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제1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 31
제0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 32
0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 32
02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분류 · 36
03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 38
04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학문 ·· 40
제02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42
0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 42
0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와 윤리강령 ·· 45
03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가치 갈등 · 51
04 윤리적 의사결정의 원칙과 자기인식 ·· 55
제0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 58
제04장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 대한 이해 · 74
제02부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 81
제05장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 82
01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 82
02 개입대상인 클라이언트 체계 수준에 따라 구분 ·· 83
제06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 통합적 접근 · 88
01 통합적 접근방법의 개요 · 88
02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 ·· 91
*제3부 사회복지실천의 관계론과 면접론 97
제07장 사회복지실천의 관계론 ··· 98
01 관계형성의 중요성 ··· 98
02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 101
03 관계형성의 장애요인(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 108
제08장 사회복지실천의 면접론 ··· 112
01 면접의 개념과 특징 · 112
02 면접의 종류 : 목적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 114
03 면접의 조건 : 효과적인 면접의 구성요소 116
04 면접의 기술 ··· 117
*제4부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론 125
제09장 접수 및 자료수집 · 126
제10장 사정단계 ··· 132
제11장 계획 수립 단계 ·· 138
제12장 개입단계 ··· 142
제13장 종결과 평가단계 146
*제5부 사례관리 · 155
제14장 사례관리 ··· 156
01 사례관리의 개념과 등장 배경 ·· 156
02 사례관리의 특징과 개입 원칙 ·· 158
03 사례관리자의 역할과 사례관리의 과정 ·· 162
<제2과목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1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167
제01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 168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요 ··· 168
02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170
*제2부 사회복지실천모델과 개입기술 ·· 173
제02장 정신역동모델 ·· 174
제03장 심리사회모델 ·· 180
제04장 인지행동모델 ·· 190
01 인지행동모델의 기본 개념 190
02 인지행동모델의 개입 목표와 원칙 ·· 192
03 인지행동모델의 개입 ··· 193
04 인지행동모델의 개입 기법들 200
05 인지행동모델의 한계점(엄명용 외, 2010) · 204
제05장 과제중심모델 ·· 206
제06장 역량강화모델과 위기개입모델 ·· 214
01 역량강화(Empowerment, 권한부여, 임파워먼트)모델 214
02 위기개입(Crisis Intervention)모델 218
03 기타 모델 ··· 223
*제3부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225
제07장 가족에 대한 이해 · 226
제08장 가족문제사정 ·· 232
01 가족사정의 개요 ··· 232
02 가족사정도구 · 237
제09장 가족대상 실천기법 : 가족치료의 다양한 접근 · 246
*제4부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259
제10장 집단대상 실천기법 ··· 260
01 집단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260
02 집단사회복지실천의 모델 ··· 264
03 집단지도력의 요소와 유형 266
제11장 집단의 역동성 272
제12장 집단발달단계 ·· 280
*제5부 기록과 평가 ·· 291
제13장 사회복지실천기록 ·· 292
01 사회복지실천에서 기록의 용도와 목적 ·· 292
02 기록의 종류 ··· 293
03 기록의 유의사항 ··· 298
제14장 사회복지실천평가 ·· 300
<제3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제1부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307
제01장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 308
01 지역사회(community)의 개념 308
02 지역사회에 대한 관점과 특성 ·· 311
03 지역사회의 유형 ··· 313
04 지역사회의 기능과 비교척도 315
05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 317
제02장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해 ·· 318
01 지역사회복지(community welfare)에 대한 이해 · 318
02 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welfare practice)에 325
제03장 지역사회복지역사의 이해 ·· 330
0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30
0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35
0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338
*제2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기술 ··· 347
제04장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 이해 · 348
0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 이론 348
02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 349
03 자원동원론과 교환이론 ··· 350
04 사회구성론, 권력의존이론, 사회자본이론 352
제0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 354
01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목표 ··· 354
0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발달사와 특징 355
03 지역사회실천모델의 유형 ··· 357
04 최근 변화된 실천 모델 ·· 367
제06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370
01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제 학자의 견해 370
0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371
제07장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 376
01 개 요 ··· 376
02 지역사회개발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377
03 사회계획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379
04 사회행동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380
제08장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기술 · 382
01 개 요 ··· 382
02 옹호(advocacy, 대변)기술 382
03 조직화(organizing) 기술 386
04 연계(network linkages) 기술 ··· 387
05 자원개발 및 자원동원 기술 ·· 388
06 임파워먼트(empowerment) 기술 · 390
07 계획 기술과 지역사회교육 기술 ·· 391
제09장 사회행동의 전략과 전술 394
01 사회행동의 전략 ··· 394
02 정치적 압력전술 ··· 398
03 법적 행동과 사회적 대결 ·· 399
04 언론의 활용과 협상 전술 ·· 401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영역과 추진체계 ·· 403
제10장 지역사회보장계획 ·· 404
01 지역사회보장계획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404
02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 408
제11장 공공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 420
01 지방분권화와 지역사회복지 ··· 420
02 지역사회 공공복지 실천주체의 전문 인력 422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03 사회복지사무소(복지사무전담기구) ·· 423
04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424
제12장 민간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 428
01 사회복지협의회 · 428
02 지역사회복지관 · 431
0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434
04 지역자활센터 · 441
05 지역아동센터 등 ··· 445
06 협동조합기본법 · 450
*제4부 지역사회복지운동 ··· 453
제13장 지역사회복지운동 ·· 454
01 지역사회복지운동 · 454
02 주민참여와 지역사회복지운동 ·· 455
부 록 최신기출문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