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역 가례증해 5 상례 7 8

국역 가례증해 5 상례 7 8

  • 이의조
  • |
  • 민속원
  • |
  • 2011-06-30 출간
  • |
  • 548페이지
  • |
  • 188 X 254 X 35 mm
  • |
  • ISBN 9788956389790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7,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7,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가례증해」는 18세기 후반에 편찬된 「주자가례」 주석서로서, 사계 김장생의 「가례집람」과 시남 유계의 「가례원류」, 도암 이재의 「사례편람」의 전통을 계승하여 「주자가례」의 충실한 주석을 통하여 주자학에 입각한 사대부의 예제禮制를 강구하여 준행하려 하였던 노론의 예설을 널리 수집하여 절충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예서의 하나이다. 이 책은 「가례집람」을 토대로 송준길, 송시열을 거쳐 권상하, 이희조, 김창협, 이재, 한원진, 이간, 윤봉구, 김원행, 송능상, 박성원에 이르기까지 노론 계열의 중요한 학자들의 예설禮說을 절충하여 집대성함으로써, 이 계열 예설의 대체를 파악하는데 긴요하다.
조선말의 학자 숙재肅齋 조병덕趙秉悳(1800-1870)은 말하기를 “「가례증해」는 없어서는 안 될 예서의 일대 창고”라고 하면서, “영남의 예서로 「상변통고常變通攷」와 「가례증해」가 있어 함께 통용되는데, 노론은 「증해」를 사용하고 남인南人은 「통고」를 사용한다.”고 한 바 있다.
기호의 노론학자 뿐만 아니라 영남의 남인 학자들도 「가례증해」를 매우 존중하였다. 한주 이진상은 스스로 동암東巖 류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와 경호鏡湖 이의조李宜朝의 「가례증해」를 참고하여 「사례집요四禮輯要」를 편찬하면서 말하기를 “근세에 화산花山의 「통고」라는 책과 경호의 「증해」라는 책은 백가의 설을 종합하여 꿰고 종류대로 분류함으로써 상례常禮와 변례變禮를 모조리 모았으니, 비유하자면 페르시아 시장에 온갖 상품이 모두 모여 있어서 구하는 게 있으면 반드시 찾을 수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근대 영남의 학자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1873-1933)의 글에도 “「심경부주心經附註」는 자못 지리하여 「근사록近思錄」의 정밀함보다 못하며, 「가례증해」의 상세함은 「상변통고」보다 더하다.”고 한 말이 있다.
조선왕조 후기에 크게 흥성하였던 가례학家禮學 연구는 「상례비요」나 「가례집요家禮輯要」·「사례편람四禮便覽」 등 실용예서의 편찬에서부터,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남계선생예설」·「예의유집禮疑類輯」 등의 예설서의 유취類聚 단계를 거쳐 「상변통고」와 「가례증해」·「사의」 등의 전문예학논저가 나타남에 이르러 조선예학은 가히 예설禮說의 유취類聚 변증辨證 절충折衷에 있어서 전성기를 이루었다고 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가례증해」는 조선후기 가례학의 주류 영역이었던 가례주석학의 가장 대표적인 성과라고 할 것이다.
이제 이 책이 편찬된 지 근 200여 년이 흘러 세상의 풍속이 많이 달라졌다. 그러나 인간이 사는 곳에 예의 규범이 없을 수 없다. 시대를 넘어서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예의 규범의 근원과 그 본질을 찾으려고 한다면, 이 책을 통하여 여전히 사랑과 공경을 근간으로 하는 예의 정신과 그 실천을 목표로 하였던 「주자가례」의 본디 의도와, 조선후기 예학자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면밀하고 세심한 배려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가 있을 것이다. 그렇게만 된다면 인간관계의 조화를 통하여 인간다운 문명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던 선인들의 뜻을 받들어 인륜 도덕을 존중하는 새로운 사회의 기풍을 진작하는데 도움이 적지 않을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가례증해 권11
상례7
우제
주인 이하 모두 목욕한다
집사는 기물을 진설하고 찬을 준비한다
축이 신주를영좌에 모셔내거든 주인 이하는 모두 들어가 곡한다
강신
축이 찬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유식
주인 이하는 모두 나가고 축이 문을 닫는다
축이 문을 열면 주인 이하는 들어가서 곡하고 사신한다
축이 혼백을 묻는다
조석전을 그친다
유일을 만나면 재우를 지낸다
강일을 만나면 삼우를 지낸다

졸곡
삼우 뒤 강일을 만나면 졸곡을 지낸다, 하루 전에 기물을 진설하고 찬을 갖춘다
이튿날 일찍 일어나 채소, 과일, 술, 찬을 진설한다
날이 밝으면 축이 신주를 내온다
주인 이하는 모두 들어가 곡하고 강신한다
주인과 주부는 찬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 사신
이때부터 아침저녁 사이에는 슬픔이 북받쳐도 곡하지 않는다
주인과 형제는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되, 채소와 과일을 먹지 않으며, 잘 때 돗자리를 깔고 나무를 벤다


졸곡 다음날 부한다
졸곡의 제물을 거두고 나서
곧 기물을 진설하고 찬을 갖춘다
그 다음날 일찍 일어나 채소, 과일, 술, 찬을 진설한다
날이 밝으면 주인 이하가 영좌 앞에서 곡한다
사당에 가서 신주를 받들고 나와 영좌에 둔다
다시 새 신주를 받들고 사당에 들어가 영좌에 둔다
차례로 선다
참신
강신
축이 찬을 올린다
초헌
아헌ㆍ종헌
유힉ㆍ합문ㆍ계문ㆍ사신
축이 신주를 받들고 각기 본래 있던 곳으로 돌려놓는다

소상
기년이 되어 소상을 지낸다
하루 전날에 주인 이하는 목욕하고 기물을 진설하고 찬을 갖춘다
막차를 설치하고 연복을 진설한다
다음날 새벽에 일어나 채소, 과일, 술, 찬을 진설한다
날이 밝으면 축이 신주를 내오고 주인 이하는 들어가 곡한다
이에 나와 막차로 가서 옷을 바꾸어 입고 다시 들어가 곡한다
강신
삼헌
유식ㆍ합문ㆍ계문ㆍ사신
조석곡을 그친다
비로소 채소와 과일을 먹는다

가례증해 권12
상례8
대상
2주기가 되어 대상을 지낸다
하루 전에 목욕하고 기물을 진설하며 음식을 준비한다
막차를 설치하고 담복을 진설한다
신주를 옮길 것을 사당에 아뢴다
그 다음 날 행사하는데 모두 소상의 의식과 같다
마치면 축이 신주를 받들고 사당으로 들어간다
영좌를 거두고 상장을 절단하여 가려진 곳에 벌며, 체천한 신주를 받들어 묘소 옆에 묻는다

담제
대상 후 한달을 건너 담제를 지낸다
한 달 전에 하순의 날을 점친다
하루 전에 목욕하고 신위를 설치한 다음 기물을 진설하고 음식을 준비한다
그 다음날 날이 밝으면 행사하는데 모두 대상의 의식과 같다

『비요』길제
길제는 담제 다음날에 날을 점친다
3일 전에 재계한다
하루 전에 체천을 사당에 고한다
신위를 설치한다
제기를 진열한다
희생을 살피고 제기를 씻고 제찬을 갖추며, 이튿날 아침에 일찍 일어나 채소와 과일과 술과 제찬을 차리고, 날이 밝으면 신주를 받을어 신위에 모신다
참신ㆍ강신ㆍ진찬ㆍ초헌
아헌ㆍ종헌ㆍ유식ㆍ합문ㆍ계문ㆍ수조ㆍ사신
신주를 들여 모신다
남은 음식을 치운다
침소로 되돌아간다

『비요』개장
개장, 개장을 하려면 먼저 천장할 만한 땅을 잡고 나서, 관을 마련하고 염상, 포효, 금, 의를 갖춘다
장사지낼 도구를 준비한다
상복을 짓는다
날을 가려 여역을 열고 ,토지에 제사하고, 그대로 광을 파고, 회격을 만드는데, 모두 처음 장사 지내는 의식과 같다
하루 전에 사당에 고한다
집사가 구묘에 흰 베 장막을 친다
남녀의 위차를 마련한다. 그 이튿날 아침에 내외의 모든 친척이 다 모여 각기 제 위치로 나아간다. 주인은 시마복을 입고 나머지사람들은 모수 소복을 입고 위차에 나아가 슬픔이 다하도록 곡한다
축이 토지에 제사한다
묘소를 연다
역부가 분묘를 연다
관을 들어내어 장막 안의 돗자리 위에 둔다
축이 공포로 관을 닦고 이불로 덮는다
널 앞에 전을 차린다
역자가 새 관을 장막 문 바께 남향으로 들여놓고 그대로 장막으로 나아가면, 집사가 새 관의 서쪽에 염상을 차린다
지사가 관을 열고 시신을 들어다 염상에 놓고, 그대로 대렴 때의 의식과 같이 염을 한다
널을 옮겨 상여에 싣는다
발인은 처음 장사지낼 대의 의식과 같다. 도착하기 전에 집사가 먼저 영악과 영좌를 설치하고 남녀의 위차를 만든다. 널이 도착하면 주인 남녀가 각기 제 위차로 나아가 곡한다
이에 하관하는데, 처음 장사지낼 때의 의식과 똑같다
묘소의 왼쪽에서 토지에 제사한다
장사를 마치고는 장막의 영좌 앞으로 나아가 우제를 지내는데, 의식은 초우와 같다
제사를 마치면 영좌를 거두어 돌아온다
사당에 고유한다
석 달 만에 복을 벗는다

거상잡의
치부장ㆍ처전장
사장
『비요』조제문
『비요』문장
『비요』방자
『비요』:『의절』의 '조부모ㆍ부모가 사망하여 조문하거나 부의를 보내거나 장례에 참석한 사람에게 사례하는 소'
부모상을 당한 사람을 위문하는 소
부모상을 당해 남의 위문에 답하는소
조부모상을 당한 사람을 위문하는계장
조부모상을 당한 사람이 답장하는 계장

가례증해 영인본

도서소개

조선조 가례학의 대체적인 체계와 중요한 학설을 개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국역 가례증해』제5권 <상례 7 8>. 이 책은 조선조에 널리 강구되었던 <주자가례>에 대한 학설의 창고로 일컬어질 만큼 ‘가례’에 대한 가장 풍부한 주석을 담고 가장 정밀하게 완비된 조선후기 최고의 가례주석서인 <가례증해>를 번역한 것이다. 시대를 넘어서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예의 규범의 근원과 그 본질을 찾을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