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1. 동방지중해로부터의 문제제기
2. 기충문화
제1장 오월문화의 확산
1. 오월문화 개관
2. 오월 멸망 후의 동방지중해
제2장 농사, 교역, 생사
1. 농자천하지대본
2. 이모와 자
3. 직물
4. 고상식 가옥
5. 바닷가 거주 - 수상 거주민에 대한 시선
제3장 타계 - 영혼은 고향을 향한다
1. 마을 사람의 영혼이 머무는 곳
2. 바다를 왕래하는 사람들
3. 한반도에서의 남녘땅에 대한 갈망
4. 강남처자국
5. 니라이카나이
6. 영혼은 고향은 고향을 향한다
제4장 여성의 세계
1. 결혼의 형태 - 남성이 왕래하다
2. 시집가기의 여러 형태
3. 노동
4. 놀이
5. 모임 - 회, 계, 강
6. 투쟁하는 여성들
7. 무녀와 유녀
8. 비구니, 사당
9. 관음과 생명
제5장『대장금』의 세계에서 - 16세기 기층문화의 사례연구
1. 16세기를 배경으로 한 『대장금』
2. 역사 속의 의녀 장금
3. 중종 시대
4. 일하는 여성들
5. 동시대의 먹거리
6. 역병에 대한 두려움
7. 묘와 풍수
8. 여성들의 심적 의지처
9. 시장의 예능인
제6장 제사세계
1. 생명의 메타모르포제 - 나비, 새, 뱀, 꽃
2. 해신과 해변의 초혼
3. 불교ㆍ도교에 의한 영혼의례에서 야제로
4. 민속세계의 채색
맺음말 - 결론을 대신하여
1. 동방지중해 지역의 가능성
2. 기층문화에 숨 쉬고 있는 지혜
3. 복류하는 여성세계, 그 현현의 징조
4. 결어 - 동방지중해의 활력의 원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