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상)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상)

  • 윤경수
  • |
  • 한국학술정보
  • |
  • 2011-04-05 출간
  • |
  • 685페이지
  • |
  • 153 X 224 X 35 mm
  • |
  • ISBN 9788926820865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ㆍ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승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군신화의 수용이라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웅녀로 변신하고 환웅과의 신성혼(神聖婚)으로 단군을 낳아 366사(事)로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웠으니, 이는 경제대국을 세우는 것과 통하는 내용이므로 21세기 한국인이 본받아야 할 사항이다.

목차

제1장 정성론(精誠論)
Ⅰ. 들어가며
Ⅱ. 성장(誠章)
제1사(事) 성(誠)-웅녀문화콘텐츠 개발과 숭고미-
제2사(事) 경신(敬神: 신을 공경함)-『심청전』의 심청문화콘텐츠개발-
제3사(事) 존봉(尊奉: 높이 받듦)-고려 이숙기 『묘지명』(墓誌銘)-
제4사(事) 숭덕(崇德: 덕을 숭상함) - 『매월당문집』, 「단군묘」(壇君廟)-
제5사(事) 도화(導化: 교화하여 인도함)-『춘향전』의 절개미(節槪美)-
제6사(事) 창도(彰道: 바른길을 밝힘)-단군문화콘텐츠 개발-
제7사(事) 극례(克禮: 지극한 예)-단군신화의 곰→웅녀환생-
제8사(事) 숙정(肅靜: 엄숙하고 고요함)-「관서악부」(關西樂府), 제17곡(曲)-
제9사(事) 정실(淨室: 정결한 곳)-현진건의 『단군성적순례기』(檀君聖跡巡禮記)-
제10사(事) 택재(擇齋: 가려서 재계)-참성단(塹城壇) 태종어제(太宗御製)-
제11사(事) 회향(懷香: 향을 품음)-이색(李穡)의 한시(漢詩)-
제12사(事) 정심(正心: 바른 마음)-원천석의 『운곡행록』(耘谷行錄)-
제13사(事) 의식(意植: 뜻을 심음)-『구운몽』의 성진의 생활상-
제14사(事) 입신(立身: 몸을 세움)-윤동주의 「서시」-
제15사(事) 불혹(不惑: 미혹하지 않음)-『춘향전』의 변 부사-
제16사(事) 일엄(溢嚴: 엄숙함이 넘침)-안중근의 『유시』(遺詩)-
제17사(事) 허령(虛靈: 비어 신령함)-『구운몽』의 육관대사-
제18사(事) 치지(致知: 앎에 이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제19사(事) 폐물(閉物: 만물을 닫음)-한용운의 『님의 침묵』-
제20사(事) 척정(斥情: 정욕을 물리침)-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제21사(事) 묵안(?安: 잠잠하여 편안함)-「이상곡」(履霜曲)의 시적 화자-
제22사(事) 불망(不忘: 잊지 않음): (誠 3體)-『심청전』의 심청과 황후-
제23사(事) 자임(自任: 스스로 믿음)-심청의 효성미(孝誠美)-
제24사(事) 자기(自記: 저절로 기억함)-『금오신화』 중 「남염부주지」-
제25사(事) 첩응(貼膺: 가슴에 간직함)-심청의 출전지효(出天之孝)-
제26사(事) 재목(在目: 눈에 있음)-이육사(李陸史)의 「청포도」-
제27사(事) 뇌허(雷虛: 우레도 공허함)-안중근의 서예작품-
제28사(事) 신취(神聚: 정신을 모음)-춘향, 심청, 흥부의 입사식-
제29사(事) 불식(不息: 쉬지 않음)-흥부는 성실한 농부-
제30사(事) 면강(勉强: 힘써 강함)-『정수정전』의 주인공 수정-
제31사(事) 원전(圓轉: 둥글게 구름)-춘향의 일편단심-
제32사(事) 휴산(休算: 계산을 쉼)-『춘향전』의 기자정성(祈子精誠)-
제33사(事) 실시(失始: 시작을 잃음)-윤선도(尹善道)의 시조-
제34사(事) 진산(塵山: 티끌 산)-정성의 산(山)을 이룬 흥부-
제35사(事) 방운(放運: 본받아 운행함)-『제망매가』의 성력(誠力)-
제36(事) 만타(慢他: 다른 일에 게으름)-『춘향전』의 변 부사-
제37사(事) 지감(至感: 감응에 이름)-『동가선』(東歌選) 168의 정성-
제38사(事) 순천(順天): (誠 5體 32用)-신석정의 시-
제39사(事) 응천(應天): (誠 5體 33用)-『화서선생』 아언(雅言) 천지(天地)-
제40(事) 청천(聽天): (誠 5體 34用)-『숙향전』의 숙향-
제41사(事) 낙천(樂天: 하늘의 뜻을 즐거워함)-심청의 자락(自樂)-
제42사(事) 대천(待天: 하늘의 감응을 기다림)-금와왕(金蛙王)의 탄생설화-
제43사(事) 대천(戴天: 머리에 하늘을 이고 삶)-신석정의 「들길에 서서」-
제44사(事) 도천(禱天: 하늘의 기도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수용-
제45사(事) 시천(恃天: 하늘을 믿음)-『어유야담』(於于野譚) 인륜 편-
제46사(事) 강천(講天: 천도를 강론함)-『장화홍련전』의 자매-
제47사(事) 대효(大孝: 큰 효도)- 「계녀가」(戒女歌)의 효성-
제48사(事) 안충(安衷: 정성을 다하여 편안함)-『적성의전』의 효-
제49사(事) 쇄우(鎖憂: 근심을 막음)-『심청전』의 효행-
제50사(事) 순지(順志: 뜻을 따름)-박장원(朴長遠)의 「반포오」(反哺烏)-
제51사(事) 양체(養體: 몸을 봉양)-『계녀가』(戒女歌)의 시부모 봉양-
제52사(事) 양구(養口: 입맛에 맞게 봉양함)-『계녀가』의 물질봉양-
제53사(事) 신명(迅命: 명은 빠르게 행함)-『사씨남정기』의 사씨 부인-
제54사(事) 망형(忘形: 몸을 잊음)-사씨 부인의 대효(大孝)-
Ⅲ. 나오며 270

제2장 믿음론(信義論)
Ⅰ. 들어가며
Ⅱ. 신(信), 자연의 순리와 단군신화를 모법
제55사(事) 신(信: 믿음)-단군신화의 신표-
제56사(事) 의(義: 의로움)-변계량(卞季良)의 시조(時調)-
제57사(事) 정직(正直: 바르고 곧음)-이양연(李亮淵의 『야설』(野雪)-
제58사(事) 공렴(公廉: 공정하고 청렴함)-『사씨남정기』의 사씨 부인 덕행-
제59사(事) 석절(惜節: 절개를 아낌)-『이생규장전』의 최랑-
제60사(事) 불이(不貳: 둘이 아님)-경상도 현풍의 허녀(許女)-
제61사(事) 무친(無親: 친함이 없음)-『환단고기』의 천부인(天符印)-
제62사(事) 사기(捨己: 자기를 버림)-김택영(金澤榮)의 한시(漢詩)-
제63사(事) 허광(虛?: 빈말로 속임)-이 어사(李御使)의 춘향절개 시험-
제64사(事) 불우(不尤: 탓하지 않음)-『고산유고』, 견희요」(遣懷謠)-
제65사(事) 체담(替擔: 대신 떠맡음)-박문수에 대한 구비설화-
제66사(事) 약(約: 약속): (信 2團)-최익현(崔益鉉)의 『유시』(遺詩)-
제67사(事) 천실(踐實: 실제로 이행함)-주몽의 편검(片劍)-
제68사(事) 지중(知中: 중용의 도를 앎)-『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전동흘-
제69사(事) 속단(續斷: 끊어짐을 이음)-『구운몽』의 주인공 성진-
제70사(事) 배망(排忙: 바쁨을 물리침)-『동문선』, 「신재기」(信齋記)-
제71사(事) 중시(重視: 중요하게 봄)-『고려사』, 「제위보」(濟危寶)-
제72사(事) 천패(天敗: 하늘이 깨뜨림)-흥부의 매품 하늘이 파기함-
제73사(事) 재아(在我: 나에게 있음)-『춘향전』에 나타난 춘향-
제74사(事) 촌적(忖適: 마땅함을 헤아림)-『춘향전』에 나타난 신분격차
제75사(事) 하회(何悔: 어찌 뉘우칠 일을 하는가)-『신선비』의 설화-
제76사(事) 찰합(?合: 꼭 들어맞음)-주몽과 유리(類利)의 친자(親子)확인-
제77사(事) 충(忠: 충성): (信 3團)-『청구영언』(靑丘永言)의 보국안민-
제78사(事) 패정(佩政: 정사를 맡음)-『가곡원류』(歌曲源流) 59의 시조(時調)-
제79사(事) 담중(擔重: 중책을 맡음)-『임진록』에서의 이순신과 권율-
제80사(事) 영명(榮命: 명령을 빛냄)-『징비록』에 나타난 정곤수(鄭?壽)-
제81사(事) 안민(安民): (信 3團 23部)-「안민가」(安民歌)의 이상(理想)-
제82사(事) 망가(忘家: 집을 잊음)-이극로(李克魯)의 「윤세복 선생」-
제83사(事) 무신(無身: 몸이 없음)-『임진록』에 나타난 이순신-
제84사(事) 열(烈: 절개 굳음)-이숭인(李崇仁)의 『배열부전』(裵烈婦傳)-
제85사(事) 빈우(賓遇: 손님들처럼 예우함)-『금령전』에 나타난 금령-
제86사(事) 육친(育親: 부모를 봉양함)-『금령전』의 막씨-
제87사(事) 사고(嗣孤: 외롭게 이음)-『정경부인 해평 윤씨 행장』-
제88사(事) 고정(固貞: 정절을 굳게 함)-『박씨전』의 박씨
제89사(事) 일구(?仇: 원수와 가까이함)-이복휴(李福休)의 「온달전」-
제90사(事) 멸신(滅身: 육신을 버림)-「여강절부가」(驪江節婦歌)-
제91사(事) 순(循: 순환)-『두껍전』에 나타난 자연의 이치-
제92사(事) 사시(四時: 사계절)-박지원(朴趾源)의 『허생전』-
제93사(事) 일월(日月: 해와 달)-혁거세(赫居世)의 치세(治世)-
제94사(事)의 덕망(德望: 덕을 우러러봄)-춘향의 절개미(節槪美)-
제95사(事) 무극(無極: 끝이 없음)-이몽룡이 태평세계로 회복시킴-
Ⅲ. 나오며

제3장 사랑론(愛論)
I. 들어가기
Ⅱ. 애장(愛章), 애미(愛美)로의 승화와 문학 작품
제96사(事) 애(愛: 사랑)-『채봉감별곡』에서의 사랑-
제97사(事) 서(恕: 용서): (愛 1範)-신채호(申采浩)의 『한나라 생각』-
제98사(事) 유아(幼我: 나와 같이 사랑함)-윤봉길 의사의 한시(漢詩)-
제99사(事) 사시(似是: 옳은 것 같음)-『옥루몽』의 주인공 양한림-
제100사(事) 기오(旣誤: 이미 그릇됨)-『구운몽』의 주인공 성진-
제101사(事) 장실(將失: 장차 잃음)-주세붕의 『매헌선생실기』-
제102사(事) 심적(心蹟: 마음의 자취): (愛 1範 5圍)-놀부의 이중성-
제103사(事) 유정(由情: 정에 말미암음)-『사씨남정기』의 교씨-
제104사(事) 용(容: 포용함)-흥부와 같은 금도(襟度)
제105사(事) 고연(固然: 도리에 떳떳함)-『옹고집전』의 실옹과 가옹-
제106사(事) 정외(情外: 뜻밖)-『삼국사기』 권41 「구토설화」-
제107사(事) 면고(免故: 고의를 벗어남)-『최고운전』의 최충-
제108사(事) 전매(全昧: 전적으로 우매함)-석북의 『관서악부』(關西樂府)-
제109사(事) 반정(半程: 절반 길)-청마 유치환의 「원수」(怨讐)-
제110사(事) 안념(安念: 안일한 생각)-『변강쇠전』의 강쇠-
제111사(事) 완급(緩急: 느림과 급함)-『채봉감별곡』의 위기극복 능력-
제112사(事) 시(施: 베풂): (愛 3範)-『도솔가』(兜率歌)의 구제-
제113사(事) 원희(原喜: 원래의 기쁨)-윤희순의 독립군 돕는 노래-
제114사(事) 인간(認艱: 어려움을 앎)―윤희순의 『신세타령』―
제115사(事) 긍발(矜發: 불쌍히 여김)-윤희순의 『안사람 의병가』-
제116사(事) 공반(公頒: 공평하게 나눔)-최돈상의 「최초의 애국가」-
제117사(事) 편허(偏許: 한쪽을 도와줌)-유인석의 『논의원』(論義員)-
제118사(事) 균련(均憐: 고르게 가여워함)-『오원집』, 「만덕전」(萬德傳)-
제119사(事) 후박(厚薄: 후하고 박함)-흥부의 보은박(報恩瓢)-
제120사(事) 부혼(付混): (愛 3範 21圍)-흥부의 새끼 제비 치료-
제121사(事) 육(育: 가르쳐 기름)―오광운(吳光運)의 「백사가」(百死歌)―
제122사(事)의 도업(導業: 생업을 인도함)-박지원의 「허생전」(許生傳)-
제123사(事) 보산(保産: 산업을 보전함)-『농가월령가』의 12월령(月令)-
제124사(事) 장근(?勤: 부지런함을 권장함)―『가사집』(歌詞集) 「농부가」―
제125사(事) 경타(警墮: 게으름을 경계함)-김천택의 『교주해동가요』 427-
제126사(事) 정로(定老: 노인을 안정하게 함)-한유신(韓維信)의 시조-
제127사(事) 배유(培幼: 어린이를 북돋음)-양주동의 「조선의 맥박」-
제128사(事) 권섬(勸贍: 너그러움을 권함)-길재(吉再)의 인재 양성-
제129사(事) 관학(灌?: 마른 데 물을 댐)-『퇴계집』 언행록, 교인(敎人)-
제130사(事) 교(敎: 가르침): (愛 5範)-춘향의 절개-
제131사(事) 고부(顧賦: 품성을 돌아봄)-김복한(金福漢)의 「獨坐」-
제132사(事) 양성(養性: 성품을 기름)-『흥부전』에서 흥부의 행함-
제133사(事) 수신(修身: 몸을 닦음)-춘향의 숭고미-
제134사(事) 주륜(湊倫: 윤리에 합함): (愛 5範 33圍)-『大東風雅』 70-
제135사(事) 불기(不棄: 버리지 않음)-흥부의 우애와 놀부의 감화-
제136사(事) 물택(勿擇: 가리지 않음)-야은(冶隱) 길재(吉再)의 교육관-
제137사(事) 달면(達勉: 달통에 힘씀)-야은의 『오산학원 청풍 루기』-
제138사(事) 역수(力收: 힘써 공을 거둠)-『옹고집전』의 학대사-
제139사(事) 대(待: 기다림): (愛 6範)-『구운몽』의 61년간의 환생기간-
제140사(事) 미형(未形: 형체를 갖추지 못함)-『유충렬전』의 기자정성-
제141사(事) 생아(生芽: 싹이 틈): (愛 6範 39圍)-춘향의 인간 형성-
제142사(事) 관수(寬遂: 너그럽게 이룸)-처용의 관용미-
제143사(事) 온양(穩養: 편안하게 길러 줌)-유리왕을 칭송한 『도솔가』-
제144사(事) 극종(克終: 끝맺음을 잘함)-『홍길동전』의 율도국-
제145사(事) 전탁(傳托: 전하여 맡김)-상해임시정부의 개천절 행사-
Ⅲ. 나오며

색인

저자소개

저자 윤경수
단기 4267(1934)년 경기 화성시 출생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수필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석사과정 수료
성균관학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수료
성균관대학교ㆍ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강사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류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現在: 世宗大王紀念事業會朝鮮王朝實錄人名事典編輯委員ㆍ古朝鮮檀君學會
우리文學會ㆍ東邦文學顧問ㆍ龍仁市民新聞 市民記者ㆍ中國北京自修大學校名譽敎授.
石北詩 硏究(1984)
鄕歌ㆍ麗謠의 現代性硏究(1993)
韓國文學思想의 現代性硏究(1994)
圖解ㆍ韓國神話와 古典文學의 原型象徵性(1997)
圖解ㆍ朝鮮朝小說의 神話的 分析(1998)
圖解ㆍ韓國古小說의 洞窟모티프 硏究(1999)
圖解ㆍ弘益人間과 敍事文學(上ㆍ下)(2003~2004)
檀君禮節敎訓366事와 弘益人間思想(上ㆍ下)(2007)
『關山戎馬』의 美學的 考察(2007)
朝鮮王朝實錄 人名事典(共著)(2011)
詩人大會 및 外國學術大會發表
1990. 5. 13~17. Malaysia, KualaLumpur, ASIAN POETS CONFERENCE, 招請\'Korean Armistice Line\'發表
1992. 10. 3~4.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 ‘茶山詩 哀絶陽ついて’發表
1993. 8. 20~23. SEOUL ASIAN POTS CONFERENCE 招請 ‘WIND’發表
1994. 10. 1~2.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第145回 朝鮮學大會) 招請 ‘鄕歌文學 ㆍ 歷史 意識包容の宇宙科學的 考察’ 發表
1996. 7. 21~22. 中國民間文藝家協會 延邊分會 主催 韓國과 中國朝鮮族 口碑文學 比較硏究 學術大會招請 ‘說話에 나타난 龍의 韓中 比較’ 發表

도서소개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모색을 중심으로『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상)』. 한국인 의식의 총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단군교육 366사는 1년 365일을 기준으로 하여 사람이 행할 바를 나타낸 내용으로, 환웅과 단군이 366사를 백성들에게 가르침으로 인해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워 동북아 일대 8천 리에 걸치는 강대한 나라를 세웠다. 따라서 단군교육 366사는 한국사상과 문화의 시원이 된다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단군의 뿌리정신을 근본으로 하여 366가지 각 조항마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다양한 문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