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 ‘나는 누구인가’ 프리다, <프리다>를 그리다
2. <판의 미로>, 일상의 환상과 역사적 현실 사이에서 동화적 미로 그리기
3. 체 게바라의 ‘나를 찾아 떠난 여행’과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4.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과 사랑의 묘약의 비밀 레시피
5. <영혼의 집>, 역사적 소용돌이 가운데에서 펼쳐지는 존재적 사랑과 소유적 사랑의 이야기
6. <비밀의 눈동자>, 잊힌 과거의 재구성과 현재적 의미
7. <저개발의 기억>은 누구의 기억인가. 트라우마의 기억과 직면의 성찰적 접근
8. <은총이 가득한 마리아>, 마약 딜러에게 영혼을 파는 수많은 마리아에게 은총이 가득하기를
9. <루시아>, 트라우마의 역사성 환기와 재해석을 위한 여성 주인공의 변천사
10. <바벨>, 외로운 섬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소통부재를 이야기하다
11. <떼레사의 초상>, 사회인습으로서 남성우월인식에 대한 고발적 시각
12. <나는 쿠바>에 투영된 쿠바혁명의 어제와 오늘
13. 일상적 삶의 무게로부터 자유로움을 꿈꾸는 영화, <인생은 휘파람>
영화자료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