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중)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중)

  • 윤경수
  • |
  • 한국학술정보
  • |
  • 2011-04-05 출간
  • |
  • 740페이지
  • |
  • 153 X 224 X 40 mm
  • |
  • ISBN 9788926820889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ㆍ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승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군신화의 수용이라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웅녀로 변신하고 환웅과의 신성혼(神聖婚)으로 단군을 낳아 366사(事)로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웠으니, 이는 경제대국을 세우는 것과 통하는 내용이므로 21세기 한국인이 본받아야 할 사항이다.

목차

제4장 구제론(救濟論)
Ⅰ. 들어가며
Ⅱ. 제(濟)의 만물(萬物) 구제미(救濟美)
제146사(事) 제(濟: 구제)-『덕진교 전설』-
제147사(事) 시(時: 때)-이어사(李御使)의 춘향 구제-
제148사(事) 농재(農災: 농사의 재앙)-『농가월령가』ㆍ삼월령(三月令)-
제149사(事) 양괴(凉怪: 서늘한 요기(妖氣))-춘향의 숙살의 한기(寒氣)-
제150사(事) 열염(熱染: 더위에 물들다)-『국포집』 권3 혜자(蕙子)-
제151사(事) 동표(凍莩: 얼어 굶어 죽음)-「금마별곡」에 나타낸 선정-
제152사(事) 무시(無時: 때가 없음(항상))-성수침(成守琛)의 시조(時調)-
제153사(事) 왕시(往時: 지나간 때)-김수장(金壽長)의 시조-
제154사(事) 장지(將至: 장차 이름)-연암(燕岩) 박지원의 『양반전』-
제155사(事) 지(地: 땅)-이창년의 시(詩)-
제156사(事) 무유(撫柔: 유약함을 어루만짐)-서견(徐甄)의 대나무 칭송-
제157사(事) 해강(解綱: 억셈을 풂)-신석정의 「향기(香氣) 있는 사람」-
제158사(事) 비감(肥甘: 비옥하고 감미로움)-학지촌의 『학지가』-
제159사(事) 조습(燥濕: 건조하고 습함)-『초부가』(樵夫歌)의 내용-
제160사(事) 이물(移物: 산물을 옮김)-『허생전』의 무역(貿易)-
제161사(事) 역종(易種: 농산물의 종자를 자리바꿈)-『고금가곡』 83-
제162사(事) 척벽(拓闢: 황무지를 개척하여 엶)-김수장(金壽長)의 시조-
제163사(事) 수산(水山: 물과 산)-『허생전』의 육지→해양문화-
제164사(事) 서(序: 차례)-박경리(朴景利, 1926∼2008)의 『토지』-
제165사(事) 선원(先遠: 먼 곳을 먼저 함)-『훈민정음』 서문-
제166사(事) 수빈(首濱: 임박함을 먼저 함)-『숙향전』의 숙향-
제167사(事) 경중(輕重: 가벼운 것과 무거움)-심청의 출천지효(出天之孝)-
제168사(事) 중과(衆寡: 많고 적음)-『허생전』의 주인공 허생의 훈시-
제169사(事) 합동(合同: 모여서 함께함)-흥부와 놀부의 생활-
제170사(事) 노약(老弱: 노인과 약함 사람)-김영진의 『심청가』-
제171사(事) 장건(壯健: 씩씩하고 튼튼함)-「양반전」의 양반생활-
제172사(事) 지(智: 지혜)-『大東風雅』 29-
제173사(事) 설비(設備: 갖추고 준비함)-「기전사가」(祈戰死歌)-
제174사(事) 금벽(禁癖: 나쁜 버릇 금함)-『변강쇠전』의 호색한-
제175사(事) 요검(要儉: 검소함을 하고자 함)-『산중신곡』 중 「만흥」(漫興)-
제176사(事) 정식(精食: 잡곡밥)-변 부사의 생일연의 한시-
제177사(事) 윤자(潤資: 재물을 불림)-고소설에서의 홍익인간 정신-
제178사(事) 개속(改俗: 속됨을 버리고 고침)-『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
제179사(事) 입본(立本: 근본을 세움)-심훈의 『그 날이 오면』-
제180사(事) 수식(收殖: 거두고 늘림)-신광수(申光洙)의 「잠녀가」-
제181사(事) 조기(造器: 그릇을 만듦)-『숙향전』의 운명-
제182사(事) 예제(預劑: 미리 약을 지음)-『임진록』-
Ⅲ. 나오며

제5장 재앙론(災殃論)
Ⅰ. 들어가며
Ⅱ. 화장(禍章) 제183사(事) 화(禍), 미추(美醜)의 양면성
제183사(事) 화(禍: 재앙)-『사씨남정기』의 교씨-
제184사(事) 기(欺: 속임)-「화왕계」(花王戒)의 교훈-
제185사(事) 익심(匿心)-최치원의 「고의」(故意)-
제186사(事) 만천(慢天: 하늘을 업신여김)-『유충렬전』의 정한담-
제187사(事) 신독(信獨: 홀로 믿음)-『흥부전』의 놀부-
제188사(事) 멸친(蔑親: 육친을 속임)-『흥부전』의 파렴치한 놀부-
제189사(事) 구운(驅殞: 몰아 떨어뜨림)-다산시(茶山詩) 「애절양」(哀絶陽)-
제190사(事) 척경(?傾: 차서 넘어뜨림)-이항복(李恒福)의 시조(時調)-
제191사(事) 가장(假章)-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국서(國書)-
제192사(事) 무종(無終: 끝이 없음)-『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교씨-
제193사(事) 호은(?恩: 은혜를 믿음)-『삼국사기』 중 설씨녀 설화-
제194사(事) 시총(恃寵: 총애를 믿음) 『사씨남정기』의 요부(妖婦) 교씨
제195사(事) 탈(奪: 빼앗음)-다산시(茶山詩) 「장기농가」(長?農歌)-
제196사(事) 멸산(滅産: 산업을 망하게 함)-김산의 『아리랑』 고개-
제197사(事) 역사(易祀: 제사를 바꿈)-『창선감의록』의 심씨 (沈氏)-
제198사(事) 노금(擄金: 돈을 빼앗음)-이곡(李穀), 『가정집』(稼亭集)-
제199사(事) 모권(謀權: 권리를 빼앗음)-「상률가」(橡栗歌)의 권리 남용-
제200사(事) 투권(偸券: 문건을 훔침)-『삼국유사』 탈해왕(脫解王)-
제201사(事) 취인(取人: 남의 물건을 빼앗음)-유성룡의 『징비록』-
제202사(事) 음(淫: 음란함)-규장각본(奎章閣本) 『가곡원류』 634의 시조-
제203사(事) 황사(荒邪: 음란을 즐김)-『임진록』에서 본 선조(宣祖)-
제204사(事) 장주(?主: 남편을 해침)-『진본청구영언』의 음행-

제6장 행복론(幸福論)
Ⅰ. 들어가기
Ⅱ. 복(福): 승화의식
제232사(事) 복(福: 행복)-고산(孤山)의 「초연곡」(初筵曲)-
제233사(事) 인(仁: 어짊)-『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의 성난화-
제234사(事) 애인(愛人: 사람을 사랑함)-『흥부전』의 인류애적인 사랑-
제235사(事) 호물(護物: 만물을 보호함)-김광욱의 「율리유곡」(栗里遺曲)-
제236사(事) 체측(替惻: 남의 근심을 대신해 줌)-신광수의 『관산융마』-
제237사(事) 희구(喜救: 기쁘게 구함)-매헌 윤봉길 의사의 시-
제238사(事) 불교(不驕: 교만하지 않음)-『금화사몽유록』의 교만-
제239사(事) 자겸(自謙: 스스로 겸손)-규장각본『가곡원류』 520-
제240사(事) 양렬(讓劣: 용렬한 이에게 양보함)-『교주해동가요』 379-
제241사(事) 선(善: 착함)-『손 없는 색시』-
제242사(事) 강개(慷慨: 착함의 의로운 분개)-『봉기가』(蜂起歌)-
제243사(事) 불구(不苟: 구차하지 않음)-이육사(李陸史)의 「편복」(??)-
제244사(事) 원혐(遠嫌: 꺼림을 멀리함)-『근화악부』(槿花樂府) 52-
제245사(事) 명백(明白: 분명함)-삼학사 충절 『교주해동가요』 389-
제246사(事) 계물(繼物: 물자를 이어 줌)-연암의 『허생전』-
제247사(事) 존물(存物: 만물을 보존함)-『동국악부』 「왕무거」(王毋去)-
제248사(事) 공아(空我: 나를 비움)-‘○’과 나-
제249사(事) 양능(揚能: 능력을 칭찬함)-석북의 「관서악부」 (關西樂府)-
제250사(事) 은건(隱愆: 허물을 숨김)-『백범 김구』-
제251사(事) 순(順: 법도에 따름)-『교주해동가요』(校注海東 歌謠) 426-
제252사(事) 안정(安定: 마음을 편안히 함)-『용재집』(容齋集) 안정기(安亭記
제253사(事) 침묵(靜?: 고요하고 잠잠함)-『구운몽』의 육관대사-
제254사(事) 예모(禮貌: 예절에 맞는 모습)-연암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제255사(事) 주공(主恭: 공손함을 위주로)-「맹아득안가」의 청원(請願)-
제256사(事) 지념(持念: 마음을 가짐)-『구운몽』에서 성진의 길표-
제257사(事) 지분(知分: 분수를 앎)-김천택의 『진본청구영언』 263-
제258사(事) 화(和: 조화)-성수침(成守琛)의 『화원악보』 65-
제259사(事) 수교(修敎: 가르쳐 닦음)-고산의 「오우가」(五友歌)-
제260사(事) 준계(遵戒: 계율을 지킴)-『유충렬전』의 주인공 충렬-
제261사(事) 온지(溫至: 온화함에 이름)-이복휴의 「형제투금」(兄弟投金)-
제262사(事) 물의(勿疑: 의심하지 않음)-『신단실기』(神壇實記)의 단군어진-
제263사(事) 생사(省事: 일을 간략히 함)-융천사의 「혜성가」(彗星歌)-
제264사(事) 진노(鎭怒: 노여움을 진정함)-「정과정곡」의 억울함 호소-
제265사(事) 자취(自就: 저절로 이루어짐)-김인후(金麟厚)의 「절로」-
제266사(事) 불모(不謀: 꾀하지 않음)-다산(茶山)의 「술지(述志)」-
제267사(事) 관(寬: 너그러움)-『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권1, 시(詩)-
제268사(事) 홍량(弘量: 도량이 큼)-『찬기파랑사뇌가』의 기파랑(耆婆郞)-
제269사(事) 불린(不吝: 인색하지 않음)-『삼국유사』의 빈녀양모(貧女養母)-
제270사(事) 위비(慰悲: 슬픔을 위로함)-석북(石北)의 「한벽당십이곡」-
제271사(事) 보궁(保窮: 궁함을 도움)-『시용향악보』의 『상저가』(相杵歌)-
제272사(事) 용부(勇赴: 용감하게 나아감)-고려 「처용가」-
제273사(事) 정선(正旋: 바르게 돌아감)-심산(心山)의 『심산유고』-
제274사(事) 능인(能忍: 잘 참음)-이행(李荇)의 『속삼강행실도』-
제275사(事) 장가(藏呵: 꾸짖음을 감춤)-우남(雩南)의 조사(弔詞)-
제276사(事) 엄(嚴: 엄함)-『화원악보』(花源樂譜) 650의 삶-
제277사(事) 병사(屛邪: 간사함을 물리침)-신석정의 『대바람 소리』
제278사(事) 특절(特節: 특별한 절개)-『석북문집』 「관서악부」(關西樂府)-
제279사(事) 명찰(明察: 밝게 살핌)-『진본청구영언』 249-
제280사(事) 강유(剛柔: 강함과 부드러움)-『서포집』 권2의 윤씨-
제281사(事) 색장(色莊: 기색(氣色)이 씩씩함)-『진본청구영언』 14-
제282사(事) 능훈(能訓: 스스로 배움)-『진본청구영언』 513-
제283사(事) 급거(急?: 급히 물리침)-「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
Ⅲ. 나오며

색인

저자소개

저자 윤경수
단기 4267(1934)년 경기 화성시 출생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수필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석사과정 수료
성균관학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수료
성균관대학교ㆍ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강사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류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現在: 世宗大王紀念事業會朝鮮王朝實錄人名事典編輯委員ㆍ古朝鮮檀君學會
우리文學會ㆍ東邦文學顧問ㆍ龍仁市民新聞 市民記者ㆍ中國北京自修大學校名譽敎授.
石北詩 硏究(1984)
鄕歌ㆍ麗謠의 現代性硏究(1993)
韓國文學思想의 現代性硏究(1994)
圖解ㆍ韓國神話와 古典文學의 原型象徵性(1997)
圖解ㆍ朝鮮朝小說의 神話的 分析(1998)
圖解ㆍ韓國古小說의 洞窟모티프 硏究(1999)
圖解ㆍ弘益人間과 敍事文學(上ㆍ下)(2003~2004)
檀君禮節敎訓366事와 弘益人間思想(上ㆍ下)(2007)
『關山戎馬』의 美學的 考察(2007)
朝鮮王朝實錄 人名事典(共著)(2011)
詩人大會 및 外國學術大會發表
1990. 5. 13~17. Malaysia, KualaLumpur, ASIAN POETS CONFERENCE, 招請\'Korean Armistice Line\'發表
1992. 10. 3~4.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 ‘茶山詩 哀絶陽ついて’發表
1993. 8. 20~23. SEOUL ASIAN POTS CONFERENCE 招請 ‘WIND’發表
1994. 10. 1~2.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第145回 朝鮮學大會) 招請 ‘鄕歌文學 ㆍ 歷史 意識包容の宇宙科學的 考察’ 發表
1996. 7. 21~22. 中國民間文藝家協會 延邊分會 主催 韓國과 中國朝鮮族 口碑文學 比較硏究 學術大會招請 ‘說話에 나타난 龍의 韓中 比較’ 發表

도서소개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모색을 중심으로『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중)』. 한국인 의식의 총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단군교육 366사는 1년 365일을 기준으로 하여 사람이 행할 바를 나타낸 내용으로, 환웅과 단군이 366사를 백성들에게 가르침으로 인해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워 동북아 일대 8천 리에 걸치는 강대한 나라를 세웠다. 따라서 단군교육 366사는 한국사상과 문화의 시원이 된다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단군의 뿌리정신을 근본으로 하여 366가지 각 조항마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다양한 문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