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미학적으로 접근한 「8월의 크리스마스」의 지점과 계기들
1. 들어가며
2. 연기 미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의 지점들과 계기들
1)영화의 시작과 더불어 등장하는 정원의 표정이 영화의 제목 「8월의 크리스마스」에 대해 말해주는 몇 가지 것 / 2)병원에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 중에 앞에 앉은 아이와 장난하는 정원 / 3)초등학교 교정에서 철봉을 하다 앉아 있는 정원 옆에서 노는 아이들 / 4)사진이 맘에 들지 않는 손님의 사진을 다시 찍어주는 정원 / 5)친구 아버님의 장례식에 간 정원 / 6)다림과 정원의 첫 만남 / 7)아이스크림을 사들고 사과하는 정원과 당황해 하는 다림 / 8)파를 씻는 중에 빗방울을 맞는 정원 / 9)정원과 다림이 주유소에서 스치다 / 10)아이들의 싸움을 말리는 정원 / 11)시집간 첫사랑과 스치는 정원 / 12)정원과 누이는 함께 수박씨를 뱉는다 / 13)다림의 마음속에 정원이 남자가 되어 들어오다 / 14)정원, 식구들과 저녁을 먹다가 파리를 쫓는다 / 15)다림, 정원의 스쿠터 뒤에서 좋은 시간을 보내다 / 16)첫사랑이 찾아와 사진을 치워달라고 부탁한다 / 17)정원, 버스를 타고 병원에 간다 / 18)시한부 생명을 진단받은 정원이 집에 와 발톱을 깎는다 / 19)다림, 정원의 마음속에 여자가 되어 들어가다 / 20)같이 있어도 더 가깝게 같이 있고 싶은 당신 / 21)문고리를 고치는 정원, 그러나…… / 22)정원, 노상 방뇨하다 / 23)왜 내가 조용히 해야 하는가 / 24)촌스런 제비꽃빛 스웨터의 다림, 놀러오다 / 25)가족 사진인가, 영정 사진인가 / 26)비오는 날 다림의 ‘천지우당탕’사건 / 27)할머니의 생명으로 죽음 껴안기 / 28)라그리마 / 29)다림의 깊은 한숨 / 30)친구들과의 이별 / 31)아버지에게 남기는 비디오 사용법 / 32)여전한 정원의 일상 / 33)화장한 다림, 돌격하다 / 34)다림과의 처음이자 마지막 데이트 / 35)창가에 서서 정원의 숨죽인 오열을 듣는 아버지 / 36)그래서 이 사람이…… / 37)다림, 정원이 야무지게 고친 문 틈 사이로 사랑의 편지를 끼워 넣다 / 38)다림의 아픔 / 39)정원, 다림의 꿈을 꾸다 / 40)다림, 유리창에 돌을 던져 깨다 / 41)정원, 다림에게 편지를 쓰다 / 42)창문 너머로 다림을 쓸어보는 정원 / 43)사진처럼 / 44)정원, 자신의 영정 사진을 찍다 / 45)다림, 초원사진관을 다시 찾다
3. 나가면서
연기미학적으로 접근한 「봄날은 간다」의 지점과 계기들
1. 들어가며
2. 연기 미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영화 「봄날은 간다」의 지점과 계기들
1)「봄날은 간다」마지막 장면의 문제점. 상우는 득도했는가? / 2)상우와 할머니의 뒷모습 / 3)강릉으로 가는 상우, 새벽에 내린 눈을 밟다 / 4)상우와 은수의 첫 만남 / 5)은수, 대나무를 가볍게 잡다 / 6)은수 손가락에 피 멈추는 법을 가르쳐 주는 상우 / 7)밤에 선글라스를 끼는 은수 / 8)소화기 작동법 / 9)양산을 든 여인 / 10)상우, 사랑을 시작하고 있는가 / 11)은수, 사랑을 시작하고 있는가 / 12)라면 먹을래요? / 13)상우의 배에 가벼운 펀치를 날리는 은수 / 14)은수와 상우, 나란히 서서 부부의 무덤을 바라보다 / 15)은수의 머리를 후비는 상우 / 16)은수의 세 얼굴 / 17)아버지, 상우에게 소주잔을 건네다 / 18)상우씨, 나 김치 못 담궈 / 19)은수, 거울을 꺼내다 / 20)‘아라리요’를 녹음하는 두 사람 / 21)은수씨, 내가 라면으로 보여? / 22)은수, 상우를 찾아오다 / 23)열심히 해, 인마 / 24)은수, 선글라스의 남자와 길을 떠나다 / 25)상우, 울다 / 26)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 27)상우, 은수의 작은 차를 긁다 / 28)할머니, 양산을 받쳐 들고 길을 떠나시다 / 29)은수, 다시 상우가 그립다 / 30)은수, 마지막으로 상우의 손을 잡다
3. 나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