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양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왔지만, FDI의 개방도(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서는 OECD 국가와 기타 경쟁국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의 산업 분포(제조업 vs. 서비스업), 형태(그린필드 vs. M&A) 등 구조적 측면에서도 아직 개도국형 유치 전략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미국 트럼프 新정부의 출범에 따라, 보호무역주의와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이 세계 무역뿐만 아니라 외국인직접투자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국내에서는 우려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부 국제기구에서는 2017년에 개도국으로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 간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할 것으로 예상됨. 이렇게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환경속에서 한국이 잘 대응하고, 한국경제를 더 높은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투자유치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트럼프 新정부의 경제정책이 글로벌 외국인 직접투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글로벌 기업과 주변국들의 대응을 살펴보면서 한국의 지속적인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치를 위해 앞으로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