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소동파 시선

소동파 시선

  • 소동파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1-08-29 출간
  • |
  • 174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4068410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3,3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3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과거시험 이후에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여 매년 과거 방이 나붙은 뒤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는 이규보의 말대로 한반도 시풍을 선도했던 소동파의 시문.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우리 조상들이 왜 그렇게 소동파의 시에 열광했는지 직접 한번 맛보고 판단하시라!

소동파(蘇東坡, 1036∼1101)가 우리 문단에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했다. 그러기에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세상의 학자들이 처음에는 과거 시험에 필요한 문체를 익히느라 풍월을 일삼을 겨를이 없다가 과거에 급제하고 나서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면 소동파 시 읽기를 무척이나 좋아하기 때문에 매년 과거의 방이 나붙은 뒤에 사람마다 금년에 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고 여긴다”라고 했고,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까지는 오로지 만당(晩唐) 시만 익혔고 고려 중엽에는 오로지 소동파 시만 배웠다”라고 했다. 김부식(金富軾, 1075∼1151)과 동생 김부철(金富轍)의 이름이 소동파(본명 蘇軾)와 소철(蘇轍)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은 소동파에 대한 우리 문인들의 추앙심을 보여 주는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이렇듯 우리의 선조들이 소동파 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 우리가 소동파의 시를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요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소동파는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현실참여주의자로서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구제해야 한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사명감이 매우 투철했다. 게다가 그는 워낙 다정다감한 성격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백성에 대한 연민의 정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인간적 애정과 관심도 유난히 깊었다. 그러나 그는 한편으로 불교사상과 도교사상에서 비롯된 현실도피적 사고방식도 동시에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물질세계의 허무성과 무가치성을 간파하고 물질세계 바깥에서 노닐려는 초월적 인생관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결과로 자연을 매우 사랑했고 나아가 그 자신이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이처럼 세속적인 가치에 대해 초연할 수 있었기에 그는 온갖 정치적 핍박 속에서 자신의 출중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해 보기는커녕 일생의 대부분을 유배 생활과 지방관 생활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긍정적인 태도로 삶에 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삶에 대한 생각과 태도가 그의 시에 반영되어 있을 것임은 당연한 이치다.
≪소동파 시선≫은 이 ≪소식시집≫에 수록된 2800여 수의 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63수를 선정해 역주한 것이다. 소동파의 시 전체와 비교하면 이것은 그야말로 하나의 편린에 불과한 바, 비늘 한 조각을 가지고 물고기의 전모를 드러내 보이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독자들로 하여금 이 한정된 작품들을 통해 소동파 시의 성격을 엿볼 수 있게 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책은 선정된 시를 다섯 개의 범주로 나누고 그것을 다시 창작시기 순으로 배열했다. 제1부 <설니홍조(雪泥鴻爪)>에는 인생에 대한 갖가지 감개와 그것에 대한 사색의 결과로 얻어진 인생철학이나 사람 사는 이치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고, 제2부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西施)>에는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각종 사물의 오묘한 모습을 노래한 시를 수록했으며, 제3부 <오중 지방(吳中地方) 농촌 아낙의 탄식>에는 자신이 직접 경험했거나 가까이서 목격한 전원생활의 이모저모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다. 제4부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에는 가족·친척·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인간적 애정과 관심을 노래한 시를 수록했고, 제5부 <여지(?支)를 먹는 재미>에는 인생에 있어서 결코 흔하지 않은 ‘사는 재미’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다.

목차

1. 설니홍조(雪泥鴻爪)
소군촌 昭君村 ···················3
설니홍조 和子由?池懷舊 ···················5
소요대 逍遙臺 ···················7
사주 승가탑 泗州僧伽塔 ···················9
공을 보는 누각 吉祥寺僧求閣名 ···················13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5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五 ···················5
법혜사 횡취각 法惠寺橫翠閣 ···················17
어잠 스님의 녹균헌 於潛僧綠筠軒 ···················20
초산 윤장로의 벽에 書焦山綸長老壁 ···················22
백보홍 百步洪 ···················25
거문고 소리는 어디서 날까 琴詩 ···················30
여산진면목 題西林壁 ···················32
학 鶴歎 ···················34
담이에서 ?耳 ···················37
금산사의 초상화 앞에서 自題金山?像 ···················39

2.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西施)
배 위에서 산을 보니 江上看山 ···················43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1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一 ···················45
서호는 월 서시 飮湖上初晴後雨 ···················46
유미당의 폭우 有美堂暴雨 ···················48
한가위의 조수 구경 八月十五日看潮 ···················50
보산에 새 길이 닦여 寶山新開徑 ····················52
겨울 모란 和述古冬日牡丹 ···················54
이사훈의 <장강절도도> 李思訓?長江絶島圖 ···················56
여왕성 동쪽의 선장원에서 正月二十日, 往岐亭, 郡人潘·古·郭三人送余於女王城東禪莊院 ·········59
홍매 紅梅 ···················61
해당화 海棠 ···················63
혜숭의 <춘강만경> 惠崇春江晩景 ···················64
이세남의 <추경> 書李世南所?秋景 ···················66
잠 못 드는 밤 倦夜 ···················68

3. 오중 지방(吳中地方) 농촌 아낙의 탄식
천축산 영감관음원 雨中遊天竺靈感觀音院 ···················73
오중 지방 농촌 아낙의 탄식 吳中田婦歎 ···················75
신성 가는 길 新城道中 ···················78
산촌 山村 ···················80
어잠 여인 於潛女 ···················82
무석으로 가는 길에 무자위를 보고 無錫道中賦水車 ···················85
밤중에 배 안에서 舟中夜起 ···················87
진계상이 소장한 <주진촌가취도> 陳季常所蓄朱陳村嫁娶圖 ···················89
동파 東坡 ···················91
조열지의 <고목도> 書晁說之考牧圖後 ···················94
쌀 ?米 ···················97
술에 취해 혼자서 여족 친구들의 집을 찾아 被酒獨行, 遍至子云·威·徽·先覺四黎之舍 ··········99

4.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
정주 서문 밖에서 자유와 작별하고 辛丑十一月十九日, 旣與子由別於鄭州西門之外, 馬上賦詩一篇寄之 ····103
밤에 영락에 있는 문장로의 절을 찾아 夜至永樂文長老院, 文時臥病退院 ···············106
영락 문장로의 죽음 過永樂文長老已卒 ···················108
이행중 수재의 취면정 李行中秀才醉眠亭 ···················111
호수의 다리 湖橋 ···················113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 月夜與客飮杏花下 ···················115
자유와의 사별을 앞두고 予以事繫御史臺獄, 獄吏稍見侵, 自度不能堪, 死獄中, 不得一別子由, 故作二詩, 授獄卒梁成, 以遺子由 ·················117
반병·곽구 두 사람과 교외로 봄을 찾아 正月二十日, 與潘·郭二生出郊尋春, 忽記去年是日同至女王城作詩, 乃和前韻 ·119
세아회 날 장난삼아 洗兒戱作 ···················121
급제 동기 막군진과 서호에서 술 마시며 與莫同年雨中飮湖上 ···················123
빗속에 자유와 작별하며 東府雨中別子由 ···················125

5. 여지(?支)를 먹는 재미
황주에 갓 도착해 初到黃州 ····················131
의흥으로 돌아가며 歸宜興留題竹西寺 ····················133
두개가 보내준 물고기 杜介送魚 ···················135
영하에 배 띄우고 泛潁 ···················137
여지를 처음 먹고 四月十一日初食?支 ···················140
여지를 먹는 재미 食?支 ····················144
나물 ?菜 ···················146
황하가 다시 북쪽으로 흐른다네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148
강물을 길어다 차를 끓여 마시고 汲江煎茶 ···················151
징매역의 통조각에서 澄邁驛通潮閣 ···················153
바다를 건너며 六月二十夜渡海 ···················155

해설 ···················159
지은이에 대해 ···················164
옮긴이에 대해 ···················173

저자소개

저자 소동파(蘇東坡, 1036∼1101)는 북송(北宋) 인종(仁宗) 경우(景祐) 3년(1036) 12월 19일 미산현(眉山縣, 지금의 쓰촨성 메이산시) 사곡행(紗?行)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식(軾)이고 자(字)는 자첨(子瞻)이며, 동파(東坡)는 그의 호인데 본명 대신 호를 주로 사용했다. 소동파는 송시의 성격을 확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 대시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대문장가였고 중국문학사상 처음으로 호방사(豪放詞)를 개척한 호방파의 대표 사인(詞人)이었다. 그는 또 북송사대가로 손꼽히는 유명 서예가이기도 했고 문호주죽파(文湖州竹派)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중국 문인화풍을 확립한 뛰어난 화가이기도 했다. 한마디로 말해서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 천재 예술가요 못하는 것이 없었던 팔방미인으로서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천 년이 다 돼 가는 지금까지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중국 문예사상 가장 걸출한 인물이었다.

도서소개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작품만을 선정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시리즈 『소동파 시선』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현실참여주의자로서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구제해야 한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사명감이 투철한, 송나라 시대의 뛰어난 시인 소동파의 시집 <소식시집>에 수록된 2800여 수의 시 중 가장 대표적 63수의 시를 선정하여 다섯 개의 범주로 나눈 후, 창작 시기 순서대로 배열하여 역주했다. 오랜 시간 소동파에 대해서 연구한 전문가가 정확한 번역, 전문적 해설, 친절한 주석, 그리고 풍부한 작가 소개를 맡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