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 김창훈
  • |
  • 한국학술정보
  • |
  • 2013-08-30 출간
  • |
  • 624페이지
  • |
  • 152 X 225 X 35 mm
  • |
  • ISBN 9788926845721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0,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정권별로 주요 문제와 사건을 알기 쉽게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외교 관계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정치가나 공무원, 그리고 학생이나 일반 국민들도 한국 외교가 건국 이후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또 내일의 우리 외교의 방향과 대(對)북한 정책을 논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역사가들은 흔히 “과거는 현재의 어머니이고, 미래는 오늘의 아들이다”라고 말한다. 이 책이 건국 후 지금까지 한국 외교의 발전 과정을 바르게 이해하고, 나아가 내일의 외교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하나의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룬 외교의 성공 사례는 앞으로 우리 외교의 발전을 위한 좋은 선례가 되고, 실패한 사례의 분석은 같은 종류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산 교훈이 되었으면 하는 목적에서 이 책은 기획되었다.

목차

제1장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역사적 배경
1. 광복운동 19
2. 한국 독립에 관한 국제적 약정 22
3. 국토의 분단 26
4. 모스크바 협정 31
5. 미?소 공동위원회 33
6.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39
7.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현 42

제2장
이승만 정부의 외교(1948∼1960)
1. 정부 승인 획득 외교 49
2. 안보 외교의 시작 52
3. 한국전쟁 56
4. 정전협정 64
5. 제네바 정치회담 71
6. 이승만 정부의 통일 정책 74
7. 한?일 회담의 시작과 평화선 선포 78

제3장
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내각의 외교(1960∼1961)
1. 대미(對美) 안보와 유엔 외교의 강화 86
2. 대일(對日) 외교의 강화 89

제4장
박정희 정부의 외교(1961∼1979)
1. 정통성 확보 외교 96
2. 한?일 국교정상화 98
3. 한국군의 월남 파병 102
4. 동(東)베를린 북한 공작단 사건 111
5. 닉슨 독트린 114
6. ‘7?4 남북공동성명’ 118
7. ‘6?23선언’과 평화통일 3대 원칙 122
8.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 126
9. 아프리카 세력의 등장과 외교의 다변화 128
10. 김대중 납치 사건 131
11. ‘리마’ 비동맹 전체 외상회의 135
12. 판문점 도끼 만행과 북한의 마약밀수 사건 140
13. 유엔총회에서의 한국문제 토의 지양 145
14. 박동선 사건 149
15. 경제발전과 국위 선양 154

제5장
전두환 정부의 외교(1980∼1987)
1. 미국과의 우호관계 증진 164
2. 문세광 사건과 한?일 관계 개선 167
3. 공산권 진출 172
4. 대(對)비동맹국 외교의 강화 175
5.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178
6. KAL기 격추 사건 180
7. ‘아웅 산 묘소’ 폭파 사건 184

제6장
노태우 정부의 외교(1987∼1992)
1. 북방외교 194
2. ‘7?7선언’ 198
3. KAL기 폭파 사건?서울올림픽?평양 축전 201
4. 미국의 통상 압력 209
5. 남북대화의 재개 214
6. 한?러시아 관계 발전 217
7. 한반도 비핵화 선언 223
8.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226
9. 대(對)아?태지역 외교 강화와 APEC 232
10. 중국과의 국교 수립 237

제7장
김영삼 정부의 외교(1993∼1998)
1. 북한의 핵 문제 250
2. 경부고속전철의 차종 결정 258
3. 김일성 사망 이후의 남?북 관계 264
4.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참여 268
5. ‘우루과이 라운드(UR)’ 타결과 세계무역기구 출범 271
6.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피선 277
7.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 280
8. 한?미 행정협정(SOFA)의 개정 문제 284
9. 새 재외동포 정책 287
10.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92
11. ‘월드컵 축구대회’의 한?일 공동 유치 300
1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5
13. 한반도 4자회담 309

14. 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의 망명 312
15. 환경 외교 316
1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320
17.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요청 324

제8장
김대중 정부의 외교(1998∼2003)
1. 통화위기의 극복 333
2.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338
3. 평화체제 구축 노력 345
4. 주변 4대 강국과의 외교 강화 348
5. 소떼 북송과 금강산 관광 360
6. 북한 미사일 실험발사 유예와 페리 보고서 365
7.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369
8.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375
9. 제3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380
10. 한?미 정상회담 385
11.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서명 390
12. 남?북한 철도와 도로 연결 396
13. 북한의 핵개발 문제 402

제9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2003∼2008)
1. 국군의 이라크 파병 414
2. 2005 부산 APEC 회의 420
3. 반기문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취임 424
4. 북한의 탄도 미사일 실험발사와 핵실험 430
5. 제19차 남북 장관급회담 438
6. 아시아 횡단철도망 건설을 위한 정부 간 협정 442
7.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현황과 한?미 FTA 타결 450
8. 전시(戰時) 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456
9. 한?중 수교 15주년 463
10. 2007년 남북정상회담 469
11. 지구 온난화와 환경 외교 476
12. 북한의 인권문제 483
13. 베이징 6자회담 489

제10장
이명박 정부의 외교(2008∼2013)
1.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502
2. 한?일, ‘과거사’ 딛고 ‘신시대’를 맞다 507
3. 한국군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511
4. 천안함 폭침(爆沈) 사건 유엔 안보리에 회부 517
5.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연기 525
6.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사건 529
7. 서울 G20 정상회의 개최 538
8. 외규장각 왕실의궤 145년 만의 귀환 545
9. 한?EU FTA 발효 553
10. 평창의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 558
11. 한?미 군사동맹에서 다원적 전략동맹으로 격상 563
12. 남?북?러 천연 가스관 연결 사업 572
13. 한국 무역 ‘1조 달러 시대’를 열다 578
14. 한?중 국교수립 20주년을 맞아 584
15. 2012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개최 589
16. 북한의 자칭 인공위성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595
17.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601
18. 한국, 유엔 안보리 재진출 성공 608

맺음말 615
참고문헌 619
부록: 외교부 조직표 622

저자소개

저자 김창훈은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프랑스 파리대학 법학박사. 주유엔 참사관, 외무부 구아국장?아중동국장, 주유엔 공사, 주가봉 대사, 캐나다 몬트리올 총영사, 주필리핀 대사,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연구위원과 명예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아프리카의 어제와 오늘], [외교관 요람], [서양식 에티켓과 테이블 매너즈], [국제화 생활 에티켓], [국제예절과 생활 에티켓] 등이 있다.

도서소개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은 정권별로 주요 문제와 사건을 알기 쉽게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외교 관계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정치가나 공무원, 그리고 학생이나 일반 국민들도 한국 외교가 건국 이후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더불어 내일의 우리 외교의 방향과 북한 정책을 논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