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기초편 / 9
02 품사편 / 29
01 품사 / 31
02 문장의 종류(Kinds of Sentence) / 35
03 품사와 성분 / 42
04 문장의 요소와 5형식 / 50
05 구와 절(Phrase & Clause) / 59
06 문장의 5형식 / 66
07 동사의 시제(Tense) / 72
08 수동태(Passive Voice) / 80
09 부정사(Infinitive) / 9010 동명사(Gerund) / 10011 분사(Participle) / 11012 관계사(a Relative) / 11813 의문사 / 13114 접속사(Conjunction) / 137
15 조동사(Auxiliary Verb) / 147
16 가정법(Subjunctive Mood) / 157
03 해석기법 / 165
01 서술어 / 166
1. be 동사(정동사):정동사로서의 be 동사는 의미가 있다 167
2. be+ⓥing:be 동사 다음에 현재 분사(ⓥing)가 오면 진행형이다. 172
3. be+ⓥed:be 동사 다음에 과거 분사(ⓥed)가 오면 수동태이다. 177
4. have+O:have 동사 다음에 명사가 오면 목적어다. 184
5. have+to ⓥ:have 동사 다음에 to 부정사가 오면 ‘의무’다. 189
6. have+ⓥed:have 동사 다음에 과거 분사(ⓥed)가 오면 ‘능동’을 의미한다. 194
7. have+O+to ⓥ:have 동사의 목적보어로 to부정사가 오면 have는 소유이다. 200
8. 일반 동사:일반동사는 단어자체의 의미를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204
9. 긴동사:동사가 길어질 때는 동사의 끝을 보라. 208
10. 조동사+have+ⓥed:조동사+have+p.p.는 앞선 시제를 나타낸다. 213
11. S+V+O+to ⓥ:목적어 다음에 온 to부정사는 ‘미래지향’을 의미한다. 219
12. S+V+O+ⓥ:지각동사/사역동사의 목적보어로는 원형부정사가 온다. 224
13. S+V+O+ⓥing:목적어 다음에 온 현재분사(ⓥing)는 능동진행을 의미한다. 230
14. S+V+O+ⓥed:목적어 다음에 온 과거 분사는 수동을 의미한다. 236
15. S+V+O+명사절:목적어 다음에 ‘절’의 형태가 오면 4형식이다. 240
16. become류 동사:become류 동사 다음에 형용사가 오면 ‘되다’로 해석한다. 246
02 주어 / 251
17. ⓝ+전치사+ⓝ+V:명사+전치사+명사는 앞의 명사가 주어이다. 251
18. ⓝ+to ⓥ+V:명사 다음에 오는 to부정사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256
19. ⓝ+ⓥing+V:ⓥing가 명사 다음에 오면 형용사 역할을 한다. 260
20. ⓝ+ⓥed+V:과거 분사가 명사 다음에 오면 형용사 역할을 한다. 264
21. ⓝ+관계사절+V:관계사절은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다. 268
22. ⓝ+that절+V:정보추상 명사 다음의 that절은 동격절이다. 273
23. S1+(S2+V2)+V1:주어가 연달아 나오면 삽입처리해서 형용사절로 만들어라. 279
24. ⓥing+V:동사원형-ing가 문두에 오고 콤마가 없으면 주어이다. 283
25. To ⓥ+V:To 부정사가 문두에 오고 콤마가 없으면 주어이다. 288
26. It~to ⓥ:문두에 It이 오면 뒤에서 to 부정사를 찾아라. 292
27. 의문사절+V:의문사는 명사절만을 만들어 주어가 될 수 있다. 300
28. What 절+V:what은 절을 만들면 무조건 명사절이다. 304
29. It~that:It과 that절 사이에 형용사가 오면 “진주어가주어”이다. 309
30. It~that (강조):It과 that절 사이에 형용사가 안 오면 “강조 구문”이다. 315
03 목적어 / 320
31. V+to ⓥ:일반 동사 다음에 to 부정사가 오면 목적어이다. 320
32. V+ⓥing:일반 동사 다음에 온 ⓥing 형태는 동명사 목적어이다. 325
33. V+that 절:일반 동사 다음에 that이 오면 명사절 목적어이다. 330
34. V+의문사절:일반 동사 다음에 의문사가 오면 명사절 목적어이다. 335
35. V+what 절:일반 동사 다음에 what이 오면 명사절 목적어이다. 340
36. V+(S+V):주어+동사 앞에 동사류가 오면 명사절 목적어이다. 345
04 보어 / 349
37. be+to ⓥ:be 동사 뒤에 온 to 부정사는 보어이다. 349
38. be+ⓥed+to ⓥ:수동태 다음의 to 부정사는 부사적 용법이다. 354
39. be+that 절:be 동사 다음에 오는 that은 명사절 보어를 유도한다. 359
40. be+의문사절:be 동사 다음에 오는 의문사는 명사절 보어를 유도한다. 365
41. be+what 절:be 동사 다음에 what이 오면 명사절 보어이다. 370
42. 자동사+분사:현재 분사-능동, 진행/과거 분사-완료, 수동 375
05 부사 수식어 / 380
43. 전치사+ⓝ, S+V:문두에 전치사+명사가 오면 뒤에 오는 명사가 주어이다. 380
44. To ⓥ ~, S+V:To 부정사가 문두에 오고 콤마가 있으면 부사구이다. 385
45. ⓥing ~, S+V:ⓥing가 문두에 오고 콤마가 오면 부사이다. 390
46. ⓥed ~, S+V:문두에 과거 분사가 오고 콤마가 오면 부사이다. 396
47. 접속사 S+V, S+V:접속사가 문두에 오면 콤마까지 부사절이다. 400
48. S+V+접속사 S+V:문중에 있는 접속사절 앞에는 콤마가 없다. 408
49. 접속사+분사:접속사 바로 다음에 오는 분사의 주어는 주절의 주어이다. 413
50. ~, 관계사:관계사 앞에 콤마가 오면 ‘그런데’로 해석한다. 419
51. S+V+ⓝ, ⓥing:콤마 뒤에 오는 현재 분사는 부사적 용법이다. 427
52. S+V+ⓝ+ⓥing:동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는 부대상황이다. 432
53. S+V+ⓝ+to ⓥ:to 부정사가 명사나 형용사 다음에 부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 437
06 형용사 수식어 / 443
54. S+V+ⓝ+전치사+명사류:명사를 수식하면 형용사구 443
55. S+V+ⓝ+to ⓥ:목적어 다음에 오는 to 부정사가 앞에 있는 목적어를 수식하는 경우 447
56. S+V+ⓝ+ⓥing:목적어 다음에 오는 현재 분사가 앞에 있는 목적어를 수식하는 경우 452
57. S+V+ⓝ+ⓥed:주어+3형식 동사+목적어+과거 분사 수식 457
58. S+V+ⓝ+관계사:목적어 다음에 온 관계 대명사는 형용사절 수식어이다. 462
59. S+V+ⓝ+전치사+관계대명사:관계 대명사 앞에 전치사가 있으면 전치사부터 묶어라. 468
60. S+V+ⓝ+that 절:정보추상 명사 다음에 오는 that은 동격의 형용사절이다. 473
61. S+V+ⓝ+S+V:목적어 바로 다음에 주어+동사가 오면 형용사절 수식어이다. 479
04 부록 / 483
05 정답 및 해설 /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