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장 시대와 유형
20세기후반, 창작음약 양상樣相-시대구분, 유형분석으 중심으로
20세기 후반, 국악창작 약사略史
2000년, 국악창작의 바람직한 전개全開
2002년, 침체된 관현악의 새로운 방향 모색模索
2004년, 시대를 관통하는열 개의 성과成果
2008년, 천차만별콘서트와 생태 변화變化
2014년, 아르코창작음악제
국악도 소비消費 되어야한다
국악, 어떻게 팔 것인가
탈脫 공연장시대,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2장 허상과 실상
국악관현악,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약사略史(1965~1999)
위기의 국악관현악단
혼魂 창創 통通으로 극복하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 반으로 줄이거나 배로 늘리거나
서울시국악관현악단 : '아시아음악제' 성과와 방향
서울시국악관현악단 : 고유한 레퍼토리의 확보確保
기악器樂 마인드에서 기획企劃 마인드로 향하라
KBS국악관현악단 : 건강한 몸을 위한 음악이 필요하다
KBS국악관현악단 : 스무 살 그대여! 정겨운 존재가되어라
국립국악관현악단 : 전前 근대아 탈脫 근대의 넘나들기
국립극장 국가브랜드 연주회(1) : 채우는 능력보다 비우는 미덕
국립극장 국가브랜드 공연(2) : 즐길 수 있는 존재의 무거움
3장 모색과 대안
경기도립국악단 : 이틀로 집약된 신녀과 성과
안산시립국악단 : 성호星湖 이익李瀷처럼
국악팝스오케스트라 '여민' : 트래디션을 넘어 트렌드를 만든다
성남시립국악단 & 여수시립국악단 : 김만석과 이경섭의 지란지교
한국청소년국악관현악단 : 21세기를 이끌어갈 멘토-멘티
서울시청소년국악관현악단 : 기성악단과 달라야 산다
서울시청소년국악단 : 다르다, 새롭다, 즐겁다
4장 우리가 기억해야 할 작곡가
김희조 : 사후에 공연한 무용극 '심청'
이강덕 : 협주곡을 개척한 낭만적 작곡가
이성천 : 사슴을 닮은 국민주의 작곡가
이해식 : 음악은 궁극적으로 엑스타시ecstasy
백대웅(1) : 음악은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이다
백대웅(2)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우너 초대원장
백대웅(3) : 백대웅처럼 산다는 것
이해식과 백대웅 : 리듬부터 다르다
이상규의 문학성, 백대웅의 역사성, 이성천의 철학성
이해식의 리듬, 강준일의 화성, 김영동의 선율
이해식 : 호모루덴스, 그의 작품은 '놀이'로 통한다
강준일 : 호모아카데미쿠스, 그의 작품은 '공부'에서 시작된다
김영동 : 호모드라마티쿠스, 그의 작품은 '이야기'를 통해 빛난다
박범훈(1) : 3-3-3
박범훈(2) : 봄바람 났구나, 굿판에 갔구나
채치성 : 서구지양西歐止揚, 민족지향民族志向
5장 여성음악인 열전
유은선 : 아름다운 소통의 창구 만들기
다스름(1) : 실내음악단 다스름의 '청소년을 위한 환경음악회'
다스름(2) : 남미南美로 창을 내겠소
안현정(1) : 그녈르 이해하는 다섯 가지 키워드
안현정(2) : 모든 정서는 '달'로 통한다
아기자기 유민희, 지피지기 민경아
유민희 : 자신을 '기도하듯' 드러낼 줄 아는 작곡가
차승민 : 서른, 잔치는 시작됐다
김보라 : 앞서감은 외로움이다
박민희(1) : 가곡이 혹은 그녀가 욕망하는것
박민희(2) : 시時, 나我, 꿈夢, 몸身
I. S. 김진아, 김선아, 김민아 : 모던한 아시아 사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