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각국사집

대각국사집

  • 의천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2-09-25 출간
  • |
  • 750페이지
  • |
  • 153 X 224 X 40 mm /1322g
  • |
  • ISBN 9788978013642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나라 불교전적을 집대성한 『韓國佛敎全書』의 교감ㆍ역주본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3차분 7권,
현재까지 총 21권 간행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의 『대각국사집大覺國師集』을 비롯한 문집, 불교의례서, 선서禪書 등 한글 번역본 7권 발간


고려시대 의천의 『대각국사집大覺國師集』, 조선시대 침굉 현변의 『침굉집枕肱集』, 명연의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화악 지탁의 『삼봉집三峰集』, 백파 긍선의 『선문수경禪文手鏡』, 초의 의순의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등 우리나라 불교문헌 역주본 7권이 발간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사업으로 동국대학교가 추진하고 있는 『韓國佛敎全書』(동국대출판부) 역주사업의 성과들이 2010년에 7권, 2011년 7권, 그리고 2012년에 7권 해서 총 21권이 출간된 것이다.

한문으로 된 우리나라 불교문헌 대부분을 싣고 있는 『韓國佛敎全書』는 고려의 대각국사 의천義天이『속장경』을 간행한 이래 최초로 불교전적을 집대성한 것으로, 일제시대 이능화가 주도하여 결성했던 ‘조선불서간행회’를 비롯하여 뜻있는 선각자들이 끊임없이 시도했으나 이루지 못했던 한국불교 1600년의 숙원을 마침내 실현한 한국불교문헌의 대총서이다. 이 책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 말(1896)에 이르는 기간에 한국인에 의해 찬술된 불교전적을 집대성한 한국불교의 가위 ‘현대판 속장續藏’이요, 한국불교 연구의 정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전서역주사업단은 2007년부터 불교학자들과 함께 문ㆍ사ㆍ철을 망라한 연구자와 번역전문가들을 다양하게 참여시켜 증의, 교감, 주석, 해제 작업 등을 거쳐 2020년까지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불교 문헌 323편 전체를 학술적 완성도가 높은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시리즈로 매년 순차적으로 출간 중에 있다.

교감校勘ㆍ표점을 거친 원문을 함께 수록하여 학술적 가치 높아

특히 2차부터 시작해서 이번에 간행된 일곱 권까지 열네 권은 원문을 철저히 교감校勘한 후 원문 주를 따로 달고 표점 작업까지 마쳐 번역문과 함께 수록함으로써 학술적인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번역문과 원문을 즉시 대조해 볼 수 있어 번역문만으로는 갈증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학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도 원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 불교 문헌에 대한 연구가 한층 심화되고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 간행된 총 21권은 아래와 같다.

●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1차분 7권(2010년 출간)

<신라 1> 인왕경소仁王經疏-원측/백진순 옮김
<고려 1> 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균여/최연식 옮김
<고려 2>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충지/이상현 옮김
<조선 1> 작법귀감作法龜鑑-백파 긍선/김두재 옮김
<조선 2> 정토보서淨土寶書-백암 성총/김종진 옮김
<조선 3> 백암정토찬栢庵淨土讚-백암 성총/김종진 옮김
<조선 4>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풍계 현정/김상현 옮김

●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2차분 7권(2011년 출간)
<신라 2> 범망경술기梵網經述記-승장/한명숙 옮김
<신라 3>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태현/박인석 옮김
<고려 3>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조구/성재헌 옮김
<고려 4>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제관/최기표 옮김
<조선 5> 기암집奇巖集-기암 법견/이상현 옮김
<조선 6> 운봉선사심성론雲峰禪師心性論-운봉 대지/이종수 옮김
<조선 7> 추파집秋波集ㆍ추파수간秋波手柬-추파 홍유/하혜정 옮김

●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3차분 7권(2012년 출간)
<고려 5> 대각국사집大覺國師集-의천/이상현 옮김
<조선 8> 침굉집枕肱集-침굉 현변/이상현 옮김
<조선 9>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명연/정우영ㆍ김종진 옮김
<조선 10>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지환/김두재 옮김
<조선 11> 삼봉집三峰集-화악 지탁/김재희 옮김
<조선 12> 선문수경禪文手鏡-백파 긍선/신규탁 옮김
<조선 13>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초의 의순/김영욱 옮김

『대각국사집大覺國師集』 - 의천義天 / 이상현 옮김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사상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그리고 불교문헌의 보고인 교장敎藏 수집과 관련된 세계인의 전모를 보여주는 문헌


대각국사집大覺國師集』은 고려시대 대각 국사 의천(1055~1011)의 시문을 모은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과 의천과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글을 모은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의 두 책을 총괄하는 명칭으로, 세계인 의천의 활동과 교류, 사상을 알려주는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저서의 서문은 의천의 불교사상에 대한 일차적 자료로서 큰 의미가 있으며, 송과 요의 황제와 고위관료, 그리고 고창高昌과 일본 지역 승려들과의 폭넓은 교류활동을 기록한 글들은 의천의 국제적 문화교류 양상과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의천이 남긴 시문은 그의 불교사상과 교류관계, 나아가 일상생활 및 개인적 감정을 여과 없이 표현하고 있다.
의천은 교종의 대표격인 화엄종을 진흥하는 한편 교학과 관행觀行의 병행을 주장하며 고려 천태종을 개창하여 불교교단을 개편함과 동시에 고려불교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고려, 송, 요, 일본 등 동아시아 전체에 걸친 폭넓은 인적 교류와 불서 유통을 통해 고려 문화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였다. 특히 당시까지 전해지던 모든 불교전적을 집성하고 주석서인 장소章疏를 한데 모아 목록과 함께 총서로 간행한 것은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매우 특기할 만한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대각국사집』의 판본은 모두 불완전한 결본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 역주본에서는 국내에 남아 있는 여러 종류의 판본을 비교ㆍ검토하여 원문의 오류를 최대한 보완하였고, 상세한 역주를 통해 의천의 종합적 사상과 세계인으로서의 행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의천 연구의 권위자의 해제를 통해 일제시대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잘못 짜맞추어진 『대각국사집』의 판본 문제가 명확히 해명됨으로써 앞으로 대각 국사 의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를 펴내며
대각구사집 해제
일러두기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대각국사문집 제1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一
대각국사문집 제2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
대각국사문집 제3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三
대각국사문집 제4권 大覺國師文集卷第四
대각국사문집 제5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五
대각국사문집 제6권 大覺國師文集卷第六
대각국사문집 제7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七
대각국사문집 제8권 大覺國師文集卷第八
대각국사문집 제9권 大覺國師文集卷第九
대각국사문집 제10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
대각국사문집 제11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一
대각국사문집 제12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二
대각국사문집 제13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三
대각국사문집 제14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四
대각국사문집 제15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五
대각국사문집 제16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六
대각국사문집 제17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七
대각국사문집 제18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八
대각국사문집 제19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九
대각국사문집 제20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
대각국사문집 제21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一
대각국사문집 제22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二
대각국사문집 제23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三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
대각국사외집 제1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一
대각국사외집 제2권 大覺國師外集卷第二
대각국사외집 제3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三
대각국사외집 제4권 大覺國師外集卷第四
대각국사외집 제5권 大覺國師外集卷第五
대각국사외집 제6권 大覺國師外集卷第六
대각국사외집 제7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七
대각국사외집 제8권 大覺國師外集卷第八
대각국사외집 제9권 大覺國師外集卷第九
대각국사외집 제10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
대각국사외집 제11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一
대각국사외집 제12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二
대각국사외집 제130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三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의천(1055~1101)은 국사의 이름은 후煦이고 속성은 왕씨王氏이며 자字는 의천義天인데, 뒤에 송나라 철종哲宗과 이름이 같다 하여 자를 통용하였다. 국사는 고려 11대 왕인 문종文宗의 넷째 아들로서, 1055년 9월 28일 궁중에서 태어났다. 11세였던 1065년 5월 14일 내전內殿에서 경덕 국사景德國師를 따라 삭발한 뒤 영통사靈通寺에 머물렀다. 그해 10월 불일사佛日寺 계단戒壇에서 구족계를 받았고, 1067년 교서敎書에 의해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높여졌다. 1085년 송으로 구법의 길을 떠나 중국의 고승 대덕 50여 인을 만나 법요法要를 담론하고 불교경전의 장소章疏 3천여 권을 수집하여 돌아왔다. 저술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3권, 『신집원종문류新集圓宗文類』 22권 등이 있다. 1101년 10월 5일 입적하니, 세수는 47세이고 승랍은 36세였다. 생전에 국사國師에 책봉되었으나, 대각大覺이라는 시호는 입적 직후에 내려졌다.

도서소개

『대각국사집』은 고려시대 대각 국사 의천의 시문을 모은 《대각국사문집》과 의천과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글을 모은 《대각국사외집》의 두 책을 총괄하는 것으로 의천의 활동과 교류, 사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어주는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