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손자병법의 탄생

손자병법의 탄생

  • 웨난
  • |
  • 일빛
  • |
  • 2011-07-20 출간
  • |
  • 588페이지
  • |
  • 170 X 240 X 35 mm /988g
  • |
  • ISBN 9788956451565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연하게, 아주 우연하게
1천여 년 전 사라졌던 병법서
『손빈병법』과 『손자병법』이 동시에 함께 발견되다!


1972년 봄, 산동성(山東省) 임기현(臨沂縣) 은작산(銀雀山)의 건설 공사 현장에서 한 인부가 병법의 성전인『손자병법(孫子兵法)』과 그 동안 1천여 년 전에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왔던『손빈병법(孫?兵法)』의 진본(眞本)을 함께 동시에 발견하게 되면서『손자병법』의 새로운 탄생에 대한 드라마는 시작된다.
이 발견, 발굴이 있기 전까지『손자병법』에 대한 설(說)은 여러 가지로 분분했다. 학계에서는 그 저자까지 손무(孫武)냐, 손빈(孫?)이냐 하는 의견으로 나뉘어 논쟁을 거듭하고 있던 상태였다. 그러나 은작산에서『손자병법』과『손빈병법』이 동시에 발굴되면서 학계에서의 지리한 논쟁은 종지부를 찍게 된다. 두 명의 손자(孫子 : 손무와 손빈)와 두 권의 『손자병법』, 즉『손자병법』과『손빈병법』이 각기 다른 시기에 존재했었다는 사실이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 그 동안 여러 가지 이런 저런 설(說)로만 떠돌고 있던, 마치 전설처럼 전해져 오던 손무와 손빈, 그리고 그들 병법서의 실체가 학계에 알려지는 순간이었다.
그 후 의견 분분하게 위서(僞書) 논란까지 일고 있었던 학계에서는 명확한 해답을 찾게 되었고,『손자병법』과『손빈병법』의 연구라는 새로운 장을 열게 된다.
『손자병법』과 『손빈병법』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손빈병법』의 저자 손빈은 손무의 후손이다. 손빈의 병법 사상은 선조인 손무의 병법 사상을 한 줄기로 계승해 온 것이었다. 당시에는 문화와 지식이 문자를 통해 후대에 전해지는 방식 이외에는 가족 내부에서 구두로 전해졌는데, 이것 역시 중요한 하나의 과정이었다.
손무와 손빈이 살았던 연대는 서로 160여 년이라는 거리가 있다. 손무는 지금으로부터 약 2,500여 년 전 춘추시대에 살았고, 손빈은 전국시대에서 살았다. 이들 두 사람은 모두 제(齊)나라 사람이었고, 또한 모두 병법서를 세상에 내놓았다.
손무는 평생을 주로 오(吳)나라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역사학자들은 그의 병법을『오손자(吳孫子)』라고 불렀고, 손빈의 병법은『제손자(齊孫子)』라고 불렀다. 그런데 동한(東漢) 왕조가 쇠망한 후 전란으로 인해『제손자』는 실전되고 만다. 이때부터 사람들이 말하는 『손자병법』은 모두『오손자』만을 가리키게 된다.
『제손자』의 실전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적지 않은 오해와 추측이 생기게 된다. 어떤 사람은 손무와 손빈을 동일 인물이라 주장하였고, 또 어떤 사람은『오손자』와『제손자』가 같은 책이라 주장하였다. 또한 어떤 사람은『손자병법』을 손빈의 저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오해와 추측, 그리고 이로 인해 일어난 논쟁은 줄곧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멈춘 적이 없었다. 그러나 1972년, 이 두 병법이 같은 묘에서 동시에 출토되고, 이 사실은 역사상 손무와 손빈은 각기 따로 존재했으며, 그 저서 또한 서로 각기 존재했다는 것이 사실로 증명된다.


『손자병법』과 그것을 둘러싼 비밀이 마침내 풀리다

은작산 인근의 공사장에게 잡일을 하던 한 인부의 ‘우연한’ 발견으로 손무의『손자병법』과 손빈이 쓴『손빈병법』의 존재가 학계에 알려지게 되는 계기가 되는데, 이 ‘우연한’ 발견은 곧바로『손자병법』을 둘러싼 여러 가지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된다.
중국 기실문학(記實文學 : 르포, 논픽션 문학)의 국가 1급 작가인 웨난(岳南)의 손을 거쳐 그려진『손자병법』과『손빈병법』에 대한 생생한 발굴의 기록은 우연한 발견을 시작으로『손자병법』의 첫 발굴 현장과 그 뒤에 이루어졌던 고증의 과정을 마치 다큐멘터리를 한눈에 보듯 그려지고 있다. 또한 발굴 당시의 현장감을 생생하게 살리면서도 손무와 손빈이 존재하던 춘추전국시대를 시공을 넘나들며 아우르고, 숨겨져 있었지만 살아 숨 쉬고 있던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작가 웨난의 독특한 구성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작품 구성은 읽는 이로 하여금 고고학과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역사적 관련 지식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웨난은 중국의 중대한 고고발굴에 관한 작업들과 관련 인물들에 대해 기실문학의 형식으로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었고,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일빛 출판사에서 발간한『진시황릉』이나『마왕퇴의 귀부인』등을 통해 큰 호응을 받은 바 있다. 그는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낯설어 하는 전문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도 세심하고도 정치(精緻)하며, 쉬운 문장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발군의 취재력과 관찰력, 풍부한 상상력으로 독자들에게 고고학적 발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매력이 있는 작가다. 그의 저작들은 고고학자들의 지리한 발굴 과정과 업적을 널리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을 뿐 아니라 고리타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고고학이라는 학문에서 대중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데에도 학계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은작산 한묘의 발굴이 갖는 고고학적 의의

이 책은 당시의 고고학 발굴단의 모습과 중국의 사회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는데, 1972년 당시, 중국은 문화대혁명이 한창이었고 수많은 유물들이 훼손되고 있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은작산의 유물들은 1천여 년의 어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수 있게 된다. 자칫 손상될 수 있었던 유물들의 발굴과 보존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갖고 있는데, 중국 고고학 역사에서 갖는 의의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이런 점은 은작산 한묘 발굴에 처음부터 참여했던 오구룡(吳九龍)의 말을 빌려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의의는『손자병법』이 총 13편이라는 것을 실증했다는 것에 있다. 일부 회의론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부정해 오고 있었지만 은작산에서의 발굴은 그들의 의심을 푸는 명확한 증거가 되었다.
둘째, 지금까지 실전된 것으로 알려져 왔던『손빈병법』의 발굴이다. 그동안 위서론자(僞書論者)들은 손무라는 인물은 아예 존재조차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손빈병법』의 발굴은 이러한 위서론을 잠재우며 더 이상 논쟁의 여지가 없게 했다.
셋째,『손자병법』과『손빈병법』이 동일한 분묘에서 출토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손무와 손빈이 다른 사람이며, 각기 자신의 병법서를 후세에 남겼다는 뜻으로 학계에서 근 1천 년을 끌어온 논쟁이 은작산의 죽간을 통해 하루아침에 해결해 주었다.
넷째,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강태공의『육도(六韜)』와 위료(尉?)의『위료자(尉?子)』는 위서론자들에게 위서로 지목받아 그 가치가 과소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한간본(漢簡本) 『육도』와『위료자』의 내용이 기존의 판본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판명되면서 위서라는 혐의를 벗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은작산 한묘의 발굴은 그동안 학계에서조차 의견이 분분하고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던 고대 병법서들을 비롯해 여러 고적들을 새롭게 연구하여 본래 면모를 되찾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그 모든 과정을 섬세하고도 매끄럽게 담아내면서 2,5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 독자들을 역사 속으로 초대하고 있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5
추천의 글 11
프롤로그 : 연기(緣起) 22

1장 지하에서 솟아오른 병가의 전설 | 33
죽간 손자병법의 비극 35
1호 묘의 관곽을 열다 47
북경으로 보낸 파발마 64

2장 문화대혁명과 고고학의 겁란(劫亂) | 71
2호 묘를 발견하다 73
악당, 호미를 빼앗다 79
비밀리에 북경에 가다 90
묘장의 수수께끼를 풀다 107

3장 병가의 시조 | 125
소 장사꾼 강자아 127
제나라 왕 강자아 137
『육도』의 실체 146

4장 제나라와 손씨 가문의 흥망 | 153
제나라 환공의 패업 155
『관자』와 『왕병』 168
병법의 일가 손씨열전 174

5장 손무와 오자서의 생사고락 | 187
오나라로 도망친 손무 189
야반도주한 오자서 201
백발로 소관을 넘은 오자서 212
오나라 수도의 퉁소 부는 사나이 222

6장 병법의 신, 손무 장군 | 227
오나라 왕 요를 해친 어장검 229
궁륭산에서 나온 손무 236
합려를 만난 손무 243
두 비(妃)를 참한 손무 250

7장 합려를 패주로 세운 손무 | 259
초나라 정벌의 영웅 261
오자서의 복수 269
오나라의 철병 277
08장 와신상담 | 289
다시 쓴 『병법 13편』 291
오월 전쟁 297
손무의 최후 303

09장 귀곡자의 천기누설 | 311
귀곡에서의 수련 313
전국 시대 손자, 손빈의 하산 327
형제의 난 337

10장 손빈과 방연의 격돌 | 349
다리가 잘린 손빈 351
제나라로 도망친 미치광이 355
병법의 신이 된 손빈 367

11장 마릉의 수수께끼 | 381
은작산 손빈병법의 추적 383
베일에 싸인 마릉 전적지 387
담성 마릉의 비밀 396

12장 손자와 손자병법의 정체 | 405
두 명의 손자와 춘추전국 시대 407
손무와 손빈은 동일 인물인가 416
은작산 한간의 암시 423
불멸의 병서 두 권의 탄생 433

13장 손무의 고향 논쟁 | 443
혜민과 박흥 사이 445
광요현의 고고학적 근거 453
싸움 뒤의 싸움 462
손무 묘의 발견 471

14장 손빈의 영상 | 481
손노가의 비밀 483
『손빈병법』의 탄생지 495
노나라 땅 서남쪽에서 들리는 소리 505

15장 초혼의 깃발은 누구를 위해 나부끼는가 | 511
세기의 사기극 513
전문가들의 대반격 528
사기극의 열 가지 의문점 551
조종이 울리다 559

에필로그 : 큰 부름 569
참고문헌 580
옮긴이의 글 584

저자소개

저자 웨난은 1962년 중국 산동성(山東省) 제성(諸城)에서 태어나 해방군예술학원 문학과를 졸업하고, 북경사범대학 노신문학원(魯迅文學院) 문예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는 중국작가협회 회원으로 중화고고문학협회(中華考古文學協會) 부회장으로 있다. 저서로는『북경의 명13릉(風雪定陵)』,『마왕퇴의 귀부인(西漢亡魂)』,『열하의 피서산장(熱河的冷風)』,『법문사의 불지사리(萬世法門)』,『부활하는 군단(復活的軍團)』,『구룡배의 전설(日暮東陵)』,『삼성퇴의 청동문명(天賜王國)』등이 있으며, 그 외에 동북공정과 관련한『하상주 단대공정(千古學案)』을 비롯해 중국 지식인의 학문적 정신과 감정적 운명을 주제로 한『진인각(陳寅恪)과 전사년(傳斯年)』,『채원배(蔡元培)에서 호적(胡適)까지』,『양사성(梁思成), 임휘인(林徽因)과 그들 시대의 문화 명인』등이 있다. 그 가운데『북경의 명13릉』,『마왕퇴의 귀부인』,『손자병법의 탄생』,『하상주 단대공정』,『법문사의 불지사리』등 10여 편의 작품은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도서소개

2,500년 만에 지하에서 솟아오른 병가의 전설!

은작산 손자병법『손자병법의 탄생』. <북경의 명13릉>, <마왕퇴의 귀부인>의 저자 웨난이 1972년 봄, 은작산의 건설 현장에서 한 인부가 발견한 <손자병법>과 <손빈병법>의 발굴 과정과 당시 중국 사회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이 책은 손자병법의 첫 발굴 현장과 그 뒤에 이루어졌던 고증의 과정을 다큐멘터리처럼 구성하여 당시의 현장감을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또한 발굴 현장이야기와 함께 손무와 손빈이 존재했던 춘추전국시대의 숨겨진 이야기와 역사적 사실을 작가 웨난의 독특한 형식을 통해 시공을 넘나들며 보여준다.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전문적인 부분들은 쉬운 문장으로 써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발굴 현장과 당시 중국 사회의 모습을 사진과 그림으로 보여줌으로써 2,500년 전의 역사 현장을 생생하게 복원하였다.

상세이미지

손자병법의 탄생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