의 결정 ······377
C. 어원학 ··················385

제4부 지리언어학
제1장 언어의 다양성 ···············391
제2장 복잡한 지리적 다양성 ···········396
1. 한 지점에 여러 언어가 공존하는 경우 ····396
2. 문학어와 지역 개별어 ···········400
제3장 지리적 다양성의 원인 ···········403
1. 본질적 원인, 시간 ·············403
2. 인접 지역에 대한 시간의 작용 ········407
3. 방언에는 자연적 경계가 없다 ········412
4. 언어들 사이에는 자연적 경계가 없다 ·····417
제4장 언어파의 전파 ···············421
1. 상호 교류와 지방색 ············421
2. 단일 원리로 귀결되는 두 가지 힘 ······425
3. 분리된 영토에서 일어나는 언어 분화 ·····427

제5부 회고언어학의 문제, 결론
제1장 통시언어학의 두 관점 ···········437
제2장 가장 오래된 언어와 원형 ··········443
제3장 재구 ···················449
1. 재구의 성격과 목적 ············449
2. 재구의 확실성 정도 ············453
제4장 인류학과 선사학에서 언어의 증언 ······457
1. 언어와 인종 ···············457
2. 민족성 ··················459
3. 언어 고생물학 ··············461
4. 언어 유형과 사회 집단의 정신 ········467
제5장 어족과 언어 유형 ·············471

언어 주해 ····················479
찾아보기 ····················523

해설 ······················537
지은이에 대해 ··················546
옮긴이에 대해 ··················547

저자소개

저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는 1857년 11월 26일에 스위스 주네브에서 태어나 1913년 2월 22일에 운명을 달리했다. 그의 일생은 학문의 구도자로서 외길을 걸은 것뿐이다. 우선 독일 시기를 보면 1876∼1878년에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세기적 저서인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 체계에 관한 논고≫(1878)와 박사학위 논문 <산스크리트어 절대 속격의 용법>(1880)을 발표했다. 다음으로 파리 시기는 주로 파리 고등연구원에서 게르만어 비교문법, 그리스어와 라틴어 비교문법을 강의했다. 주네브 시기는 1891년 11월 주네브 대학의 인도유럽어 비교역사언어학과 산스크리트어 교수로 임명되면서 시작된다. 1896∼1910년에는 그리스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비교역사문법을 강의했고 1896∼1912년에는 게르만어 비교문법, 1912∼1913년에는 게르만어 비교문법 및 니벨룽겐을 강의했으며, 게르만 전설을 연구했다. 일반언어학 강의는 3차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1907년 1월부터 1차 강의, 1908∼1909년에 2차 강의, 1910∼1911년에 3차 강의를 했다.

도서소개

『일반언어학 강의』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만년에 주네브 대학에서 3차에 걸쳐 강의한 노트들을 바이와 세슈어가 한 권을 편집하여 엮은 책이다. 서구 사상사와 인문학적 성찰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현대언어학의 패러다임의 기초가 되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