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국영화의 서술과 기억

중국영화의 서술과 기억

  • 루홍스
  • |
  • 전남대학교출판부
  • |
  • 2014-01-27 출간
  • |
  • 485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68490842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1,78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7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는 중국 무성영화 연구에 남다른 성과를 남긴 루홍스 교수의 집필 부분과 조기 영화인들을 탐방하여 인터뷰한 소중한 자료를 모아 재탄생한 작품이다. 이전에 출간했던 『중국영화사』의 내용을 수정, 보충하였으며, 그 시기의 중요한 사진을 적재적소에 새로 끼워 넣었고 소상한 주석을 첨가하고 있다. 특히 제1장 제4절 ‘상업 경쟁을 향해서’ 항목은 상당 분량을 보충하고 있다. 또 ‘부록 셋’ 중국영화연대기는 이번에 『차이나시네마』 이후 수정 증보한 『중국영화사』(2012, 전남대학교출판부)의 내용을 바탕으로 1949년까지 다른 사료(史料)를 발굴하여 덧보탰으며, 홍콩, 대만 부분을 첨가하여 보다 자세한 연대기를 만들어 보았다.
아무쪼록 중국영화에 한걸음 더 다가서고 싶은 독자들, 중국영화사를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들의 책상 위에 한동안이라도 눈길을 받으면서 펼쳐 놓일 수 있기를 바래본다.

제1장 페이드 인 Fade-in 漸顯 1905-1931

페이드 인(Fade in: 淡入/漸顯)
영화의 편집 기교 중 하나로, 디솔브 인(dissolve-in)이라고도 한다. 영화 예술에서 시공간의 간격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 표현 형식은 앞 장면의 화면이 점차 어두워지면서 완전히 소멸된 후에 뒤 화면이 점차적으로 환하게 밝아지는 것을 뜻한다. 이 장에서는 중국영화의 여명(黎明) 단계를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1. 역사 이전
/ / / 한 시인은 말한다. “만약 빛이 없다면 세계는 그리워 할 아무 것도 없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다. 각종 빛과 그림자의 기묘한 관계는 인류를 위해 생활의 많은 즐거움을 가져다주었으며, 그 한 가지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던 “손가락 그림자놀이”이다. 이와 동시에 빛과 그림자는 인류의 일종의 특수한 표현 방식이었다. 일찍이 2,100여 년 전에 한(漢) 무제(武帝)는 도사(道士)를 청해 세상을 떠난 이부인(李夫人)의 “혼을 불러 달라(招魂)”고 한 적이 있다. 그런데 그 도사가 사용했던 방법은 빛과 그림자의 관계에 대한 깨달음에서 얻은 것이 틀림없다. 등불 빛으로 등 뒤에서 이부인과 체격이 아주 비슷한 궁녀의 그림자를 휘장 위에 비추고 악사의 연주를 곁들이면, 휘장의 맞은편에 앉아 있던 한 무제는 마치 죽었다 다시 살아난 이 부인을 실제로 보는 것 같아서 이를 빌어 그의 사모하는 정을 의지했다.
그림자극은 옛사람들이 빛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자기의 생각을 표현했던 최고의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빛과 그림자의 약동 속에 한 막 한 막 덧없는 인생살이의 이야기가 연출되어 관객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불러일으키고 관객에게 현실 바깥으로 벗어나는 흥분과 즐거움을 주었다.
영화는 근대 사진술이 발명된 후에 탄생한 또 하나의 새로운 빛과 그림자 예술이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Lumiere) 형제가 파리의 한 커피숍에서 영업을 위해 상영(上映)했던 날이 영화의 첫 번째 생일이었다. 연속 촬영과 상영이 가능했던 새로운 빛과 그림자 예술은 이렇게 현대 인류의 일상생활로 걸어들어 왔다.
하지만 서양 국가들이 영화 발전을 하나씩 이뤄나갈 때 중국 조정은 여전히 천문산학관(天文算學館) 증설의 시비(是非)로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봉건과 미신(迷信)의 유령은 이 동방 대국에서 우쭐대며 빈둥거렸고 중화민족이 현대 문명으로 나아가는 길을 어렵게 걷도록 했다.
청(淸) 왕조의 몰락과 부패는 마침내 1840년부터 시작된 제국주의 열강의 야만적 침략을 불러왔다. 굳게 닫혀있던 나라의 문은 강제로 열렸고 열강 국가의 군사와 경제 확장이 수반되면서 서양의 생활 방식과 문화 상품도 중국에 수입되기 시작했다.
중국이 영화의 발명과 인연이 없었던 탓에 중국영화 역사의 서막도 외국 영화의 유입으로부터 시작될 수밖에 없었다.
마치 성냥, 석유를 각각 ‘양(洋) 불’, ‘양(洋) 기름’으로 불렀던 것처럼, 중국인들도 처음에는 영화와 같은 박래품(舶來品)을 ‘서양 그림자극(西洋影戱)’이라고 불렀다. 1885년(광서光緖 11년) 11월 15일 저녁, 자금을 모아 이재민을 구제하던 유학생 안영경(顔永京)이 상해(上海) 육마로(六馬路) 격치서원(格致書院)에서 ‘서법경양기은희등(西法輕養氣隱戱燈)’을 가지고 외국의 풍경을 담은 ‘그림자극’ 한 편을 상영했다. 하지만 당시 기록으로 판단해 보면 이런 ‘그림자극’은 아직 진정한 의미의 영화가 아니었고, 고작 잇따라 움직이는 특징을 가진 슬라이드에 불과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중국인이 최초로 본 영화는 아마도 1896년 8월 2일 밤, 상해 서원(徐園) ‘우일촌(又一村)’의 오락 활동일 것이다. 이 오락 활동을 시작으로 관광객들은 2지아오(角)의 소양(小洋)만 있으면 불꽃놀이나 마술 그리고 ‘서양 그림자극’을 보고 즐길 수 있었다.
그 후, 영화의 상영 활동은 점차 상해, 북경(北京), 광주(廣州), 천진(天津) 등 중ㆍ대형 도시에서 많아지기 시작했다. 일부 구습에 얽매인 사람들이 그것은 “서양인들이 사람 눈을 수집하는 기가 막힌 방법”이라고 보는 시각을 제외하면, 대다수 중국 관객은 영화 관람을 매우 즐거워했다. 일반적으로 영업을 위한 이런 상영 활동은 몇몇 찻집과 구식 극장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상영된 프로그램은 경치와 희극(喜劇) 단편 영화가 대부분이었다. 그 일을 주관한 사람은 주로 외국의 문화 상인들이었고,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영화상(映畵商)으로는 스페인 사람 라모스(A. Ramos)를 꼽을 수 있다. 1903년, 그는 같은 국적의 한 친구가 양도한 모든 상영 설비와 영화 필름을 인수하였는데, 경영에 재간이 있어서 영화 사업은 갈수록 번창했다. 이후, 10여 년 동안에 라모스는 점차 하나의 체인(chain)식 극장을 주체로 하는 트러스트(trust) 조직인 라모스연예회사(雷瑪斯遊藝公司)를 건립했고, 그 영화 상영 지역은 점차 넓어져 무한(武漢) 등과 같은 내륙 도시까지 확장되었다.
외국인의 상업적 상영 활동보다는 조금 늦었지만 중국의 선견지명을 가진 경영자들도 영화를 임대해서 비교적 규모가 있는 영화 상영 사업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국인이 자체적으로 시도했던 비교적 규모를 갖춘 영화 상영은 민족영화 제작업 출범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 우리들은 임경태(任慶泰: 런칭타이)가 이를 위해 했던 모든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2. 초창기
임경태(1850~1932)의 자(字)는 경풍(景豊)이며, 북경에서 처음으로 중국인이 창설하여 무대 의상을 입고 찍는 사진으로 유명한 풍태(豊泰) 사진관의 주인이다. 청말 민국(淸末民國) 초에 아주 영향력 있는 실업가였던 그는 약방, 목기점(木器店), 사이다 공장을 창립했으며, 이와 동시에 영화 상영에도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가 건립한 ‘대관루영화원(大觀樓電影園: 오늘날 대관루영화관電影院의 전신)’은 북경 최초의 전문 영화관이다. ‘대관루’에서 “상영된 영화는 길이가 아주 짧고 우스꽝스러운 영화를 제외하면 고작 마술과 외국 풍경뿐이었다.” 그러므로 영화 공급원을 보충하고 영업을 확장하기 위해서 임경태는 사진관의 기술 능력을 이용해서 스스로 영화 제작을 하자는 생각을 싹틔웠다. 처음 시도하는 실험에서 임경태가 무엇을, 어떻게 찍었든지 간에 그가 기울인 노력만큼은 잘 알 수 있다. 적어도 그는 어떻게 해야 영화로 관객을 많이 모을 수 있는가를 고려해야 했다. 여러 해 동안 희곡(戱曲) 사진을 촬영한 경험이 있고 또 당시 희곡 공연의 성황(盛況)을 직접 눈으로 보았으며 본래 희곡 분야의 사람들과 교제 범위가 꽤 넓었던 임경태는 유명한 경극 배우의 연기를 ‘활동사진’으로 찍자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그래서 1905년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갈 무렵 경극(京劇) 담파(譚派) 예술 창시자 담흠배(譚?培: 탄신페이)의 생일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첫 번째 국산 영화 『정군산(定軍山: 딩쥔샨)』을 세상에 선보였다.
『정군산』은 담흠배가 사람을 가장 많이 끌어 모았던 앵콜 공연 레퍼토리 중의 하나다. 그것은 고전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제70회와 제71회에서 제재를 취했고, 극의 줄거리는 지혜와 용기를 두루 갖춘 촉(蜀) 나라 장수 황충로(黃忠老)가 좋은 장수가 되어 여러 차례 전공(戰功)을 세우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다. 무성(無聲) 영화인 『정군산』은 전체 극에서 ‘군대 지원(請纓)’, ‘칼 사위(舞刀)’, ‘교전(交鋒)’ 등 동작이 볼만한 ‘주(做)’ㆍ‘타(打)’의 토막 몇 개를 선택했으며, 세 막은 30여 분이면 모두 상영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여러 해 동안 임경태는 다시 다른 유명 배우들과 합작하여 『염양루(艶陽樓: 엔양로우)』, 『청석산(靑石山: 칭스샨)』(이상 유국생兪菊笙: 위쥐셩 주연), 『금전표(金錢豹: 진첸바오)』, 『백수탄(白水灘: 바이슈이탄)』(이상 유진정兪振庭: 위젼팅 주연), 『관셩의 생포(收關勝: 쇼우관셩)』(허덕의許德義: 쉬더이 주연) 등 7~8편의 희곡 공연 영화를 촬영 제작했다. 이 희곡 단편(실록 영화 - 역주)들은 모두 변변치 않은 조건에서 비교적 원시적인 방식으로 촬영한 것이었다. 사진관 천장 기둥의 양쪽에 한 폭의 휘장을 걸고 배우는 휘장 앞에서 희곡 음악의 반주에 따라 연기를 했다. 카메라를 무대 아래 관객이 관람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고정시키고 햇빛을 이용하여 촬영했다. 영화 촬영을 맡았던 사람은 ‘풍태’에서 가장 훌륭한 사진기사 류중윤(劉中倫)이었으며, 임경태는 현장에서 모든 일을 도맡아 지휘했다. 전해진 바에 따르면 손으로 돌리는 카메라의 일정치 않은 속도 및 날씨 등의 원인으로 이 단편들의 시각적 효과는 그리 이상적이지 못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런 영화들이 본토의 전통 예술과 바깥에서 들여온 신기한 오락 형식의 최초의 결합이다 보니, 관객들은 매우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 후세 사람의 다소 과장된 기술(記述)에 따르면 이런 희곡 공연 영화는 “다양하고 몹시 볼만하여 길상(吉祥) 극장(戱院) 등지에서 공연할라치면 집집마다 사람들이 길거리로 나와 보는 대성황을 이뤘다”고 한다. 그러나 좋은 경기는 지속되지 않았으며 1909년, 원인을 알 수 없는 대형 화재로 한 차례의 위기를 맞은 풍태 사진관은 끝내 재기하지 못했다. 임경태의 영화 제작 활동도 이쯤에서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첫 국산 영화가 오래된 제왕(帝王)의 수도(首都)에서 탄생했다는 이 기정사실은 역사적 우연성을 다소 띠고 있다. 그리고 4년 후, 민족영화 제작 사업이 상해에서 다시 시작된 것은 일종의 역사적 필연임이 틀림없다. 왜냐하면 신흥 민족영화는 본토 문화의 지지가 필요했으며, 나아가 경제와 ‘정신적 공감대’의 보장을 더욱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국 근대 경제와 문화의 중심이었던 상해는 자연히 그럴만한 이유를 가지고 중국 초기 영화 발전의 중요한 기지가 되었다.
1913년 젊은 외국 상사 직원이었던 장석천(張石川: 쟝스츄안)은 당시 연극(戱劇) 평론으로 명성이 자자했던 정정추(鄭正秋: 졍졍치우) 등과 신민회사(新民公司)를 조직했고, 상해 현지에서 영화를 찍었던 아시아그림자극회사(亞細亞影戱公司)의 모든 업무를 인수했다. 아시아그림자극회사는 원래 미국 국적의 러시아인 벤쟈민 브라스키(Benjamin Brasky)가 창업했으며 상해와 홍콩에서 몇 편의 단편 영화를 촬영한 적이 있었다. 그 후, 나라의 정세에 어두워서 영업을 계속하기 어렵게 되자 회사의 명의와 자재(資材)의 일부를 상해남양생명보험회사 사장 이설(A. Yiesel)과 다른 미국인 서퍼트(T.H. Suffert)에게 넘겨주었다. 브라스키의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해서 그들은 중국인과의 합작을 모색했다. 이런 상황에서, 신민회사는 “닭을 빌어 계란을 낳는다”는 식으로 중국의 첫 번째 극영화(feature film)인 『결혼을 위한 죽음(難夫難妻: 난푸난치)』을 만들었다. 길이가 4권(卷: reel)인이 단편 영화는 정정추가 극본을 썼으며 장석천과 공동으로 감독을 했다. 그것은 희극적(喜劇的) 필치로 서로 잘 알지 못하는 한 쌍의 젊은이가 부모와 중매쟁이의 독단 속에 결합하는 과정을 서술했다. 여러 가지 번거롭고 불필요한 예절을 과장되게 묘사하여서 창작자의 일정한 현실 비판 의식을 담아냈다. 영화의 촬영 작업은 상해 홍콩로(香港路) 2호(號)에 있는 아시아영화사 뜰 안의 한 공터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든 배역은 남자 신극(新劇, 속칭 ‘문명희文明戱’) 배우가 도맡았다. 장석천과 정정추 둘 다 처음으로 영화 작업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맡았던 감독의 역할도 역시 초보적인 것이었다. 장석천은 「내가 영화감독을 한 다음부터(自我導演以來)」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한 적이 있다. “나와 정정추는 맡은 일을 서로 상의했으며, 그는 배우의 표정, 동작을 지휘하였고, 나는 카메라의 위치 변동을 지휘하였다. 지금은 상식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영화 촬영장에서 총지휘관을 감독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지만, 당시에는 이른바 ‘감독’이라는 명칭조차도 없었다……. 우리들은 ‘스승도 없이 스스로 터득’하는 감독 일을 이처럼 알쏭달쏭하게 해가면서 얼마나 웃음거리가 되었는지 모른다. 감독으로서의 기교는 꿈속에서도 생각해 보지 못했으며, 카메라 위치가 잘 배치되는 대로 배우들에게 렌즈 앞에서 연기를 하라고 지시하면 200척(尺)이 한 통인 필름을 다 찍을 때까지 각종 표정과 동작을 그침 없이 연기했다(당시에는 400척과 1,000척 길이의 필름통暗盒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임경태의 조각난 희곡 공연 영화와 비교한다면 『결혼을 위한 죽음』은 어쨌거나 스크린 위에서 벌어지는 하나의 이야기가 있었다. 가령, 임경태의 영화 제작 실험이 영화 필름의 기록 기능에 대한 인식론적 실천이었다면, 『결혼을 위한 죽음』은 이미 영화의 서사(敍事) 가능성을 담아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신민회사가 그 후에 촬영한 다른 단편 극영화들 속에서 영화의 이런 서사 가능성은 보다 많이 발굴되었다. 해체되기 전 1년 남짓 동안 신민회사는 그들의 투자자를 위해 『자전거 사고(脚踏車闖禍: 지아오타쳐츄앙훠)』, 『불안한 하룻밤(一夜不安: 이에뿌안)』, 『횡재(店?失票: 뎬훠스피아오)』 등 20여 편 가까운 단편 극영화를 창작했다. 이 영화들은 대부분 신극과 민간 우스갯소리의 이야기에서 제재를 취했고 길이는 평균 2권 안팎이었다. 정정추가 한동안 단원들을 따로 모아 신극 연출에만 전념하면서 이 영화들은 장석천이 촬영을 도맡았다. 이후, 서사 가능성에 대한 보다 진전된 모색이 이루어져 장석천은 화면과 장면의 분할, 집밖 실제 장면의 사용, 슈팅 스케일(shooting scale)의 변화 등에 대한 부분적 구상을 각각 가지고 있었다. 그러면서 영화 스크린의 시간과 공간에 일정한 활동성과 상상력이 나타났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_5
옮긴이 서문 _7

제1장 페이드 인 Fade-in 漸顯 1905-1931
제2장 포커스 인 Focus-in 調焦 1931-1937
제3장 페러렐 몽타주 Parallel Montage 平行蒙太奇 1937-1945
제4장 로케이션 프로세싱 Location Processing 實景加工 1945-1949
영화구술사 소인(小引)/ 203
제5장 감독의 역사 기억-영화구술사의 하나
제6장 배우의 역사 기억-영화구술사의 둘
제7장 촬영기사/녹음기사의 역사 기억-영화구술사의 셋
제8장 극작가/영화평론가의 역사 기억-영화구술사의 넷

부록 하나 임경태와 첫번째 국산 영화 고찰 평가/ 378
부록 둘 천일영화사와 중국 조기 영화산업/ 395
부록 셋 중국영화 연대기/ 418
후기/ 464
찾아보기/ 469

저자소개

저자 루홍스는 1963년 출생. 1983년 북경사범대학 중문과를 졸업한 후 중국 영화사의 초창기 연구에 몰두했다. 영화사에 대한 논문 및 영화평론이 200여 편이며, 저서로는 「중국 영화:서술과 해석(中國電影:敍述與闡釋)」ㆍ「세계영화전기록(世界電影全紀錄)」ㆍ「중국예술백과사전ㆍ영화권(中國藝術百科辭典ㆍ電影卷)」 등이 있다. 요즈음 영화사 관련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기획에 참여하며 52회에 달하는 대형 텔레비전 프로그램『중국 영화(中國電影)』의 전체 원고를 쓰고 편집 감독을 맡았다. 현재 국가방송영화텔레비전총국 영화위성채널 프로그램 제작 센터 프로그램 부서 부주임이며 연구원이다. CCTV-6 등 여러 영화 채널의 프로그램 편성과 제작을 주관하고 있으며,『중국은막(中國銀幕)』잡지의 총 감독이며 중국예술연구원 대학원 교수이다. 중국예술연구원 영시연구소 중국영화연구실 주임,『북경전영 학원학보(北京電影學院學報)』 부 편집을 역임한 바 있다.『중국영화사: 초창기 중국 영화의 서술과 기억(中國電影史: 早期中國電影的敍述與記憶』ㆍ『중국 영화: 서술과 해석(中國電影:敍述與闡釋)』 등 학술 저작을 출판했다.

도서소개

『중국영화의 서술과 기억』은 중국 무성영화 연구에 남다른 성과를 남긴 루홍스 교수의 집필 부분과 조기 영화인들을 탐방하여 인터뷰한 소중한 자료를 모아 재탄생한 작품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