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v
해제: 심낙수의 정치적 생애와 『정변록』 1
『정변록』 서(序)
『정변록』 상(上): 거듭되는 역모, 그 연원과 배후
1. 기사년(1749, 영조 25)에 왕세자가 대리청정(代理聽政)하였다.
2. 정축년(1757, 영조 33) 겨울에 적신(賊臣) 김상로(金尙魯)가 공묵합(恭?閤, 창경궁 소재)에 입시해서 흉악한 말을 아뢴 적이 있었다.
3. 그해 다시 세자 시강원[春坊, 왕세자 교육 담당 관청]을 설치하였다.
4. 계미년(1763, 영조 39)에 주상이 산림의 여러 유학자들을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5. 갑신년(1764, 영조 40)에 홍봉한을 영의정에 임명하였다.
6. 경인년(1770, 영조 46) 봄에 시골 유생 한유(韓鍮)가 상소를 올려 홍봉한을 논척하였다.
7. 11월에 정이환이 흉소(凶疏)를 올렸다.
8. 신묘년(1771, 영조 47) 봄에 김한기(金漢耆)【김구주의 숙부】가 왕손(王孫) 이인(李?)과 이진(李?)의 일을 상변(上變)하였다.
9. 임진년(1772, 영조 48) 여름에 김치인이 남해로 유배되어 천극(?棘)에 처해졌다.
10. 임진년(1772, 영조 48) 7월에 김구주가 흉소(凶疏)를 올렸다.
11. 갑오년(1774, 영조 50) 겨울에 홍인한이 정승에 임명되었다.
12. 을미년(1775, 영조 51) 겨울에 왕세손(王世孫, 정조)이 대리청정하였다.
13. 병신년(1776, 정조 즉위년) 봄 삼사(三司)에서 합계(合啓)하여 역적 김상로의 추율(追律)을 청하였다.
14. 4월에 이덕사(李德師)ㆍ조재한(趙載翰)ㆍ박상로(朴相老)ㆍ유한신(柳翰申)을 국문하여 사형[正法]에 처하고, 환관 김수현(金壽賢)을 귀양 보냈다.
15. 9월에 역적 이율이 상소를 올려 홍봉한을 논척하였다.
16. 9월에 김구주가 섬으로 유배되었다.
17. 정유년(1777, 정조 원년) 가을에 궁중의 역적 홍상범ㆍ홍상길ㆍ홍술해ㆍ홍지해ㆍ홍찬해 모두 복주되었다.
18. 무술년(1778, 정조 2) 가을에 호서 역적 홍양해와 한후익이 군사를 일으키려 모의했는데, 사건이 발각되고 모두 체포되어 국문을 받았다.
19. 11월에 송덕상이 부름에 응하여 서울에 이르렀다.
20. 기해년(1779, 정조 3) 여름에 송덕상이 흉악한 상소를 올렸다.
21. 그해 가을에 홍국영이 벼슬을 그만두었다.
22. 경자년(1780, 정조 4) 정월 조참(朝參)에서 주상이 특별히 홍낙순이 권력을 농단한 죄를 물어 삭출할 것을 명하였다.
23. 신축년(1781, 정조 5) 4월에 영의정 서명선이 송상덕의 안치(安置)를 청하였다.
24. 임인년(1782, 정조 6) 여름에 이택징과 이유백이 복주되었다.
25. 9월에 세자가 탄생하였다.
26. 11월에 문인방(文仁邦)ㆍ이경래(李京來)ㆍ백천식(白天湜)이 국문을 받고 모두 복주되었다.
27. 계묘년(1783, 정조 7) 봄에 신응현(申應顯)이 상소하여 차비(差備) 의관(醫官)을 처벌하라고 청하였다.
28. 11월에 참판 윤숙(尹塾)이 상소하여 정휘량과 신만을 성토하였다.
29. 갑진년(1784, 정조 8) 7월에 역적 김하재를 국문하여 사형에 처하고, 그 집안 식구는 노륙하였다.
30. 9월에 경사로 인해 김구주를 사면하여 특별히 육지로 나오도록 명하였다.
31. 11월에 이규명(李揆明)이 국문을 받았는데 형장을 맞다가 죽었다.
32. 을사년(1785, 정조 9) 봄에 김종수가 변고를 아뢰어 김두공(金斗恭)과 이율을 잡아들여 국문하고 모두 사형에 처하였으며 처자식은 노륙하였다.
33. 병오년(1786, 정조 10) 5월에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죽었다.
34. 9월에 의빈 성씨(宜嬪成氏)가 갑자기 죽었다.
35. 10월 양사(兩司)에서 김우진(金宇鎭)을 잡아서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36. 11월에 이담이 죽었다.
37. 12월에 대간이 조시준을 잡아다가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38. 정미년(1787, 정조 11) 정월에 양사(兩司)에서 아뢰어 조시위를 잡아다가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39. 판의금 김종정(金鍾正)이 이광운(李匡運)의 흉소를 고변하자 체포하여 국문하였다.
40. 9월에 행 사직(行司直) 정민시가 상소를 올려 물러날 것을 청하였다.
41. 무신년(1788, 정조 12) 3월에 김치인이 연주(筵奏)하여 이노춘의 석방을 청하였다.
42. 5월에 형조에서 박우(朴瑀)와 김종건의 초기(草記)를 조사하였다.
『정변록』 하(下), 일(一): 1756년~1779년 7월
1. 1756~57년, 남ㆍ북당 분열 조짐
2. 심낙수가 이규위와 사이가 나빠진 사연
3. 심낙수와 심환지의 차이점
4. 심낙수가 목격한 남당의 회합 장면
5. 김원행 문인 홍낙안이 남당을 비판하다
6. 심낙수 사돈 권진응이 남당을 비판하다
7. 홍인한은 원래 남당 사람
8. 심낙수가 심환지의 중매를 거부하다
9. 1776년(정조 즉위년) 홍봉한 처벌을 둘러싼 논쟁
10. 남당의 심낙수 포섭 공작
11. 심환지의 당심을 비판하는 심낙수
12. 홍국영의 심낙수 비판
13. 1777년 은전군(恩全君) 이찬(李?) 추대 사건에 대한 논란
14. 심낙수가 도당록(都堂錄)에 오른 사연
15. 심낙수가 홍국영을 처음 만나는 장면
16. 이규위가 남당의 정치공작에 앞장서다
17. 이규위에 대한 엇갈리는 평가
18. 세상물정 모르는 송덕상 발언의 파장
19. 홍국영이 남당을 끌어들인 이유
20. 남당이 사람을 끌어모으는 방법
『정변록』 하(下), 이(二): 1779년 8월~1788년
1. 심낙수와 송덕상의 첫 만남
2. 김양행과 송덕상의 차이점
3. 홍국영의 방자한 행태에 대한 소심한 반발
4. 홍국영의 치사와 그 이후 행태
5. 홍국영 퇴거 이후 심낙수의 출처
6. 홍국영 치사 만류 상소 소동
7. 남당이 소론 탕평파를 공격하는 방법
8. 심환지가 심낙수를 끌어들이려는 이유
9. 홍낙순의 심낙수 포섭 시도
10. 홍낙순ㆍ홍국영ㆍ김구주와 남당의 관계
11. 심낙수가 홍국영 처벌 상소에 참여하다
12. 홍국영 축출 이후 남당의 생존 전략
13. 심낙수가 훈련도감을 안핵할 당시의 정세
14. 심낙수의 홍국영 탄핵 상소가 나온 이유
15. 심낙수 상소의 논지와 파장
16. 심낙수 상소에 대한 이규위의 반응
17. 송환억을 다시 탄핵하여 이규위와 다투다
18. 송환억 상소에 대응하며 송덕상을 비판하다
19. 서명선이 송덕상의 처벌을 청하다
20. 김종후ㆍ김종수 형제와 이규위ㆍ이규경 형제의 차이
21. 이유백 사건 문사낭청이 되어 김종수와 갈등하다
22. 심낙수가 강동현감이 되어 백천식 옥사를 처리하다
23. 김우진이 신응현 상소를 알고 있었다
24. 윤숙 상소에 침묵하는 신료들을 비판하다
25. 심낙수와 정민시가 김종수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다
26. 김종수가 자결하려 했다는 소문을 듣다
27. 모든 역적의 뿌리는 김구주다
28. 심환지가 상소하여 서명응을 공격한 것을 비판하다
29. 유악주의 심낙수 탄핵 상소가 나온 사연
30. 유악주 상소를 사주한 심환지를 힐난하다
31. 시벽 명목의 등장과 이노춘 상소가 나온 사정
32. 시파 탕평의 허점을 지적하다
33. 드디어 김종수가 삭출되다
34. 이율 옥사와 김종수
35. 김한기 상소가 나온 배경
36. 유배 간 이규위가 잘못을 후회한다고 말하다
37. 문효세자 훙서 직후의 갈등
38. 1786년 김하재와 이율을 거론한 심낙수 상소가 나온 사정
39. 모든 역모의 뿌리는 김종수인데 차마 말하지 못하다
40. 심낙수 상소에 대한 김종수 계열의 대응
41. 주변의 반응과 심낙수의 변명
42. 이규위가 심낙수 달래기에 나선 사정
43. 노론 남당이 심낙수를 소론으로 모는 방법
44. 김종수가 서유린에게 심낙수를 설득해 달라고 부탁하다
45. 김종수가 김우진의 환심을 사려고 목비를 세우다
46. 심낙수와 정민시는 의리로 통했다
47. 노론에서 시파가 나온 이유-이노술의 경우
48. 정민시는 노론 시파의 활약을 기대하다
49. 심낙수가 유배되기에 이른 사정
50. 심낙수가 유배지에서 서유린과 주고받은 편지
원문
『정변록』 서(序)
『정변록』 상(上)
『정변록』 하(下), 일(一)
『정변록』 하(下), 이(二)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