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김복진 연구

김복진 연구

  • 윤범모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0-06-30 출간
  • |
  • 560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7801275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경술국치 100주년, 일제 통치의 가혹한 탄압 밑에서
“멜랑콜릭하되 건강한” 조선의 소년을 만나다!


정관 김복진(井觀 金復鎭, 1901~1940)은 일제 식민통치 시기에 한국 근대미술의 토대를 이룩한 선구적인 미술작가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그는 근대기 최초의 조소작가, 미술비평가, 문예운동가로서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 특히 그는 조소예술계에 정관파(井觀派)라고 일컬을 만한 다수의 제자들을 양성하면서 주류로서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의 안타까운 요절과 직계가족의 단절, 일제 말 공출과 한국전쟁으로 인한 작품의 소실로 현존 작품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그의 사회주의 활동 경력과 제자들의 월북 등으로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매우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

1940년 5월, 제19회 조선미전 출품작 중에서 단연 눈에 띈 것은 <소년>이라는 제목의 조소(彫塑)작품이었다. <소년>은 특선에 이어 조선총독상을 수상했고, 작가 김복진은 추천작가의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김복진은 작가로서 최고의 영예를 얻었지만 3개월도 지나지 않아 만 39세의 나이에 요절했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는 <소년>에 대해 훗날 그의 동생인 팔봉 김기진은 “멜랑콜릭하되 사색적이며, 불안정한 듯하면서 사실적이며, 보수적인 듯하나 건강하고, 그리고 웅경(雄勁)하다.”라는 의미심장한 회고의 글을 남겼으나, 현재 도록에 실린 한 장의 흑백사진으로만 전할 뿐이다.

근대 조소예술의 기틀을 세운 김복진의 작품과 생애를 집대성하다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미술평론가로서 김복진의 작품 발굴과 연구에 30여 년을 천착해 온 윤범모 교수(경원대)가 마침내 『김복진 연구 - 일제 강점하 조소예술과 문예운동』(동국대학교출판부 - 문화학술총서 시리즈)을 펴냈다.
올해 이순의 나이인 저자는 20대 때부터 “김복진 작품을 발굴하기 위해 청춘을 할애”하면서 추모전시회, 팔봉산 무덤 발굴과 묘비 건립, 《김복진전집》출판 등 추모사업을 이끌며, 김복진 작품과 생애 연구를 꾸준히 해왔다. 이 책은 스스로 ‘정관교(井觀敎) 신자’를 자처한 저자가 반평생의 열정으로 이룩한 우리 근대조소미술사의 정전이다.

김복진은 미술에 있어 전통과 진보라는 양극단을 섭렵하면서 창작의 지평을 넓혔다. <소년>과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백화>는 그가 이러한 경계를 넘나든 대가풍(大家風)의 작가였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1938년 조선미전과 일본 신문전에 각각 출품한 <백화>는 7등신의 늘씬한 몸매에 다소곳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한복차림의 젊은 여인 입상이다. 두 손을 앞으로 다소곳이 모아 정숙하면서도 내면적으로 강인한 느낌을 준다. 원래 ‘백화’는 소설가 박화성이 동아일보에 연재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장편소설 『백화』의 주인공을 일컫는다. 박화성은 김복진의 아내 허하백을 중매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백화>를 둘러싼 여러 이야기와 논쟁에 대해서 저자는 당시 모델을 섰던 배우 한은진의 증언과 치밀한 도판 분석 등으로 그 실체적 진실에 다가선다.

김복진은 일반 조소작가와 달리 전통적 불상예술에도 일가를 이루어 근대기 불상조각의 모범을 선보인 불모(佛母)이기도 했다. 저자는 금산사의 <미륵전 본존상>과 예산 정혜사 <관음전 관음보살 좌상>이 김복진의 작품임을 밝혀낸 경위와 자료, 증언 등을 책에서 생생하게 소개하고 있다. 그가 조성한 불상은 주로 미륵상으로 신라 불상의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여 근대성을 부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재료의 사용에 있어서 금산사의 소조에서부터 미완의 <법주사 미륵대불>의 시멘트에 이르기까지 재료의 다양화를 시도했다. 특히 이 책에서는 금산사 미륵불의 마케트(모형)에 해당하는 계룡산 소림원 소장의 <미륵불 입상>을 발굴?확인하여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김복진은 카프(KAPF)의 실질적 지도자였다.”
근대 문예운동사 서술을 바꿀 정부 비밀문서의 발굴과 연구 최초 소개


김복진은 조소작가로서 일가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1920년대 진보적 문예운동사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수행한 예술가였다. 그는 동생인 김기진, 그리고 박영희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을 주도적으로 결성하였고,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고려공산청년회 조직 책임을 맡아 최후의 남부군으로 알려진 이현상 등을 이끌며 일제하 광주학생운동사건과 같은 민족독립운동의 한 흐름을 형성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김복진은 1927년에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를 배제하고 조선의 독립을 도모”한 이유 등으로 무려 5년 6개월의 투옥생활을 했다. 훗날 저자를 비롯한 뜻있는 이들의 자료 발굴 노력에 힘입어 김복진은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로서는 드물게 1993년 8월 15일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追敍)받았다.

이 책의 부록으로 실린 <치안유지법 위반 신문조서>는 정부가 보관 중인 비밀문서 중에서 저자가 발굴한 것으로서, 학계에 최초로 공개되는 사료라 할 수 있다. 이 자료에는 고뇌하며 행동하는 청년예술가 김복진의 진면목과 함께 일제강점기 진보적 민족독립운동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들이 소개된다.

목차

제1장 서론 8

제2장 일제하의 조소예술과 김복진 18

1. 일제하의 조소예술과 작가 …… 24
2. 일본 조소예술의 전개 양상 …… 28
3. 도쿄미술학교와 조소 전공 조선인 학생 …… 32
4. 조선미전 조각부 출품의 조선인 작가 …… 50
5. 김복진 제자들의 활동과 조선미전 …… 54
6. 김복진의 조소 작품 내역 …… 64

제3장 일반 조소 작품과 조소론 72
1. 김복진과 나부상裸婦像작품 …… 77
2. 등단 작품 <여인 입상>의 의의 …… 80
3. <나체습작> 파괴 사건과 나부상들 …… 87
4. 누드모델과 작품 …… 98
5. 여인 입상 <백화>의 복수 제작과 의의 …… 102
6. 노동자상과 민중미술론 …… 113
7. 만년의 대표작 <소년>의 의의 …… 119
8. 김복진의 조소론 …… 128

제4장 기념조형물과 기념조형론 136
1. 일제하 기념조형물의 제작 현황 …… 143
2. 김복진의 기념조형물 내역 …… 158
3. 안창호의 데스마스크와 이국전 …… 164
4. <최송설당 동상>의 의의 …… 168
5. <윌리암스상>과 <러들로상> …… 176
6. <다산 박영철상>과 <한양호상> 기타 …… 181
7. 김복진의 기념조형론 …… 186

제5장 불상 작품과 불상예술의 특성 190
1. 김복진의 불교 입문과 불상 조성 내역 …… 194
2. 김제 금산사 미륵전 본존상 …… 208
3. 계룡산 소림원 미륵 입상 …… 229
4. 조선미전 출품작 <불상습작> …… 233
5. 예산 정혜사 관음전 관음보살 좌상 …… 238
6. 속리산 법주사 미륵대불 …… 245
7. 김복진 불상예술의 특성 …… 259

제6장 미술론과 미술비평 272
1. 김복진 미술론과 비평의 형식적 특징 …… 277
2. 신흥미술론과 광고미술론 …… 290
3. 전통론과 조선 향토색론 비판 …… 299
4. 민중미술론과 프롤레타리아예술론 …… 313

제7장 카프활동과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 328
1.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과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 …… 334
2. 김복진의 사회주의 사상과 실천 …… 345
3.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과 전개 …… 354
4. 김기진과 박영희의 논쟁 그리고 김복진의 역할 …… 384
5. 카프의 해체와 역사적 의의 …… 396

제8장 사회주의 사상운동과 옥중투쟁 404
1. 김복진의 사회주의 사상 입문 …… 409
2. 조선공산당의 조직활동 …… 415
3. 고려공산청년회의 조직활동 …… 420
4. 학생운동과 이현상 그리고 김복진 …… 426
5. 김복진의 옥중생활과 신문 및 재판 …… 432
6. 김복진의 사회주의 사상운동과 조직활동의 의의 …… 445

제9장 결론 448

● 참고문헌 455
● 김복진 연보 463
● 부록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위반違反신문조서訊問調書487
● 후기 554

저자소개

저자 윤범모는 미술평론가.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다(문학박사). 뉴욕대학교 대학원 예술행정학과에서 수학하였고, 사우스플로리다 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신춘문예 시 부문으로 등단하였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동악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품감정가협회 회장, 사단법인 불교문화산업기획단 이사,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경원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 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1991), (2000),(2000), ,오대산 통신-아하! 절에 불상이 없네>(2004), (2005), (2005) 등이 있으며, 시집으로 >노을씨, 안녕!>(2009)이 있다.

도서소개

일제 강점하 조소예술과 문예운동 『김복진 연구』. 정관 김복진은 일제 식민통치의 어두운 시대에 한국 근대미술의 토대를 이룩한 미술가이다. 이 책은 짧은 기간 내에 근대적 의미에서 최초의 조소작가라는 전공 분야 이외에 미술 비평가로 혹은 진보적 문예 운동가로 괄목할 성과를 보인 김복진의 삶과 작품세계를 살펴본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