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과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1부 서 설 29
제01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 30
01 환경 속의 인간(PIE : Person in Environment) · 30
02 인간 발달에 대한 개요 ··· 31
03 인간 발달을 보는 관점 ··· 35
04 발달단계와 발달과제 ··· 35
05 인간 발달과 사회복지실천 · 37
*제2부 전생애주기적 발달관점에서 이해 39
제02장 태아기, 영유아기, 학령전기 · 40
01 태아기(Prenatal) : 임신~출산 · 40
02 영유아기(Infants) : 0~2세 ··· 46
03 학령전기(preschool childhood) : 3~6세 51
제03장 아동기(childhood) : 7~12세 · 58
01 아동기의 개요 ··· 58
02 신체적 발달 ··· 58
03 심리적 발달 ··· 59
04 사회적 발달 ··· 62
05 사회복지실천의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 65
제04장 청소년기(adolescence) : 13~18세 · 68
01 청소년기의 개요 ··· 68
02 신체적 발달 ··· 69
03 심리적 발달 ··· 71
04 사회적 발달 ··· 74
05 사회복지실천의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 75
제05장 청년기(youth) : 19~39세 ··· 78
01 청년기의 개요 ··· 78
02 청년기(19~27세)의 발달 ··· 79
03 성인 초기(28~39세)의 발달 81
04 청년기․성인 초기 사회복지실천의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 ··· 82
제06장 중․장년기(middle adulthood) : 40~64세 ··· 84
01 중․장년기의 개요 ··· 84
02 신체적 발달 ··· 85
03 심리적 발달 ··· 86
04 사회적 발달 ··· 87
05 사회복지실천의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 89
제07장 노년기(old age) : 65세 이상 92
01 노년기의 개요 ··· 92
02 신체적 발달 ··· 93
03 심리적 발달 ··· 94
04 사회적 발달 ··· 101
05 사회복지실천의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 103
*제3부 인간의 성격에 대한 이해 105
제08장 정신역동이론 ·· 106
01 학자별 주요이론 ··· 106
02 프로이트(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이론 ·· 107
03 에릭슨(Erikson, 1902~1994)의 심리사회이론 ··· 123
04 융(Jung, 1875~1961)의 분석심리이론 129
05 아들러(Adler, 1870~1937)의 개인심리이론 ··· 136
제09장 행동주의 이론 144
01 행동주의 이론의 개관 144
02 스키너(Skinner, 1904~1991)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 147
03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152
제10장 인지이론 ··· 158
01 피아제(Piaget)의 인지이론 158
02 콜버그(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 167
제11장 인본주의 이론 172
01 로저스(Rogers)의 현상학 이론 172
02 매슬로우(Maslow)의 인간 동기이론(욕구계층이론) · 177
*제4부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 183
제12장 사회체계이론 ·· 184
01 일반체계이론(general system theory) ·· 184
02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theory, 생태학적 이론) ··· 189
제13장 사회체계로서의 가족, 집단 ··· 194
01 가족체계 · 194
02 집단체계 · 198
제14장 사회체계로서의 조직․지역사회․문화 ··· 204
01 조직체계 · 204
02 지역사회체계 · 206
03 문화체계 · 206
<제2과목 사회복지조사론>
*제1부 사회조사방법의 기초 215
제1장 과학과 조사연구방법 ·· 216
01 과학이란 무엇인가 ··· 216
02 과학적 조사(scientific research) · 221
03 과학철학 · 224
04 과학으로서의 사회과학 ··· 226
05 사회복지조사방법 · 229
제2장 사회조사방법의 기본 개념 ··· 234
01 연구문제(research question) ··· 234
02 개념의 정의 ··· 236
03 가설(hypothesis)과 이론(theory) · 238
04 개념과 변수 ··· 241
제3장 사회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 ·· 246
01 사회조사방법의 형태(유형) 246
02 사회조사방법의 절차 ··· 251
03 조사연구를 할 때 고려사항 ·· 253
*제2부 사회조사방법의 설계 ·· 255
제4장 질문지 작성 ··· 256
01 개 요 ··· 256
02 질문지 설계 및 작성절차 ·· 257
제5장 측정과 척도 ··· 262
01 측정(measurement) · 262
02 척도(scale) · 265
제6장 신뢰도와 타당도 ··· 274
01 신뢰도(reliability) ·· 274
02 타당도(validity) ·· 278
0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280
04 측정의 오류 ··· 281
제7장 표본추출(표집) ·· 284
01 표본추출의 의의 ··· 284
02 표본추출 관련 기술적 용어 ·· 285
03 표본조사의 설계(표본추출과정) 288
04 표본추출 방법 ··· 289
05 대표성과 표본의 크기 294
*제3부 자료수집 · 297
제8장 자료수집과 질문지법 ·· 298
01 자료수집 · 298
02 질문지법(questionnaire survey, = 설문지법) ··· 299
제9장 면접법과 관찰법 ··· 304
01 면접법(interviewing, = 면접조사) · 304
02 관찰법(observational method) · 306
제10장 비반응성 자료수집과 내용분석 ··· 310
01 비반응성(nonreactive research) 자료수집 방법 · 310
02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 311
제11장 실험설계(집단설계) ·· 316
01 실험설계의 기본 개념 316
02 실험설계의 타당도 ··· 318
0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선정 321
04 실험설계의 유형 ··· 322
제12장 단일사례연구 ·· 326
01 단일사례연구의 의의와 기본구조 326
02 단일사례연구의 목적과 특성 327
03 단일 사례연구 설계의 종류와 특성 328
04 개입의 평가 ··· 332
제13장 질적 연구방법론 334
01 질적 연구의 개념과 특징 ·· 334
0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335
03 질적 연구의 종류 · 336
04 질적 연구에서의 표집 338
05 질적 연구 시 특별한 고려 사항 ·· 340
06 질적 연구의 엄격성(rigor)을 높이는 전략 · 341
07 삼각측량과 혼합연구 ··· 341
제14장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 344
01 욕구조사(Needs Assessment) · 344
02 평가조사(Evaluation Research, 평가연구) ··· 350
*제4부 자료처리 및 조사보고서 작성 ·· 357
제15장 자료처리 및 조사보고서 작성 · 358
01 자료처리 · 358
02 연구보고서 작성 ··· 360
부 록 최신기출문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