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두보 시선

두보 시선

  • 두보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1-09-10 출간
  • |
  • 195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88964068168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원전에 실린 작품의 수는 1457수다. 이 가운데 본서에 실린 작품은 단 62수에 불과해 아쉬운 느낌이 있으나, 가급적 다양한 시풍의 시를 다각적으로 소개하려 했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으려 한다.
국내에 두보 시의 완역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으나 선집은 적지 않게 나와 있는 편이다. 다른 선집들과의 차이점을 말하자면,
첫째, 본서에서는 두보의 시를 통해 시인 두보의 삶과 전체적 시 세계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시기의 작품을 가급적 골고루 싣도록 했다.
둘째, 기존의 선집에서 두보의 우국지사로서의 면모는 충분히 소개되었다고 보고, 본서에서는 생활 시인으로서의 다채로운 면모가 반영되도록 했다.
셋째, 두보의 다양한 시 세계를 빠뜨림 없이 알리자는 의미에서 장편시도 함께 수록했다. 본서에 실은 <장안에서 봉선으로 가며 회포를 읊어(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와 <공손 대랑의 제자가 추는 검무를 보고(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와 같은 경우, 선집에 싣기에는 장황할 정도로 길지만, 사건의 추이를 개관하고 이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해 나가는 생각의 실타래를 일일이 다 기록하는 것이 두보 시의 중요한 한 특징이기 때문에 제외하지 않았다.
넷째, 독자의 편의를 위해 수록한 작품을 시기별로 묶어 각각의 시기에 맞는 소제목을 붙여 보았다. 본래 두보의 시를 시기별로 구분할 때는 생애에 있어서의 큰 사건을 중심으로 하고 시풍의 변화를 참고하게 된다.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2기, 3기, 4기에서 많게는 8기까지 자세히 시기를 구분하고 있다. 본서에서는 이러한 시기 구분을 참고하되 수록 시가 너무 적은 시기는 하나로 묶어 각 시기별 수록 시가 비슷하도록 조정했음을 밝혀 둔다.
시의 번역에 있어, 현대적 감각에 맞게 시의 원문에 붙어 있던 쉼표와 마침표는 일괄적으로 생략하고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만 붙였다. 번역시에서 행의 배열은 원시를 따르되 감정의 흐름도 참고했다. 예를 들어 장편시의 경우는 스토리의 전개, 장면 전환에 따라 운(韻)을 바꾸게 되는데 번역시에서도 원작자의 의도를 살려 운이 바뀌는 부분에서는 행을 바꾸도록 했다. 그러나 원시에서 운이 바뀌지 않은 경우라 해도 번역 과정에서 시의 흐름이 크게 바뀌거나 강조되는 부분에서는 행을 바꾸었다. 각주는 꼭 필요한 부분에만 붙이고 부족한 부분은 해설을 통해 풀어내고자 했다.

목차

태산을 바라보며 望嶽 ···············3
좌씨 댁의 밤잔치 夜宴左氏莊 ············5
봄날 이백을 생각하며 春日憶李白 ··········7
이 밤이 어떤 밤인가 今夕行 ·············9
전차의 노래 兵車行 ················11
취해 부르는 노래 醉時歌 ··············16
종손 두제에게 보여주다 示從孫濟 ··········21
가을비 탄식 秋雨嘆 三首·其一 ···········24
장안에서 봉선으로 가며 회포를 읊어 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 ·····26

안사의 난과 장안 억류, 탈출과 등용
눈은 내리고 對雪 39
봄의 전망 春望 ·41
강가에서 슬퍼하며 哀江頭 ·············43
빗속에 소단의 집을 찾아 雨過蘇端 ·········46
강촌 羌村 三首·其一 ···············49
곡강 曲江 二首·其一 ···············52
초가을 막바지 더위에 서류는 쌓이고 早秋苦熱堆案相仍 ······54
위팔 처사에게 드림 贈衛八處士 ···········56
석호의 관리 石壕吏 ················60
집 없는 이별 無家別 ·64

퇴직과 떠도는 삶의 시작

꿈에 본 이백 夢李白 二首·其一 ···········71
진주 잡시 秦州雜詩 二十首·其一 ··········74
찬공 계신 곳에 묵으며 宿贊公房 ··········76
빈 주머니 空囊 ·78
이공산 泥功山 ·80
건원 연간에 동곡현에 잠시 부쳐 살며 부른 노래 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 七首·其一 ·············82
성도부 成都府 ·84

성도에서의 정착 생활

촉의 재상 蜀相 ···89
미친 사내 狂夫 ···91
농가 田舍 ···93
봄밤에 비를 기뻐하며 春夜喜雨 ···95
녹나무 高? ···97
가을바람에 띳집이 부서져도 茅屋爲秋風所破歌 ··99
관군이 하남과 하북을 수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聞官軍收河南河北 ·103
소나무 네 그루 四松 ·105
절구 두 수 絶句 二首 ·109
막부의 숙직 宿府 ·112
떠도는 밤 회포를 적다 旅夜書懷 ·114

낯선 기주(夔州)에서 일생을 회고하며

객당 客堂 119
물을 끌어 쓰다 引水 124
늙은 잣나무의 노래 古柏行 126
강가의 누각에서 묵으며 宿江邊閣 129
가을날의 흥취 여덟 수 秋興 八首·其一, 其二 131
노루의 슬픔 ? 135
닭을 묶어 내다 파는데 縛?行 137
취중에 말에서 떨어져 여러 분이 술을 가지고 위문 오시어 醉爲馬墜諸公?酒相看 ···········139
늦봄에 양서에 새로 초가집을 빌려 읊은 노래 暮春題?西新賃草屋 五首·其三 ·············143
느티나무 잎 국수 槐葉冷淘 ················145
나무 사이에서 樹間 ················148
가을 들판의 노래 秋野 五首·其二 ················150
높이 올라 登高 ················152
귀가 먹다 耳聾 ················154
공손 대랑의 제자가 추는 검무를 보고 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 ················156
설날 종무에게 元日示宗武 ················160

물 위를 떠돌다
공안현의 여관에 머물며 移居公安山館 ···············165
세모의 노래 歲晏行 ···············167
악양루에 올라 登岳陽樓 ···············170
상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회포를 풀어 보다 上水遣懷 ···············172
강가를 떠돌며 江漢 ···············178
강남에서 이귀년을 만나 江南逢李龜年 ···············180
한식 다음 날 배 안에서 짓다 小寒食舟中作 ···············182

해설 ···············185
지은이에 대해 ···············190
옮긴이에 대해 ···············194

저자소개

저자 두보(杜甫, 712∼770)는 중국 당대(唐代)의 시인으로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 시단을 대표하며 우리에게도 친숙한 시인이다. 그는 본래 유가(儒家)로서 정치에 몸담고자 했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말미암아 결국 시인의 길을 가게 되었다. 두보가 처한 시대는 당나라가 찬란한 번영을 구가하다가 안사의 난으로 제국의 붕괴 위기를 맞았던 때였다. 그의 생애는 크게 보아 755년에 발발한 안사의 난을 중심으로 전·후반으로 양분된다. 안사의 난 이전, 그는 당대의 다른 시인들처럼 독서와 유람으로 견문을 쌓아 착실히 벼슬에 나아갈 준비를 했다. 735년 진사 시험의 낙제는 그에게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는 재차 유람에 나서는 한편 이백, 고적(高適) 등과 교류하기도 했다. 746년 이후 두보는 거처를 장안으로 옮겨 와 고위 관리에게 벼슬을 구하는 간알시(干謁詩)를 써서 보내며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고자 애썼다. 이러한 생활이 10년간 지속되면서 두보는 점차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였고 당시 귀족들의 사치와 서민들의 궁핍한 삶에 대해 절감하기 시작했다. 755년은 그에게 여러모로 특별한 해였다. 그해 10월, 그는 10년 노력의 결과로 무기의 출납을 관리하는 우위솔부주조참군(右衛率府?曹參軍)이라는 미미한 벼슬을 받고 스스로 낭패감에 휩싸였다. 그러나 국가적으로는 이로부터 한 달 뒤인 11월, 당 왕조를 거의 멸망시킬 만큼 파급력이 대단했던 안사의 난이 발발한다. 이후 두보의 삶은 전란과 긴밀한 연관을 맺으며 전개된다. 두보는 잠시 장안 근처 부주(?州)에 떨어져 살던 가족을 만나러 갔다가 어린 아들이 먹지 못해 요절한 사실을 알고 참담한 마음으로 장편시 <장안에서 봉선으로 가며 회포를 읊어(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를 남겼다. 벼슬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자신을 돌아보고 당시 귀족들의 사치와 서민들의 궁핍한 처지를 그렸으며 총체적인 사회의 부패상을 고발했다.
이후 두보의 삶은 이전과는 크게 달라진다. 전란의 와중에 현종(玄宗)은 사천으로 피난 가고 숙종(肅宗)이 영무(靈武)에서 임시로 즉위한 사실을 알고 두보는 이를 경하하기 위해 영무로 가던 중 반군에 붙잡혀 장안으로 호송되어 얼마간 억류되었다. 이때 우리에게 잘 알려진 <봄의 전망(春望)>을 썼다. 757년 2월, 숙종이 행재소를 봉상(鳳翔)으로 옮겼을 때 두보는 위험을 무릅쓰고 장안을 탈출해 숙종을 배알해 그 공으로 좌습유(左拾遺) 벼슬을 받았다. 그러나 곧 반군 토벌에 실패한 방관(房琯)을 변호하다 숙종의 미움을 사게 되고 그것은 곧이어 파직으로 이어졌다. 화주사공참군(華州司功參軍)으로 좌천된 두보는 벼슬에 적응하지 못하고, 마침내 관직을 버리고 진주(秦州)행을 감행한다. 두보의 대표적 사회시로 알려진 이른바 <삼리(三吏)>와 <삼별(三別)>이 이즈음에 지어졌다. 759년 두보는 진주에서부터 여러 지역을 전전해 성도(成都)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곳에서 두보는 친구들의 도움으로 초당에 거처를 마련하고 나중에는 엄무(嚴武)의 추천으로 막부(幕府)에서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이란 벼슬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여기에도 잘 적응하지 못했으며, 엄무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두보는 성도를 떠나 운안(雲安)을 거쳐 기주(夔州)에 이르게 되었다. 기주는 성도에 비해서도 더욱 낯선 곳이었지만 비교적 물산이 풍부했던 이곳에서 두보는 어느 정도 심신의 안정을 찾고 시가 창작에서도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이때의 대표작으로 <가을날의 흥취(秋興八首)>를 꼽을 수 있다. 파란만장했던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풍요로웠던 과거와 일순간에 일어난 전란을 지극히 미려한 언어로 수를 놓듯이 새긴 이 시는 율시(律詩)가 이룩한 미감의 정점을 보여 준다. 그러나 두보는 기주 생활에 결코 안주하지 못했다. 중앙 정부에서 벼슬하리라는 희망을 끝내 놓을 수 없었기에, 768년에 협곡을 빠져나가 강릉(江陵)을 거쳐 악양(岳陽)에 이르렀다. 이후 그의 생활은 주로 선상에서 이루어졌고 건강이 악화되고 경제적으로 궁핍한 가운데, 악양과 담주(潭州) 사이를 전전하다 뱃길에서 사망했다. 시인 두보가 품었던 뜻은 시종일관 정치를 바르게 펼쳐 백성을 구원하는 데 있었으나 운명은 그에게 기회를 주지 않았고, 전란의 틈바구니에서 그의 삶은 자기 한 몸도 돌보기 힘들 만큼 곤란해지는 때가 많았다. 시인으로 이름을 남기는 것이 그의 꿈은 아니었으나, 역설적으로 상황이 열악해질수록 그는 더욱더 시인의 눈으로 피폐한 사람과 영락한 사물을 따뜻하게 돌아보고, 보다 많은 사람이 행복해지는 방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열정적으로 시를 썼다. 사후에 그에게 붙은 ‘시성(詩聖)’이나 ‘시사(詩史)’라는 칭호는 그의 고단하고 정직했던 삶에 대한 애도 어린 칭송이 아닐까 한다.

도서소개

『두보 시선』은 두보의 시 작품들을 소개하는 책이다. 두보의 다양한 시풍을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원전에 수록된 1457수 중 62수를 가려 뽑아 번역하였다. 시의 번역에 있어, 현대적 감각에 맞게 시의 원문에 붙어 있던 쉼표와 마침표는 일괄적으로 생략하고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만 붙였다. 여러 주석서 가운데 자료 가치가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구조오의 <두시상주>를 기본으로 하여 이를 통해 우국지사의 모습보다는 생활인으로서의 두보를 만나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