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규장각지(중)

규장각지(중)

  • 이세열
  • |
  • 한국학술정보
  • |
  • 2011-09-16 출간
  • |
  • 283페이지
  • |
  • 153 X 224 X 20 mm
  • |
  • ISBN 9788926825655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8,0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병인양요 때 강화도 외규장각에 소장되었던 도서가 프랑스군에 의해 약탈당한 지 145년 만에 귀환되었다. 이 때 외규장각에 소장되었던 의궤 등 상당수의 유물이 프랑스로 유출되었다가 이번에 모두 귀환된 것이다. 규장각은 본각과 외각 2곳에 왕실도서가 분산되어 소장되었다. 이 규장각에 도서를 소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업무규정이 바로 『규장각지』이다.
조선 후기 르네상스 시기의 정조는 규장각을 왕실도서관이자 국가적 싱크탱크로 인재를 선발 육성하여 정치기구로 양성시켰다. 역대 어제 어진 등 왕실 관련 자료를 수집 보관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국가 출판물을 발행하기도 했다. 규장각은 문치주의를 이상적으로 실천한 정조의 아이디어로 처음에는 표면상 역대 임금의 어제·어필·어진 등을 봉안하는 도서관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정조 5년(1781)에 규장각 현판을 주합루로 옮겨 달면서 학술연구기관과 정책연구기관으로 변모했다. 이후 규장각은 각신들이 승정원·홍문관·예문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왕의 친위세력인 통치의 싱크탱크인 근시직(近侍職: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신하들)으로 일원화되면서 학문진흥 뿐만 아니라 정조 자신의 권력기반 강화와 개혁정책을 펼치는 정치적인 목적의 강력한 기구로 육성했다. 즉, 정조가 규장각을 설립한 것은 정치적으로 세력기반을 강화하고 문화적으로 이념과 정책 연구를 진흥하려는 목적이었다.
이 책은 규장각의 연혁과 직제, 관규, 제도, 의식 등을 정리한 2권 1책으로 정조의 명에 따라 서명응(徐命應) ·채제공(蔡濟恭) ·황경원(黃景源) ·이복원(李福源) 등이 편찬, 고활자본 정유자(丁酉字)로 1784년에 간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규장각 내각(內閣)과 강화도에 둔 외규장각, 부설 인쇄소인 교서관(校書館:外閣) 등의 설치 연혁과 건물 및 관원 구성 등을 밝혔다. 내각에는 봉모당(奉模堂) ·열고관(閱古觀) ·개유와(皆有窩) ·이안각(移安閣) ·서고(西庫) 등의 서고에 대한 설명도 붙어 있다. 이어서 소속 관원의 임면과 직위, 국왕의 영정과 글 및 친필을 보관하는 의식과 일자, 국왕의 글 편집, 각 서고에 보관한 책의 구성 및 일반 서적의 편찬과 관리, 관원의 교육 및 평가, 규장각 여러 업무의 내용과 원칙, 규장각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다.

목차

1. 교습(敎習) 제6
1) 초계(抄啓)
2) 강제(講製)
3) 친림(親臨)
(1) 친림 시강의(親臨 試講儀)
(2) 친림 시제의(親臨 試製儀)
4) 상벌(賞罰)

2. 원규(院規) 제7
1) 선교(宣敎)
附 숙배(肅拜)
2) 반서(班序)
附 수가(隨駕)
(1) 각료 상견의(閣僚 相見儀)
(2) 각료 양로의(閣 僚讓路儀)
3) 표직(豹直)
附 수궁(守宮)
4) 전최(殿最)
附 고공(考功)
(1) 이문원 전최의
5) 기거(起居)
附 진접(晉接)
6) 헌의(獻議)
附 박고(博考)
고사(故事)
7) 대찬(代撰)
附 응제(應製)
8) 진전(進箋)
(1) 각신 진전의(閣臣 進箋儀)
9) 차소(箚疏)
10) 주계(奏啓)
11) 논지(論旨)
附 공이(公移)
12) 일력(日曆)
13) 잡식(雜式)

3. 사실(事實) 제8
1) 신조(宸藻)
(1) 규장각 증광전시(增廣殿試)
(2) 이문원에 숙박하면서 각신(閣臣)을 접견하다
2) 기적(紀蹟)
(1) 정조의 이문원강의
(2) 서명응의 이문원강의 서문(序文)
(3) 김종수의 규장각 선제기(璇題記)
(4) 유언호의 이문원 사실기(事實記)
(5) 서명응의 자서기(字瑞記)

부록 원문
도움을 준 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주자 이세열은 1960년 경북 봉화 출생으로 서지학자이며 1급 정사서이다.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고, 현재 주성대학에 재직 중이며 직지디제라티 연구소장이다. 고 인쇄문화 및 서지학을 비롯해 초정약수와 같은 향토사 연구를 하며,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를 소재로 의상 디자인을 하고 대중 가요를 작사했다. 각종 언론에 칼럼을 집필하고 향토 축제, 다큐멘터리, 오페라, 드라마 등에 고증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직지디제라티』, 『다가선: 베스트셀러 벗겨보기』, 『잃어버린 직지를 찾아서』, 『내수읍지』(공저), 『北二面誌(북이면지)』(공저)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한서예문지』, 『직지』, 『역사속에 초정약수』와, 학술논문으로는 「백운화상의 생애와 직지」, 「직지의 이체자 교감」, 「직지와 비구니 묘덕에 관한 연구」, 「쌍운암지와 수구다라니」, 「직지의 어원 및 책이름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도서소개

규장각의 연혁과 직제, 관규, 제도, 의식 등을 정리한 『규장각지』 번역본 중권.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갑진신편 내각활자 영인본에 근거해 번역한 책이다. 규장각 내각과 강화도에 둔 외규장각, 부설 인쇄소인 교서관등의 설치 연혁과 건물 및 관원 구성 등을 밝히고, 내각에는 봉모당ㆍ열고관ㆍ개유와ㆍ이안각ㆍ서고 등의 서고에 대한 설명도 첨부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