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인간관계론 탐구 이론과 실제

인간관계론 탐구 이론과 실제

  • 박은종
  • |
  • 한국학술정보
  • |
  • 2012-03-30 출간
  • |
  • 508페이지
  • |
  • 188 X 254 X 35 mm
  • |
  • ISBN 9788926832028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간관계의 본질 추구

일반적으로 인간과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며 모여 사는 공간이 곧 사회이다. 자고로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고 다른 사람과 어울려서 살아간다. 곧 인간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삶을 영위해 간다.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간과 인간 간의 원만한 상호 관계 유지가 곧 인간관계이고 이를 탐구하는 이론적ㆍ학문적 접근이 곧 인간관계론이다.
인간의 삶은 곧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다. 가정생활, 직장생활, 사회생활 등이 모두 타인과의 교호 작용에 바탕을 두고 영위되는 것이다. 인간과 인간이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배려하며, 대화를 통해 타협하는 일련의 과정이 곧 인간관계이다. 이렇듯이 인간관계란 일면 쉽고도 가벼운 일처럼 생각되기도 하지만, 사실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과제인 것이다. 한 마디로 인간관계가 원만한 데서 인간의 사회생활 관계가 출발하는 것이다.

인간관계론의 중요성 제고

우리가 함께 살고 있는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를 흔히 ‘군중 속의 고독의 시대’, ‘인간 상실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현재 우리가 사는 지구촌에는 약 65억여 명의 인구가 생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외, 우울증, 자살 등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학교 폭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곧 세상에 정량적인 사람 수는 엄청나게 많은데, 진정으로 자기와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할 사람들은 많지 않다는 반증인 것이다. 마음과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사람들은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나아가 정과 사랑과 믿음으로 연계된 우리의 전통적 인간관계의 정서가 물질적 면과 타산적인 면에 매몰되어 점점 삭막해져 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 사회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진정 우리 모두는 군중 속의 고독한 존재, 인간 상실의 시대의 소외인으로서 외롭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인간관계론의 핵심과 이상(理想) 추구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는 관심과 배려, 공감과 소통이 핵심이다. 아울러, 인간관계론은 이론과 실제가 통합되어야 한다. 즉 인간의 사회적ㆍ심리적 이론과 함께 실제 사회 생활의 실천적 측면이 함께 조망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의 인간관계론이 단선적인 면보다는 통합적ㆍ복합적ㆍ다방향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론의 연구 대상과 실행 대상은 교원, 학생, 학부모, 교육전문가, 학자 등만이 아니다. 지구상의 동서고금, 남녀노소 모두가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인간관계론을 탐구하여야 하는 것이다.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원만하게 인간관계를 유지할 때, 우리 사회가 맑고 밝아지며 청렴하고 아름다운 사회가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l 인간관계론 서설(序說)
제1장 인간관계론의 기초
제1절 인간관계의 의미
제2절 인간관계론의 개념
제3절 인간관계론의 특징
제4절 인간관계론의 형성 과정
제5절 인간관계론과 자아의 관계

제2장 인간관계론의 개관
제1절 인간과 인간관계
제2절 인간관계의 기저(基底)
제3절 인간관계의 유형
제4절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원칙)

제3장 인간관계의 유형
제1절 인간관계의 유형(모형)
제2절 인간관계 유형(모형)의 특징
제3절 인간관계의 욕구 차이

제4장 인간관계와 자아(自我) 탐구
제1절 자아정체성(自我正體性)
제2절 자아 분석
제3절 자아개념의 특성과 자아실현
제4절 자아 존중감(自我尊重感)

제5장 타인의 이해와 인간관계
제1절 타인에 대한 이해
제2절 인간관계의 형성
제3절 바람직한 인간관계

탐구 문제

제2부 l 인간관계와 사회생활
제1장 인간의 성격과 발달
제1절 인간의 성격
제2절 인간의 발달
제3절 인간 발달 단계와 생애 발달
제4절 인간 발달과 환경

제2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1절 인간의 행동
제2절 인간의 발달
제3절 사회환경의 탐구
제4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관계
제5절 사회복지와 인구 고령화

제3장 집단(集團)과 조직생활
제1절 집단(集團)에 대한 이해
제2절 조직(組織)과 인간관계의 의의
제3절 조직의 원리
제4절 조직구조와 인간관계

제4장 리더십(Leadership) 탐구
제1절 리더십(Leadership)의 개념과 의의
제2절 리더십의 과제
제3절 리더의 자질
제4절 리더십의 유형
제5절 리더십의 배양

제5장 우정(友情)과 사랑의 이해
제1절 우정(友情)의 이해와 탐구
제2절 사랑의 이해와 탐구

탐구 문제

제3부 l 소통(疏通)과 공감의 이해
제1장 대화(對話)와 설득(說得)
제1절 대화(對話)의 이해
제2절 대화의 기술
제3절 설득(說得)의 이해
제4절 설득의 방법

제2장 의사결정(意思決定)의 이해
제1절 의사결정(意思決定)의 개념과 유형
제2절 의사결정의 과정
제3절 의사결정의 모형
제4절 의사결정에의 참여
제5절 의사결정의 제약 요소
제6절 의사결정의 유용성

제3장 의사소통(意思疏通)의 이해
제1절 인간행동과 의사소통(意思疏通)
제2절 의사소통의 방법
제3절 의사소통의 유형
제4절 의사소통의 원칙과 네트워크(Network)
제5절 의사소통의 장애요인과 효과
제6절 의사소통의 전달자
제7절 의사소통 전략
제8절 의사소통의 실제

제4장 갈등(葛藤)과 해결 방안
제1절 갈등(葛藤)의 개념과 의의
제2절 갈등의 기능
제3절 갈등의 해소 전략
제4절 갈등의 관리 방안

제5장 인간존중과 행복
제1절 인간과 행복
제2절 인간존중과 행복
제3절 인간관계와 행복한 삶

탐구 문제

제4부 l 윤리와 공공 생활
제1장 가족(家族) 및 부자간의 인간관계
제1절 가족(家族)에 대한 이해
제2절 부모와 자식 간의 인간관계
제3절 부모와 자녀 관계의 갈등
제4절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 해소 방안
제5절 미래의 부모와 자녀 관계 준비

제2장 직장생활과 인간관계
제1절 바람직한 직장생활
제2절 직장(직업) 선택의 기준
제3절 직장생활의 적응
제4절 보람 있는 직장생활
제5절 직장에서의 상·하·동료 간 화목(和睦)
제6절 직장 부적응 문제(사례)

제3장 사회생활과 법(法)
제1절 기초적인 법의 이해
제2절 법적 개념(法的 槪念)
제3절 법 관련 기관
제4절 법과 생활 관련 사례
제5절 법의 기본 원리와 가치

제4장 공공 덕목으로서의 법교육
제1절 법교육의 기저
제2절 법교육의 개념과 목표
제3절 법교육의 실태와 체제
제4절 법교육의 내용 일반
제5절 세계화 시대의 법의식 확립

제5장 정보통신윤리 교육
제1절 정보통신기술의 이해
제2절 정보통신윤리의 중요성
제3절 미래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향
제4절 가상교육의 형태

탐구 문제

제5부 l 세계화·정보화 시대와 인간관계
제1장 세계화와 세계시민사회
제1절 세계화의 메커니즘
제2절 세계화의 개념
제3절 세계화와 지구촌의 미래
제4절 세계화의 차원
제5절 세계화의 명제
제6절 세계화와 민주화
제7절 세계화와 지구촌의 과제
제8절 세계화와 교육의 관계
제9절 세계화와 21세기 키워드(Key word)

제2장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의 방향
제1절 민주 시민 교육의 중요성
제2절 민주 시민 교육의 목표
제3절 민주 시민의 개념과 기능
제4절 한국의 민주 시민 교육 현실과 발전
제5절 민주 시민 교육의 교육과정과 접근법
제6절 민주 시민 교육의 종합적 고찰과 분석
제7절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의 방향
제8절 민주 시민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 지향

제3장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방향
제1절 한국 사회와 다문화 교육
제2절 한국의 다문화 사회 동향(Trend)
제3절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내용
제4절 외국의 다문화 교육 동향 탐색
제5절 한국 다문화 교육의 실제
제6절 세계화 시대 한국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제7절 다문화의 이해와 다문화 교육의 미래 지향점

제4장 세계화 시대의 환경과 녹색성장
제1절 녹색성장(Green growth) 등장 배경
제2절 녹색성장의 개념: 녹색성장의 시대
제3절 신재생에너지
제4절 글로벌(Global) 시대의 환경 문제

제5장 세계화 시대의 영재 및 영재교육
제1절 영재교육의 개관
제2절 영재교육의 이해
제3절 영재교육의 실제
제4절 영재교육의 방법: 교원·학부모 입장
제5절 미래 영재교육의 방향

탐구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박은종은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학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석사) 및 교육학과(교육과정 및 교육심리학 전공·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박사) 등을 졸업한 사회교육학 박사이다.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연구소 객원연구원 등으로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에 대한 연구에 종사하여 왔다. 또한 한국산업연수원 청주능력개발원 첨삭 교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시간 강사,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시간 강사, 동신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홍익대학교 교양학부 외래 교수, 광주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외래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인간관계론, 교육학 개론, 교육과정과 교육심리학,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였다. 아울러 교육과학기술연수원 강사, 충남교육연수원 강사, 전북교육연수원 강사, 한국교총 교육연수원 강사,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수원 강사, 공주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 강사 등을 역임하면서 교육과정, 수업분석과 수업 장학, 교수·학습법, 사회과 교육학 등에 관한 강의를 수행하여 왔다. 또 충청남도당진교육지원청 장학사, 충청남도부여교육지원청 장학사, 충남교육연수원 교수부 교육연구사 등을 역임하면서 사회과 교육학(론) 관련 교육행정과 교육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책자문위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전문위원,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주대학교 겸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 연구 학회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현재 전국의 대학교, 지방자치단체와 의회, 교육청(교육지원청), 기업체, 학부모 연수 등에 특강 강사로 리더와 리더십, 인간관계론, 인간관계와 직장생활, 자녀교육 등에 관한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회원이며, 연구의 주 관심 영역은 교육학 일반, 교육과정 탐구,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수법, 사회과 교육학,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학습 방법 등이다. 최근에는 사회과 통합 교육, 사회과 세계시민교육, 사회과 교육 국제 비교 연구, 다문화 이해 교육 등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학회지인 『교육연구』, 『교육연구논총』, 『교육과정논총』, 『사회과학연구』, 『충남교육』 등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정석 특강 교육학 개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실행』, 『으뜸 수업 탐구의 정석』, 『으뜸 학급경영 핸드북』,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탐구: 분석 및 모형 개발 탐색』, 『사회과 교육학 핸드북: Key Point』, 『현대 사회과 교육학·사회과 교육론 신강』 등 여러 권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학회지에 발표한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바람직한 세계시민교육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최근 사회과 교육의 트렌드(Trend) 연구」,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사범대학 사회과교육학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등 여러 편이 있다. 한편, 지(誌)와 지(誌)에 사회과 수업안을 다년간 집필한 바 있으며, 『대전일보』·『중도일보』·『한국교육신문』 등의 교육칼럼위원, 『백제신문』·『공주신문』 논설위원 등도 역임하였다.

도서소개

21세기 세계화 시대·지식정보화 시대의『인간관계론 탐구: 이론과 실제』. 사회생활과 직장생활을 중심으로 한 인간관계론을 다룬 책이다. 총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관계론의 이론적 배경과 학문적 기저, 인간 성격과 행동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바탕으로 한 사회생활의 다양한 활동, 타인과 소통·교류하는 다양한 방법, 글로벌 시민으로서 준수해야 할 공공 윤리,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 등을 깊이 있게 조명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