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규슈
1장 도자기의 국제정치경제
중국 경덕진 청화백자와 도자기 무역 연결망
임진왜란과 일본 도자기
유럽과 일본 도자기
도자기를 통해 바라보는 문화의 힘
2장 데지마
데지마의 독일인 의사 엥겔베르트 캠퍼
난학의 지평을 열다, 아라이 하쿠세키
일본의 ‘린네’ 칼 튠베르크
스기타 겐파쿠가 난학에 미친 영향: 『해체신서』를 중심으로
일본과 서양의 만남, 그 충격의 드라마: 시볼트 사건
말기 난학에서 새로운 사상으로의 전환을 꾀한 후쿠자와 유키치
3장 19세기 영·일관계와 토머스 글로버
글로버 개인사
19세기 영일관계
기도 다카요시와 글로버의 만남
조슈 5걸, 영국으로 향한 다섯 명의 청년
두 국가를 연결한 역동적인 삶
4장 나가사키 평화공원: 일제강점기 시기와 1945년 원자폭탄
역사상 최초의 원폭이 일본에 떨어지다
미국의 원폭 투하 결정 과정
일본, 핵에 대한 끝없는 열망
미국의 원폭 투하 결정에서의 윤리적 고려
미국의 원폭 투하와 소련
미국의 원폭 투하와 중국
원폭과 한국인 피해자 문제
5장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바라본 ‘사세보(佐世保)’의 의미
사세보의 역사
세계적 수준에서 살펴본 사세보
지역적 수준에서 살펴본 사세보
한반도와 사세보
동아시아의 안전축, 사세보
2부 도쿄
1장 후쿠자와 유키치의 사상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후쿠자와 유키치는 누구인가?
후쿠자와 유키치의 프로젝트와 국제정치
후쿠자와 유키치와 조선
2장 메이지유신과 흑선
메이지유신의 배경
메이지유신의 전개
메이지유신과 조선
근대화의 실마리, 조선과 일본의 외교
3장 이동인과 김홍집: 『조선책략』
「조선책략」의 시각
「조선책략」대한 조선의 반응
이동인, 돌연 종적을 감추다
김홍집을 통해 바라보는 조선 관리의 정세 인식
19세기 말 대미수교와 조선의 대외인식
4장 갑신정변: 김옥균과 박영효
갑신정변을 통해 본 김옥균과 박영효
갑신정변에 대한 평가
5장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
도조 히데키, 야스쿠니 신사에 묻히다
요시노 사쿠조의 야스쿠니 신사 비판
야스쿠니 신사의 합사, 무엇이 문제인가?
히로히토 일왕에게 전쟁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
소년 비행병 박동훈과 야스쿠니 신사의 분사 거부
6장 “전파와 수용” 과정을 통해서 본 2·8 독립운동
재일 조선인유학생들의 정세 인식과 활동
2ㆍ8운동의 조직, 경과 및 재판
춘원의 저작을 통해 보는 2ㆍ8독립선언문의 사상
2ㆍ8선언이 민족운동에 미친 영향
7장 요코스카의 국제정치: 미국, 동아시아 그리고 한반도
미국의 세계전략과 동아시아
미일동맹, 그리고 요코스카
아시아태평양과 요코스카: 아시아의 ‘리틀 펜타곤’
한반도와 요코스카 해군기지의 역학
동아시아의 세력 균형으로서의 요코스카 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