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 박광수
  • |
  • 집문당
  • |
  • 2012-09-16 출간
  • |
  • 646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30315647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33,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를 밝히기 위한 작업으로 동학(東學, 天道敎),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倧敎), 원불교(圓佛敎) 등 4개의 대표적인 한국신종교를 중심으로 역사적 배경과 사상, 종교문화 등 세부적인 주제를 설정하여 조명하였다. 한국신종교가 근세 한국사회의 개방과 변화 과정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비판적 성찰을 담고자 하였으며, 한국의 독창적 사상을 토대로 미래 인류 사회에 어떻게 인류보편적 사상과 가치를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야기한다.
여기서 밝힌 신종교사상과 종교문화는 한국에서 배출한 종교적 선각자들에 대한 연구이다. 신종교사상은 인류사회가 안고 있는 병적 현상을 치유하고 조화의 정신문명을 실현하고자 한 세계 보편적 가치를 지닌 소중한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21세기에 필연적으로 우리에게 요청되는 시대적 영성임을 보여준다.

목차

1부 근대 한국사회와 한국신종교의 발생

제1장 서론
1. 근대 한국의 급격한 사회변동과 새로운 종교운동
2. 한국신종교의 시대정신과 독창적 가치
3.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연구방법

제2장 한국 근세사 사회적 배경과 사조의 변화
1. 조선 후기 개방정책의 변화와 사회적 배경
2. 유교의 통치이념 변화와 실학운동
3. 서학(西學, 기독교)의 전래와 서구문화의 수용
4. 서학에 대한 한국신종교의 대응

제3장 한국신종교 창시자들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1. 수운 최제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2.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3. 홍암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4. 소태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2부 한국신종교의 사상적 특징

제4장 천도교의 중심사상- “사람이 곧 하늘(人乃天)”
1.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
2. 수심정기(守心正氣)의 수행

제5장 증산교의 중심사상-상제 신앙과 해원상생
1. 증산교의 증산상제 신앙
2. 해원상생(解?相生)사상

제6장 대종교의 중심사상-단군중심의 삼신일체(三神一體) 신앙
1. 홍암의 단군 이전 환인ㆍ환웅에 대한 인식
2. 환인ㆍ환웅ㆍ단군 호칭의 재해석
3. 삼신일체(三神一體) 신앙의 체계화

제7장 원불교의 중심사상-일원상(一圓相)의 진리와 사은(四恩)사상
1.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2. 사은(四恩)과 보은(報恩) 실천

제8장 수운(水雲), 증산(甑山), 홍암(弘巖), 소태산(少太山)의 대외인식-일본관을 중심으로
1. 수운의 적대적 일본관
2. 증산의 우호적 일본관
3. 홍암의 일본관과 정교분리
4. 소태산의 강약(强弱)진화적 일본관

3부 한국신종교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제9장 수운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수운의 ‘다시 개벽’사상
2. 수운의 이상적 세계관-대망(大望) 신앙과 지상천국(地上天國)

제10장 증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증산의 개벽사상
2. 증산의 이상적 세계관-선경(仙境)의 조화(調和)적 세계

제11장 홍암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홍암(弘巖)의 중광(重光)사상
2. 홍암의 이상적 세계관-이화세계(理化世界) 홍익인간(弘益人間)

제12장 소태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소태산의 개벽사상
2. 소태산의 이상적 세계관-참낙원과 조화의 문명세계

4부 한국신종교의 종교문화와 의례

제13장 한국신종교의 신화ㆍ상징ㆍ의례 체계 비교연구
1. 한국신종교 의례의 정의, 범주, 신화적 요소
2.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성속(聖俗)의 상징체계-천(天)ㆍ인(人) 또는 신(神)ㆍ인(人)의 관계를 중심으로
3.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사회 변혁의 상징성

제14장 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통과의례
1. 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통과의례 구성과 과정
2. 통과의례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제15장 대종교의 제천(祭天)의례
1. 대종교의 단군신화 수용과 전승
2. 대종교 제천의례 체계-선의식(?儀式)

제16장 원불교의 종교의례-법인(法認)기도(혈인(血印)기도)
1. 법인(法認)기도의 역사적 전개와 진행방식
2. 법인기도의 상징체계

5부 한국신종교의 사회참여운동

제17장 일제치하의 신문화운동
1. 일제치하 신문화 운동사 개관
2.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3. 증산교ㆍ대종교ㆍ원불교의 신문화운동

제18장 근현대 정치와 종교의 상관적 관계
1. 일제치하의 정치와 종교의 관계
2. 해방 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정교분리정책
3. 군사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4. 민주화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제19장 남북 종교교류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실천운동
1.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
2. 남북한 종교교류의 성찰
3. 남북한 관계개선을 위한 종교계의 역할

제20장 원불교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과 과제
1. 원불교의 개교정신과 사회참여
2. 원불교의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
3. 원불교 시민운동의 평가와 과제

제21장 종교협력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1. 국제적 종교 간 대화협력운동의 전개
2. 종교다원주의와 종교 간 대화
3. 종교협력운동의 세계보편윤리 구상
4. 국제 종교연합운동의 실천적 과제-한반도 평화 실현의 공동 노력

결어: 조화의 문명세계를 위한 종교의 역할

참고문헌(Bibliography)
찾아보기(Index)

저자소개

현재 원불교 교무이며,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로서 종교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종교학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불교학을 전공한 학자이다. 한국신종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신화, 상징, 의례에 대한 연구를 해왔으며 한국의 종교학을 대표하고 있는 한국종교학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한 \'종교연구\' 편집위원장, 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 편집위원, \'International Buddhist Thought & Culture\' 편집위원, ASEM 종교간대화회의 자문위원(학술분과)으로서 학술교류 및 활성화를 위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The Won Buddhism (Wonbulgyo) of Sot aesan: A Twentieth-Century Religious Movement in Korea\'(San Francisco. London. Bethesda: International Scholars Press, 1997), \'열린종교와 평화공동체\'(서울: 크리스챤 아카데미 편, 2000), \'Collections of Silent Confession and Prayer\'(Wonkwang Publishing Co., Korea, 2002)(번역서), \'Religion in Korea,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Korean Conference on Religion & Peace\'(Pub. By Religious Affairs Offic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Seoul, Korea; printed by Color Point Co., 2003)(공저), \'The Role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in Promoting World Peace-An Asian Perspective\'(2007, 공저) 등이 있다.

도서소개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는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를 밝히기 위한 작업 내용을 담은 책이다. 동학(東學, 天道敎),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倧敎), 원불교(圓佛敎) 등 4개의 대표적인 한국신종교를 중심으로 역사적 배경과 사상, 종교문화 등 세부적인 주제를 설정하여 한국신종교가 근세 한국사회의 개방과 변화 과정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