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서문
역자서문
약어표
제부 서론
제1장 고대 이스라엘 역사의 연구에 관한 원칙과 방법
1. 목적
2. 개념과 문제점: 자료와 방법에 관한 물음
1) 사회과학이 차지하는 위치
2) 장기지속(The Longue Dur?e)
3) 자료로서의 고고학 활용
(1) 일반적인 논평
(2) 고고학 연대에 관한 용어
(3) 조사 자료의 이용
(4) “저 연대기”에 관한 논쟁
(5) 사마리아에 관한 층서학
(6) 요칸 인장의 재해석
(7) 위조에 대한 문제점
4) 민족성
5) 이데올로기와 신근본주의
6) “맥시멀리스트”, “미니멀리스트”, 및 아드 호미넴 논쟁
3. 이스라엘 역사 저술에 관한 동시대적 경험
1) 일반적 역사기술의 발전
2) 성서학자 간에 이루어진 40년 동안의 논쟁
3) 이 책에서 사용되는 역사적 방법의 원칙
제2부: 역사적 연구
제2장 제2천년기: 중기 및 후기 청동기(주전 2000-1300년)
1. 자료
1) 고고학
2) 이집트 문서
(1) 저주 문서
(2) 아마르나 서신
(3) 시누헤의 이야기
3) 우가릿 문서
4) 메소포타미아 문서
5) 성서 본문
2. 분석
1) 사람들/인종과 사회 집단
(1) 힉소스
(2) 아모리인(아무루: Amurru)
(3) 아피루/하베루
(4) 샤수(Shosu, S3sw, Sutu)
(5) 가나안인
2) 족장에 관한 의문점
3. 종합
1) 제2천년기의 첫 번째 부분(주전 2000-1600/1500년경)
(1) 이집트
(2) 구 아시리아 시대(주전 2000-1750년경)
(3) 구 바빌로니아 시대(주전 2000-1600년)
(4) 히타이트인
(5) 북부 시리아
2) 제2천년기의 두 번째 부분(주전 1600/1500-1200년)
(1) 이집트
(2) 메소포타미아
(3) 히타이트 제국(주전 1400-1200년경)
(4) 미타니 왕국(주전 1600-1350년경)
(5) 우가릿
3) 팔레스타인
제3장 후기 청동기에서 철기시대 IIA(주전 1300-900년경): 정착에서 국가형성에 이르기까지
1. 자료
1) 고고학
(1) 분석
2) 메르넵타 석비
3) 메디넷 하부 그리고 관련 비문들
4) 웨나문의 보고
5) 쇼셍크 I세의 팔레스타인 비문
6) 성서 본문
(1) 모세오경
(2) 신명기 역사
2. 분석
1) 출애굽에 관한 의문
2) 해양 족과 블레셋
3) 트랜스 요르단
4) 가나안 정착에서 국가형성까지
(1) 여호수아와 사사시대
(2) 가나안 정착: 학계에서 최근 논의된 가설들
(3) “부족들”과 “유목민들”
(4) 이스라엘 국가형성에 대한 인류학적 모델
(5) 사울, 다윗, 솔로몬 전승들
5) 문서, 문자 지식, 관료제
3. 종합
제4장 철기시대 IIB(주전 900-720년): 북이스라엘 왕국의 등장과 멸망
1. 자료들
1) 고고학
2) 히브리어 비문들
3) 아람어 비문들
(1) 텔 단 비문
(2) 멜카르트 비문
(3) 자쿠르 비문
4) 메사 비문
5) 아시리아 자료들
6) 에베소의 메난드로스가 저술한 페니키아 역사
7) 성서 본문
(1) 열왕기상 16:15-열왕기하 17:41(대하 18-28장): 주요 내용
(2) 분석
2. 분석
1) 아합
2) 이스라엘과 모압
3) 아람인
4) 사마리아의 멸망
5) 종교의 발달
(1) 하나님 야웨
(2) 다른 신들과 종교
(3) 왕실 종교와 “대중”/“민속”/“가족” 종교
(4) 유일신 신앙의 발달
3. 종합
1) 성서 외부 자료에 의해 확인된 성서 기록
2) 성서 외부 자료에 의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신뢰할 만한 성서 기록
3) 부정확한 성서 기록
4) 성서에서 생략되거나 누락된 역사적 사건
제5장 철기시대 IIC(주전 720-539년): 남유다 왕국의 전성기와 쇠락
1. 자료들
1) 고고학
(1) 고고학적 연구의 결론들
2) 팔레스타인 지역의 비문들
(1) 아돈 파피루스
(2) 메사드 하샤브야후
(3) 아랏 오스트라카
(4) 라기스 편지
(5) 아시야후 오스트라콘
(6) 인장들
3) 아시리아 자료들
(1) 사르곤 II세(주전 721-705년)
(2) 산헤립(주전 705-681년)
(3) 에살핫돈(주전 681-669년)
(4) 아수르바니팔(주전 669-627년)
4) 바빌로니아 자료들
(1) 나보폴라사르(주전 626-605년)
(2) 느부갓네살 II세(주전 605-562년)
(3) 여호야긴 문서
(4) 알-야후두와 나사르에서 발견된 본문들
5) 이집트 자료: 프삼메티쿠스 비문
6) 성서 본문
(1) 열왕기하 / 역대기하
(2) 예레미야
(3) 에스겔
(4) 에스라
(5) 다니엘
(6) 성서 본문 분석
2. 분석
1) 히스기야
2) 므낫세
3) 아몬
4) 요시야
5) 여호아하스
6) 여호야김
7) 여호야긴
8) 시드기야
9) 예레미야
10) 느부갓네살
11) 포로기
3. 종합
1) 성서 외부 자료에 의해 확인된 성서 기록
2) 성서 외부 자료에 의해 확인되지는 않지만, 신뢰할 만한 성서 기록
3) 부정확한 성서 기록
4) 성서에서 생략되거나 누락된 역사적 사건
제3부 결론
제6장 “ 논의의 종결”: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에 관해 말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