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한국사회 극단적 대립과 분열 원인
1. 인재양성 교육정책 실패
2. 선거공약 문제
11) 선거공약이 안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
12) 선거공약 왜 사회갈등 원인으로 전락했나?
13) 당선 공약 합리성과 정당성 확보를 뜻하는가?
14) 공약과 신뢰성 문제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5) 역대 대선공약 모두 지켜졌나?
16) 대형 국책사업 활용도 높은 반면 책임 사각지대
17) 선거공약에 의한 갈등 해소 방법은 없는가?
3. 정치지도자의 탐욕, 지도력 문제해결능력 부족
11) 정치가의 선동정치와 대중의 심리적 오류
12) 정당성, 합리성, 객관성 결여
13) 민주주의 기본 가치에 대한 도전과 무시
14) 포퓰리즘에 의한 선심성 공약 남발
15) 네거티브 전략 의존 이기주의적 권력쟁취 행태
16) 실력 부족, 합리적 정치철학 부재
17) 부정부패
18) 문제점에 대한 개선 노력과 의지 미흡
19) 전략적 분열주의 추구와 후광편승
10) 양 김씨가 만든 잘못된 우두머리 정치 답습
11) 직분 망각, 직업의식 상실
12) 선거 승리와 공적 지나친 집착
13) 인내와 설득보다 힘에 의존하는 정치
14) 물고 늘어지고 억지 쓰고 편 가르기 골몰
4. 지식인 언론 편파 균형감각 갖춘 전문가집단 부재
1) 언론과 언론인 편파 문제
2) 균형감각을 잃은 지식인
3) 문제해결능력 갖춘 전문가 집단 부재
5. 정치과열이 만들어 낸 왜곡된 국민지지
6. 정부와 공무원 역량 부족
1) 대학입시제도와 사교육비 경감 방안 논란
2) 보이스피싱 횡행
3) 지자체 통합
4) 주소체계 변경사업
5) 불합리한 인사
6) 공권력의 형평성 논란
7) 무리한 정책사업 추진, 준비 미흡
7. 비민주적 정당 구조와 정치인의 탐욕
1) 여당 잘못된 역할 인식 견제 실종
2) 지방자치제 시행과 정당의 정치권력 비대화
3) 정당의 왜곡된 공천제도와 책임감 실종된 당론
8. 가치관 혼돈, 이데올로기 변혁과 경제발전의 대가
9. 노동운동가 정치권 결탁 과격한 노조운동 전개
1) 폴란드 노동운동과 레흐 바웬사
2) 그리스의 재정위기와 노동운동
3) 쌍용차 노사분규
4) 후진적 노사문화와 노동운동, 경영 최대 장애물
10. 편향된 사회단체 오히려 갈등 조장
제2장 하나로 세계로 미래로
1. 이대로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
2. 한국사회의 갈등 대안
1) 성숙한 시민의식, 세계 선도국가 건설 필수요소
2) 국회만 정상화되면 대부분 갈등문제 해결된다
3. 선진정치 구현, 개혁 아닌 실천과 의식변화가 관건
4. 한국의 미래
1) 한국이 가진 잠재력
2) 세계 선도국가 향해 국가 우선순위 설정 실천
3) 배려와 나눔 신뢰가 공존하는 따뜻한 사회 건설
4) 화합 통해 국민이 행복한 나라 건설
참고문헌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