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종가의 입지와 형성
1. 청도 백곡에 터를 잡다 / 2. 남원에서 청도로 돌아오기까지
제2장 탁영 김일손
1. 숙명적 인연, 스승 김종직 / 2. 참공부, 노학자와의 만남 / 3. 젊은 지식인의 염원, 지리산행 / 4. 동국의 한창려로다 / 5. 사관은 직필해야 할 뿐 / ♠ ‘탁영’이라는 호
제3장 탁영가를 지켜 온 사람들
1. 종가의 서막을 열다, 조부 김극일 / 2. 탁영 연보를 남기고, 조카 김대유 / 3. 종가를 제자리에, 증손 김치삼 / 4. 일생 목천을 흠모한, 12대손 김창윤
제4장 종가의 문화경관
1. 자계서원과 영귀루 / 2. 종택과 부조묘 / 3. 묘소와 영모재
제5장 탁영가의 유물
1. 보물 957호, 탁영금 / 2. 성종이 하사한 벼루 / 3. 문헌과 고문서
제6장 결속과 화합의 의식, 제례
1. 불천위 제사 / 2. 탁영가 제례의 특징들
제7장 종손에게 듣다, 탁영가의 미래
1. 종손과 종부로 살아가기 / 2. 지속 가능한 종가의 미래, 외금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