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 1 개항 대한제국기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 1 개항 대한제국기

  • 장인성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2-09-01 출간
  • |
  • 390페이지
  • |
  • 187 X 257 X 30 mm /1180g
  • |
  • ISBN 9788952111173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개항 이후 구한말 및 식민지 시대의 한국인 관료와 지식인들의 국제정치관과 국제인식에 관한 자료들을 시대별, 주제별로 정리한 책

한국의 국제정치학은 아직도 서구이론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국제정치학의 한국적 정체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들 하지만, 정작 한국의 국제정치적 경험과 삶을 반영한 한국 국제정치학을 구축하려는 노력은 미미했다. 국제정치학의 보편적 이론과 해석은 세계정치를 주도하는 강대국의 이익과 관점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초(超)장소적인 보편적 이론이나 해석은 한국의 정치현상과 국제관계를 규정하는 조건으로서, 마땅히 알아야 하는 것이지만 한국의 특수성을 설명해 주기는 어렵다.
개항 이래 한국인들은 정치적 삶뿐 아니라 거의 모든 영역의 삶에서 국제정치 내지 세계정치의 영향을 받아 왔다. 한국 외교사에서 보듯이 한국인의 정치적 삶은 일정 부분 동아시아 국제정치와 세계정치에 규정될 수밖에 없는 숙명을 안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세계정치와 열강의 외교정책을 알아야만 한다. 하지만 한국의 국제관계와 대외정책은 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우리들 자신의 심성과 사고방식을 알아야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한국인들의 국제정치적 심성을 파악하려면 무엇보다 한국의 국제정치적 경험과 삶을 읽어 내는 자료의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근대 한국인들의 국제정치관은 당대뿐 아니라 현대 한국의 국제관계와 외교정책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하다. 이 책은 개항 이후 구한말 및 식민지 시대의 한국인 관료와 지식인들의 국제정치관과 국제인식에 관한 자료들을 시대별, 주제별로 정리한 것이다. 또한 한문과 국한문혼용문은 해독의 편의를 위해 현대 우리말로 번역해 원문과 함께 수록했고, 주석과 해제를 달아 설명하였다. 권말에는 수록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해제논문을 실었다

오늘날 한반도 정세를 헤쳐 나가는 데 백여 년 전의 아픔을 교훈 삼아야

150년 전 조선은 소중화(小中華)로 자처하며 척화와 자주를 고수하였다. 국제무대에 등장한 것도 자의가 아니라 타의에 의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후 점차 개화를 통해 국제 관계에 대해 눈을 뜨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이 책의 제1부 ‘대외개방과 국제정치관’에 잘 나타나 있다.
제2부에서는 중국의 조공국이라는 사대적 위치에서 벗어나 자주독립을 모색하며 국제정치관도 예의적 교류에서 힘을 통한 논리가 외교의 원칙임을 점차 깨닫는 과정과 논의가 기술되어 있다.
제3부에서는 일제에 의한 국권상실과정에서 국제정치관이 변화하는 과정이 수록되어 있다. 국제정치론을 이해하고 국가와 사회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자강과 개혁을 주장하지만, 실행의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
최근 한반도 주변 정세는 150년 전의 조선(근대한국)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대일무역 적자와 산업 생산의 대외 의존 심화, 일본의 독도침탈 야욕과 극우주의 발호는 백여 년 전 일본의 독도침탈로 시작된 국권침탈과 맞닿아 있다. 백여 년 전의 교훈을 되새겨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다시 역사적 비극이 반복되지 않는다는 보장을 할 수 있을까.
엮은이들은 세계정치와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근대한국의 정치와 외교뿐 아니라 국가의 명운을 결정한 중요한 요소였고 국제정치관을 모르면 외교정책은 제한적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근대한국의 국제관계와 외교를 알려면 근대한국인들이 영위했던 한반도 국제관계와 주변 열강, 그리고 세계정치와 국제사회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 어떤 외교사상을 가졌는지를 포착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독도침탈야욕이 본격화되고 북한의 중국식민지화가 우려되는 이 민감한 시기에 이 책이 출간됨은 자못 의의가 깊다 하겠다. 외교가 국가의 생존과 관계된다는 것은 150년 근대한국을 관통하는 명제가 아닐까.

〈머리말〉

한국의 국제정치학은 많은 발전을 이룩했지만, 아직도 서구이론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국제정치학의 한국적 정체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들 하지만, 정작 한국의 국제정치적 경험과 삶을 반영한 한국 국제정치학을 구축하려는 노력은 미미했다. 미국 국제정치학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이 오히려 강해지는 추세다. 그런데 국제정치학의 보편적 이론과 해석은 세계정치를 주도하는 강대국의 이익과 관점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초(超)장소적인 보편적 이론이나 해석은 한국의 정치현상과 국제관계를 규정하는 조건으로서 마땅히 알아야 하지만, 한국의 특수성을 설명해 주기는 어렵다.
개항 이래 한국인들은 정치적 삶뿐 아니라 거의 모든 영역의 삶에서 국제정치 내지 세계정치의 영향을 받아 왔다. 한국 외교사에서 보듯이 한국인의 정치적 삶은 일정 부분 동아시아 국제정치와 세계정치에 규정될 수밖에 없는 숙명을 안고 있다. 이러한 숙명 때문에 한국의 국제정치 연구와 교육이 주변열강의 외교정책을 중시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한국 국제정치학의 실용주의와 정책지향성은 여기서 비롯될 것이다.
우리는 세계정치와 열강의 외교정책을 알아야만 한다. 하지만 국제정치와 한반도 국제관계를 보는, 혹은 한국의 외교정책을 규정하는 우리들 자신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알지 못한다면 그러한 이해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국의 국제관계와 대외정책은 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역사를 영위하는 인간의 심성을 알아야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타자를 알기만 해서는 안 되고 자기의 존재양식을 제대로 알아야만 반성적 성찰과 합리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기왕에는 외교사적 접근을 통해 한국의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사실 관계를 밝히려는 작업은 있었지만, 외교정책을 산출하고 국제관계를 이해하는 한국인들의 심성을 읽어 내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한국인들의 국제정치적 심성을 파악하려면 무엇보다 한국의 국제정치적 경험과 삶을 읽어내는 자료의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은 개항 이후 구한말 및 식민지 시대의 한국인 관료와 지식인들의 국제정치관과 국제인식에 관한 자료들을 시대별, 주제별로 정리한 것이다. 서구의 국제정치 관념과 제도의 수용을 경험했던 근대 한국인들의 국제정치관은 당대뿐 아니라 현대 한국의 국제관계와 외교정책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자료집은 두 권으로 되어 있다. 제1권은 개항 전후부터 한일합병 때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제2권은 제국-식민지 시기의 자료를 수록하였다. 본 자료집은 학생들에게는 근대한국의 국제관념을 이해하는 표준 텍스트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연구자들에게는 한국의 국제정치 관념 내지 사상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편찬되었다. 해독의 편의를 위해 원문을 가공하였다. 국문 자료는 말투를 살리되 가능한 한 현대 철자법으로 고쳤고, 한문 자료는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되 원문을 함께 수록했다. 또한 독자의 편의를 위해 각 텍스트에 해제와 주석을 달았다. 각 권의 권말에는 수록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해제논문을 실었다.
본 자료집 편찬 작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장기기초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감사드린다. 자료 편찬의 구상과 작업에는 동북아역사재단의 김현철 박사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박사과정의 김태진, 김종학 군이 함께했다. 특히 김태진 군의 노고가 많았다. 이들에게 감사드린다. 개인적 사정으로 계속하지 못한 정용화 박사에게도 고마움을 전하며 건승을 기원한다. 자료의 입력과 교정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준 대학원생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자료의 선별에 신중을 기했지만 완벽한 자료집이 되지는 못했다. 오류도 있지 않을까 저어된다. 언젠가 보완된 자료집을 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2012년 8월
관악산 연구실에서 장인성

목차

머리말 v
일러두기 xii

제 1 부 대외개방과 국제정치관: 개항~청일전쟁 1

Ⅰ. 양이와 개항 3
1. 흥선대원군, 정부 당상에게 보낸 글 3
2. 박규수, 미국인의 조회에 대한 황해도 관찰사의 모의 답서 4
3. 박규수, 제너럴셔먼호 소요에 관한 자문 6
4. 이항로, 부승지를 사양하며 소회를 아뢰는 상소 9
5. 박규수, 온경(溫卿)에게 보낸 서한 14
6. 안동준, 일본서계 반박문 15
[참고] 對馬島主書契及大修大差倭平和節書契別幅謄本 17
7. 박규수, 대원군에게 올리는 답서 1 18
8. 박규수, 대원군에게 올리는 답서 2 21
9. 서계 회답에 관한 어전회의 23
10. 김윤식, 박규수를 회고하는 글 26
11. 최익현, 척화소 28
12. 김평묵, 경기 강원도 유생을 대신해서 양(洋) 왜(倭)의 정상(情狀)을 논하고 절화(絶和)를 청하는 소 38
13. 이유원, 리훙장에게 보낸 서한 47
[참고] 리훙장, 이유원에게 보낸 서한 52
14. 대청흠사필담 57
15. 제대신헌의(諸大臣獻議) 59
[참고] 황쭌센(黃遵憲), 사의(私擬) 61
16. 이만손, 영남만인소 64
17. 홍재학, 만언척사소 68
18. 고종, 척화비 철거 윤음 77

Ⅱ. 동도서기와 개화 81
19. 곽기락, 개화 상소 81
20. 윤선학, 개화 상소 84
21. 지석영, 개화 상소 86
22. 홍영식, 복명서 87
23. 박정양, 주미공사 복명 문답기 93
24. 박영효, 건백서 98
25. 유길준, 개화의 등급 107
26. 김윤식, 시무설 113

Ⅲ. 자주독립 구상과 국제정치관 117
27. 한성순보, 오스트리아 프러시아 이탈리아가 동맹하다 117
28. 한성순보, 인교론(隣交論) 122
29. 유길준, 중립론 124
30. 김옥균, 리훙장에게 보낸 서한 130
31. 유길준, 답청사조회(答淸使照會) 134
32. 유길준, 방국의 권리 136

제 2 부 자주독립의 모색과 국제정치관: 청일전쟁~러일전쟁 145

Ⅰ. 갑오개혁과 자주독립 구상 147
33. 조병직, 오토리 공사의 ‘보호속방’ 조회에 대한 회답 147
34. 홍범14조 취지문 148
35. 자주독립을 고취시키는 고종의 윤음 150
36. 내무아문 훈령 제1호 152
37. 최익현, 복제개혁을 반대하는 상소 153
38. 최익현, 선유대원(宣諭大員)에 임명된 후 소회를 아뢰고 대죄(待罪)하는 상소 161
39. 독립신문, 개화의 의미 167
40. 김익로, 을미사변 관련자 처벌에 관한 상소 169
41. 대조선독립협회보, 독립론 171
42. 김재현, 황제 등극을 건의하는 상소문 172
43. 고종, 대한제국의 선포와 황제 등극을 알리는 조서 174
44. 민영환, 천일책 175
45. 독립신문, 대한국이 어찌 속국이리오 183
46. 독립신문, 지각이 있는 사람의 말 185
47. 전병훈, 시무에 관한 상소 191
48. 손병희, 삼전론 194

Ⅱ. 청일전쟁과 동양평화 199
49. 독립신문, 작은 이익보다는 이웃형제처럼 199
50. 독립신문, 청국 독립이 위태롭게 된 사정 200
51. 서재필, 동양론 202
52. 독립신문, 동양 삼국이 유럽열강을 동심으로 막아야 203
53. 독립신문, 통석할 청국형세 205
54. 독립신문, 남의 나라와 대등권리를 가져야 207

제 3 부 국권상실과 국제정치관: 러일전쟁~한일병합 213

Ⅰ. 국제정치론 일반 215
55. 최석하, 국제교제론 215
56. 이승근, 국제공법론 217
57. 최석하, 천하대세를 논함 219
58. 문일평, 한국의 장래문명을 논함 223
59. 김성희, 국민적 내치 국민적 외교 225
60. 신채호, 한국과 만주 231
61. 김성희, 외교상 경험의 역사를 논함 233
62. 박유병, 유럽의 연합 241
63. 신채호, 20세기 신국민 242

Ⅱ. 일본과 한국 245
64. 최익현, 일본정부에 보내는 글 245
65. 이석용, 만국에 포고하는 글 252
66. 김가진, 일본에 대한 유식자들의 생각 264
67. 유길준, 평화광복책 267
68. 이용구, 한일합병 성명서 278

Ⅲ. 자강과 개혁 281
69. 장지연, 자강주의 281
70. 박은식, 자강 가능 여부에 관한 문답 290
71. 남궁식, 자유론 292
72. 윤효정, 생존경쟁 294
73. 원영의, 자조설 297
74. 박병철, 자주와 자유 299
75. 경세생(警世生), 인권은 국권의 기초 302
76. 포우생(抱宇生), 경쟁의 근본 303

Ⅳ. 국가와 사회 307
77. 박은식, 대한정신 307
78. 최석하, 국가론 308
79. 장지연, 단체를 이뤄야 민족을 보전할 수 있음 310
80. 김성희, 독립설 317
81. 장응진, 사회아(社會我)를 논함 319
82. 윤효정, 국가적 정신을 발휘해야만 322
83. 오석유, 자주적 자아 324
84. 고의환, 애국심의 연원은 애아심(愛我心)에 있음 326
85. 이기, 국가학설 328
86. 우송한인(寓松閑人), 애기애국 330
87. 김광제, 단체적 행동 335
88. 이석룡, 나와 사회의 관계 337

Ⅴ. 동양평화와 세계평화 341
89. 구자욱, 무비론 341
90. 심의성, 경쟁하는 삼대력(三大力)의 여유한 관계 343
91. 채기두, 평화적 전쟁 345
92. 신채호, 동양주의에 대한 비평 351
93. 안중근, 동양평화론 서(序) 353

[해제논문] 근대한국의 국제정치관 357

Abstract 375
찾아보기 377
발간사 387

저자소개

저자 장인성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국제관계론 전공에서 유학적 사유의 관점에서 근대를 포착하는 근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의 정치사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했으며, 요코이 쇼난과 김윤식의 국제정치사상을 중심으로 한 개항기 한일 정치사상 비교 연구로 학술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며, 주요 연구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사회론, 일본사상사,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동아시아 개념사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장소의 국제정치사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메이지 유신□(살림, 2007) 등이 있다.

도서소개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제1권 《개항 대한제국기》. 개항 이후 구한말 및 식민지 시대의 한국인 관료와 지식인들의 국제정치관과 국제인식에 관한 자료들을 시대별, 주제별로 정리한 책이다. 대외개방과 국제정치관, 자주독립의 모색과 국제정치관, 국권상실과 국제정치관 등의 내용을 모두 3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