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저술의 목적
제2장 이론적 배경
1. 언어 보편성과 일률성 가설
2. 명사적 투사와 동사적 투사: 확대 투사론
3. 분포 형태론
제3장 조사의 분류
제4장 조사는 핵인가?
1. 조사의 핵성과 관련된 쟁점들
2. 핵, 투사체, 그리고 분포
3. 마무리
제5장 조사구 그리고 조사들의 통합관계
1. 부사격 조사의 범주
2. 조사구 구조와 최강 일률성 가설
3. 동사적 수식, 명사적 수식, 그리고 조사구
4. 마무리
제6장 조사의 중첩
1. 강어휘론자 접근법의 문제점들
2. 반대칭성 접근법
3. 혼종 접근법
4. 기능 범주의 투명성
5. 마무리
제7장 후치사 ‘에’, ‘에게’, ‘께’의 교체
1. 동사 ‘주다’의 상과 ‘에’/‘에게’의 교체
2. 의미에 의한 형태소 교체는 합당한가?
3. 성 자질로서의 유정성
4. ‘에’, ‘에게’, ‘께’의 분포 차이
5. 기격 일치
6. ‘에’, ‘에게’, ‘께’, ‘께서’의 교체 규칙
7. 마무리
제8장 격조사의 소위 비-격 용법과 격조사의 성격
1. 남기심(1991)의 지적
2. 격조사의 비-격 용법에 대한 접근법들
3. D로서의 격조사
4. 마무리
제9장 유표격과 무표격 재고
1. 무표격 명사구의 해독과 위치
2. 주어 명사구와 무표격
3. 무표격 조사 ?와 EPP
4.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