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의 말 5
1부 시적 객관성과 문학 비평
흐린 주점의 시, 청동에 새긴 시-오늘의 시에 대한 세 낱의 생각 15
불확실성의 시대, 불확실한 시 29
중용의 미덕, 그리운 선비의 글멋-김태길 교수 수필집 『초대』 서평 31
주의 깊게 본 작은 현실 33
삶의 다양성과 이론의 획일성의 사이 36
역사와 인간 이성-조세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사반세기 40
문화 시대의 노동-최종천 시집 『눈물은 푸르다』에 부쳐 69
시적 객관성 82
이윤학, 『꽃 막대기와 꽃뱀과 소녀와』 144
김경수 시집 『지구 밖으로 뻗은 나뭇가지』 발문 147
절도와 감흥-김종길 선생의 최근 시 152
오늘의 새 물결과 현실을 분명히 이해시키는 평론 175
세계 속의 한국 문학-문학의 보편성에 대하여 179
시집 발간을 축하하며-김현곤 시집 『사랑해』에 부쳐 199
삶의 근본에 대한 성찰-김동호 시집 『노자의 산』에 부쳐 204
바다의 시-바다를 읽는 몇 가지 방법 210
작가는 어디에서 말하는가?-큰 이론 이후의 문학 236
2부 다원 시대의 문학과 교육-시장, 세계화, 교육
21세기 외국 문학ㆍ문화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249
가지치기와 뿌리 다스리기-과외 자유화와 더불어 떠오르는 이런저런 생각 265
문학과 세계 시장 274
다원 시대의 문학 읽기와 교육 324
영어 교육의 효용-언어의 구체성과 추상성 347
문학과 존재론적 전제-비교 시학적 관점에서 368
대학과 대학원의 변화 그리고 학문의 이념 385
대학과 국가-평등과 수월성 394
홍보 전략과 문학-번역 사업에 대한 몇 가지 생각 421
21세기 아시아와 동아시아 문학-동아시아문학포럼에 부쳐 440
2008 제1회 한일중 동아시아문학포럼 환영사 446
보편적 담론을 향하여-동아시아와 출판문화 450
3부 진실의 기율-정치와 철학 사이
『문명의 충돌』에 대하여 473
통일의 조건-지역 환경과 시민 사회 482
정치 변화의 이상과 현실-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488
진리의 삶에 이르는 길-이문영, 『인간ㆍ종교ㆍ국가』 520
진실, 도덕, 정치 523
미국의 이라크 전쟁과 세계 질서 560
테러리즘의 의미-시대와 조건 589
주체와 그 지평 594
세계와 우리의 변증법적 지평 619
의도를 가진 말-매체와 자율적 기율 624
혁명과 이성 631
공부의 내적 의미와 외적인 인증 644
잃어버린 마음을 찾아서-성찰과 삶 650
정치와 휴머니즘 671
우리는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야 하는가-경제, 정치, 문화, 환경의 오늘의 문
제를 생각하며 707
오늘의 세계의 두 문화-버지니아 공대의 참극을 생각하며 724
투쟁적 목표와 인간성 실현 730
또 하나의 길을 찾아-경제 위기와 기회 736
행복의 이념-사적 행복과 공적 행복 754
민주 사회에서 인문 과학의 의의 788
4부 인간적 사회를 향하여
세 가지 시작-전통 사회의 이해를 위한 한 서론 823
세계화와 민족 문화-일본 문학이 시사하는 것 837
지식 사회와 사회의 문화-도서 체제와 문화 853
문화의 안과 밖-지방 문화를 위한 하나의 도식 867
문화적 공공성 구축을 위하여 885
이파리와 바위-세계적 공론의 다원적 형성 888
민족과 보편적 지평 903
문화적 기억과 세계화 시대의 인간 926
복간에 즈음하여-뜻을 성실하게 하기 939
하나의 세계-그 외면과 내면 944
인간적 사회를 위하여-산업화와 민주화의 반세기를 돌아보며 949
일상성 비판-삶의 작고 큰 테두리에 대하여 984
지각적 균형 1021
부름과 직업, 학문의 현실적 의미 1041
봉사와 보람으로서의 직업 1097
5부 추억 몇 가지
이 선생님의 말씀 1109
무상의 가르침 1113
나의 자서전과 나 1116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의 공헌 1146
순정성과 삶의 미로 1150
전체성의 모험-글쓰기의 회로 1156
피천득 선생님에 대하여 1225
출전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