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경』(涅槃経,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속 복합어 ‘여래장(如来蔵,
tathāgatagarbha)’의 이해에 대한 재고(再考)
- 가노 가즈오(加納和雄)
기체설(基體說, Dhātu-vāda)에 대한 또 한 번의 논의
- 야마베 노부요시(山部能宜)
초기 유식문헌과 『보성론』에 공통된 인용문과 비유
- 안성두
금강승(Vajrayāna)에서 불성(佛性)-『초회금강정경』(Sarvatathāgatatattvasaṃgraha)을 중심으로-
- 구라니시 겐이치(倉西憲一)
『보성론』 I.27-28 게송에 나타난 여래장의 세 가지 의미-번역과 주석 전승을 중심으로-
- 차상엽
불성(佛性), 비판불교 그리고 초기 선종(禪宗)
- 로버트 샤프(Robert H. Sharf)
롱솜빠의 존재적 심연-여래장 학파의 ‘긍정적’ 존재관과 일체법부주론파의 ‘부정적’ 존재관이 만나는 곳에서-
- 도르지 왕축(Dorji Wangchuk)
여래장과 객진번뇌에 대한 제8대 까르마빠(Karmapa) 미꾀도르제(Miskyod rdo rje, 1507-1554)의 견해
- 클라우스 디테 마테즈(Klaus-Dieter Mathes)
티벳에서 여래장(如來藏)의 토대들
- 더글라스 덕워스(Douglas Duckworth)
『대승대반열반경』 관련 여래장설의 해석학적 문제에 관한 몇 가지 고찰-원효, 부뙨 그리고 비판불교-
- 시모다 마사히로(下田正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