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의 말 5
1부 문학의 지평
삶의 진정한 테두리-샐린저의 시골 인생 15
번역과 문학의 인식 지평 23
사회 체제 속의 예술과 문학-위치와 역할 54
체험으로서의 전쟁-한지화의 『푸른 별의 꿈』 86
오원(梧圓) 전집 발문을 대신하여 88
숙흥야매(夙興夜寐) 92
영문학에 접선하기-영문학과 그 지평 96
작은 데에서 출발하는 귀중한 삶의 실험-유창복,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109
2부 경계 넘어서기
1장 투쟁과 이념을 넘어
사회 통합의 의제 115
민주주의와 자유와 필연-시와 진실 120
차 모임과 서부 개척지-미국 정치 심리의 한 모델 147
잠깐 멈추어 생각해 본다 178
스스로 기뻐하게 하는 정치 186
장미의 효용 215
언론의 지평-보편성으로의 열림 231
통일 논의의 지평-깊이의 윤리와 현실 전략 270
2장 한 지도자에 대한 추억-김대중론
정치 지도자의 형성-김대중 대통령의 삶에 관한 고찰 309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함 340
3부 오늘의 과제-문학, 인문 과학, 시대
한국 인문 교육의 목표와 과제-정전과 그 선정의 기본 방향 345
인문 과학의 시대적 요청과 과제 385
서울국제문학포럼 397
삶의 이야기, 삶의 이론-이데올로기, 진정성, 시장 420
오늘 읽는 고전-서지문의 『영어로 읽는 논어』에 부쳐 450
문학 연구와 문화적 인식 지평-일차원적 사고와 윤리 규범 465
인문 과학의 사고와 오늘의 상황 509
어문 교육의 과제-보편성에로의 고양: 하나의 반시대적 고찰 556
열린 문화 속의 삶-하나의 문화, 여러 개의 문화 591
4부 문학, 과학, 문명
이성과 인간의 삶-생물학적 인간관을 중심으로 617
학제적 연구 669
시와 과학-사실, 이론, 존재 717
5부 세계화와 보편 윤리
학문적 방법론으로서의 정직-부도덕한 사회와 학문의 도덕적 기초 851
소비 사회와 정신문화-문명된 차원의 삶으로의 이행을 위하여 878
나의 삶, 나의 학문-공부한다는 것의 의의에 대하여 899
정신 인간학과 인간 이해의 여러 차원-근대와 아시아적 전통 908
세계화와 보편 윤리-수용, 권리, 문화 가치 942
윤리 국가의 이상-동아시아의 현재와 전통 983
윤리, 도덕, 인성-사실적 진리와 도덕의 형성 1039
인간에 대한 물음-인문학의 과제에 대한 성찰 1102
문명의 에피스테메-윤리와 진리 1150
사실의 엄정성과 규범적 가치-책을 펴내면서 1202
자연과 물질과 인간과 삶-『인간 문명과 자연 세계』 머리말 1213
객관성, 가치와 정신-문화의 안과 밖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