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악녀의 재구성

악녀의 재구성

  • 홍나래
  • |
  • 들녘
  • |
  • 2017-05-02 출간
  • |
  • 312페이지
  • |
  • 155 X 227 X 18 mm /456g
  • |
  • ISBN 979115925250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모(賢母)도, 양처(良妻)도, 열녀(烈女)도, 효녀(孝女)도 아닌 옛 여인들이 있다. 지식인-남성이라는 필터를 거쳐 살아남은 옛 서사 속 여자들을 조명해보려는 시도는 계속되었으나, 그런 시도에서조차 주목받지 못했던 기묘하고 일그러진 여인들이다. 아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하는 귀신에게 ‘잡아갈 테면 잡아가라’고 받아치는 어머니라든가, 양성인(兩性人)이라는 혐의를 받는 여장남자를 옆에 끼고 사는 사대부 여인의 모습은 이 시대의 눈으로 보아도 어딘가 불편하다. 비정한 어머니라거나 음탕한 여자라는 비난을 받기 딱 좋은 인물들 아닌가. 고전문학을 공부한 세 저자(홍나래?박성지?정경민)는 이 여인들의 마음자리에 주목하고, 그들에게 덧씌워진 이데올로기를 하나씩 지워낸다. 껍질을 하나씩 벗겨내고 그 마음의 속살을 들여다봤을 때 남은 것은 순수한 ‘욕망’이었다.

이야기로 살아남은 기묘한 여자들에 주목한다
마음속 욕망을 따라 움직인 그녀들은 어쩌다 악녀(惡女) 혹은 음녀(淫女)가 되었나?
우리에게 익숙한 옛사람들, 특히 옛 여인의 이야기들이란 이런 것이다. 현명하고 어진 어머니, 남편의 출세를 위해 앞날을 내다볼 줄 아는 ‘내조의 여왕’, 남편을 먼저 보내고 수절하는 열녀, 또 효부, 효녀……. 후대에 귀감이 되는 여인들의 이야기는 지식인, 즉 남성이라는 권력과 가부장 체제라는 이데올로기를 거쳐 살아남은 것들이다. 당대의 지식인이나 사대부들 사이에서 ‘인기 있던’ 이야기 속 여성들은 이데올로기의 껍질을 덕지덕지 뒤집어쓴 채 입에서 입으로, 혹은 텍스트의 형태로 이어졌다. ‘딸이여, 이런 여인이 되거라. 현모, 양처, 열녀, 효녀…….’
특별히 당대의 이데올로기에 들어맞는 여인상은 아니었다 해도, ‘시대’라는 필터를 감안하고도 훌륭했던 여자들의 이야기 또한 살아남았다. 이런 방식으로 옛 여인들의 이야기를 전한 이들은 당대에 남성 못지않은 역량과 지혜를 가졌던 여인들의 현명함, 지략, 인내심, 인품, 강인함을 강조했다. ‘이들은 이렇게 뛰어난 여인이었으나, 시대를 잘못 타고나 불운할 수밖에 없었던 운명이었으니…….’

옛 여인들의 이야기를 즐겨 소비하는 방식이란 위의 두 가지가 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도 그럴 것이 위의 두 가지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 속 여인들은 (이데올로기를 거스른) 악녀(惡女) 취급을 받거나 음담패설의 대상이 되었다. 이십 년간 동문수학해온 세 연구자(저자 홍나래, 박성지, 정경민)는 이런 ‘악녀’에 주목했다. 아름답지도, 지혜롭지도, 고고하지도 않은 일그러지고 기묘한 여자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곰나루 전설’의 곰 여인은 인간 남성이 자신을 버리고 도망치자 그 남성과의 사이에 낳은 아이들을 죽인다. 모성(母性)은 어디로 갔는가? 도망치는 인간 남성 앞에서 돌아오지 않으면 아이들을 죽일 거라 협박하는 곰 여인은 잔인한 어머니에 불과하지 않은가? 아니 애초에 인간 남성을 납치해 동굴에 가둔 이 여인은 어떻게도 정당화할 수 없는 악녀 아닌가. 이 지점에서 저자들은 여인의 마음속 욕망을 들여다본다. 여인의 욕망은 남성을 향해 있었다. 모성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걷어내고 나면 남는 것은 순수한 욕망, 남자를 얻고 싶은 욕망(사랑), 그뿐이다.
일견 뛰어난 모성의 소유자라고도 보이는 양사언의 어머니가 ‘모성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자. 양사언의 어머니는 서얼인 아들이 적자로 인정받도록 하기 위해 남편의 관 앞에서 자결한다. 자식을 위해 목숨마저 내놓은 ‘희생 서사’의 아이콘이라 할 만하다. 역사 속 양사언(1517~1584)은 한석봉에 비견되는 서예가이자 여러 지역의 수령을 지낸 청렴한 관리였다. 그렇다면 사대부임이 분명한데, 설화 속 양사언은 어머니의 희생을 통해 적자의 지위를 획득한 서자로 그려진다. 과연 양사언의 어머니는 아들의 출세를 위해 목숨을 버린 모성의 소유자였을까? 아니, 일단 ‘모성 이데올로기’를 벗겨내고 나면 남는 것은 ‘신분 상승’을 향한 욕망이다. 변방의 평민 소녀였던 여인은 우연히 집에 들른 지체 높은 양반(양사언의 아버지 양희수)의 눈에 들어 양반가에 입성하는 데 성공한 다음에는 자결로써 아들에게서 서얼의 흔적을 지우고 ‘양반의 어머니’로 남았다.
이 여인들의 마음속에 자식을 위하는 모성이 아니라 남성을 향한 욕망 따위는 없었노라고, 아들의 출세를 위해 희생하는 모성이 아니라 본인의 신분 상승을 갈구하는 욕망 따위는 없었노라고, 감히 누가 말할 수 있을까? 이야기란 읽는 사람이 읽고 싶어 하는 대로 그 속살을 드러내는 법이다. 모성 이데올로기를 성공적으로 지워내고 그 여인들의 마음속에 남은 욕망에 집중했을 때 읽히는 이야기의 모습이란 이렇게 낯설다. 세 저자들이 마음속 욕망에 집중하며 벗겨내는 이데올로기의 껍질은 모성(母性)을 시작으로 양처(良妻)와 열(熱)로부터 탈주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데올로기는 말한다. 그녀는 훌륭한 어머니였노라고.(혹은 아내였노라고.)
하지만 모성 양처 열로부터 탈주해 다다른 곳은…
그렇다. 일단은 이들에게 독하고 집요한 ‘욕망’이란 것이 있었다고 인정해야 한다. 가부장 체제 아래에서 남성의 부속물처럼 살아갔던 옛 여인들의 욕망을 인정하는 일이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 하지만 일단 마음의 속살에서 엿보이는 욕망을 인정하고 나면 그 마음자리에 남는 것이 있다. ‘주체성(subjectivity)’이란 비록 근대적인 서양학문을 빌려 와서야 우리에게 분명해진 말이고, ‘여성주체성’이란 페미니즘의 세례를 받지 않은 시대의 여인들을 대상으로는 논의가 불가능한 말이겠으나 이 책의 저자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그 시대의 여성들이라고 자기 삶을 개척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었겠는가? 그들은 여성이 굳건한 언어로 삶의 의지를 표현할 수 없었던 시대에 살았던 탓에 ‘내 팔자가 이러하네’ ‘내 복이 여기까지인가 보네’ 하며 더 거대한 의지를 가진 것 같은 운명에 몸을 맡기는 듯 살았을 뿐이다. 이렇게 옛 여인들과 그들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에서 이데올로기의 표피를 벗겨내고 나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속살은 바로 그들의 순수한 욕망, 팔자나 복이라는 말로 형상화된 주체성 그리고 소용돌이치듯 솟아나는 날것 그대로의 생명력이다.

‘여성주체성’은 근대 이후, 페미니즘의 세례를 받고 나서야 비로소 가능한 말이 아니다. 페미니즘과 거리가 먼 전근대에도 여성은 온갖 억압에도 휩쓸리지 않고 자기 삶을 개척해내는 굳건한 내면과 이를 표현해낼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누군가는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질문한다. 오, 이런! 우리에게 그들의 소리를 들을 귀가 없었을 뿐이다. 그들은 ‘주체성’이라고 말하지 않고 ‘복’이나 ‘팔자’라고 했다. (머리말 중에서)

목차

머리말_ 마음을 포개다

1장 모성(母性)으로부터의 탈주

양사언의 어머니 ― 죽음으로 이룬 신분 상승의 꿈
손병사의 어머니, 광주 안씨 ― 귀신도 내 소신을 꺾을 수 없으리
곰나루 전설 ― 인간 남성을 욕망한 곰 여성의 이야기


2장 열(烈)로부터의 탈주

이순지의 딸 이씨 ― 여장남자 사방지를 끼고 살다
성몽정의 모친 김씨·성세창의 여종 ― 꿈속의 성교나 귀신과의 교접으로 아들을 낳은 여인들
본부독살미인 김정필 ― 가부장 시역 범죄를 일상의 범죄로 바라보게 하다


3장 양처(良妻)의 재구성

한명회의 후처 ― 정처의 지위를 차지한 첩
이기축의 처, 우씨 ― 위기는 기회, 살아남은 자가 승리하리라
방한림의 처 영혜빙 ― 동성혼으로 새로운 부부상을 꿈꾸다


4장 그녀, 주체(主體)로 서다

고구려 왕후 우씨 ― 권력은 나의 힘, 평생 권력자로 살아남는 법
물 긷는 노비, 수급비 ― 정작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춤추고 노래하는 덴동어미 ― 과부, 팔자가 기구한 여자일까?
‘내 복에 사는’ 막내딸 ― 폭력과 증오 극복하기


5장 죽음을 넘어, 초월(超越)로

돌이 된 여인, 박제상의 처 ― 사랑의 환상, 그 집요함과 어리석음
광청아기 ― 나를 버린 자, 대대로 나를 섬기게 되리라
신립의 그녀 ― 여인의 분노가 탄금대의 비극을 만들다
이귀의 딸 이여순 ― 여인들을 매혹시킨 화족華族 영애令愛의 파란만장한 삶
분영 ― 이별 후 이야기

에필로그_ 이야기를 대하는 두 가지 방식


감사의 글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홍나래는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간통 소재 설화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건국대학교 서사와 문학치료연구소에서 박사후 연수과정을 거쳤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있으면서 설화, 문화, 종교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도서소개

가부장 체제 아래에서 남성의 부속물처럼 살아갔던 옛 여인들의 욕망을 인정하는 일이란 쉽지 않다. 하지만 일단 마음의 속살에서 엿보이는 욕망을 인정하고 나면 그 마음자리에 남는 것이 있다. ‘주체성’이란 비록 근대적인 서양학문을 빌려 와서야 우리에게 분명해진 말이고, ‘여성주체성’이란 페미니즘의 세례를 받지 않은 시대의 여인들을 대상으로는 논의가 불가능한 말이겠으나 이 책의 저자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그 시대의 여성들이라고 자기 삶을 개척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었겠는가? 그들은 여성이 굳건한 언어로 삶의 의지를 표현할 수 없었던 시대에 살았던 탓에 ‘내 팔자가 이러하네’ ‘내 복이 여기까지인가 보네’ 하며 더 거대한 의지를 가진 것 같은 운명에 몸을 맡기는 듯 살았을 뿐이다. 이렇게 옛 여인들과 그들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에서 이데올로기의 표피를 벗겨내고 나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속살은 바로 그들의 순수한 욕망, 팔자나 복이라는 말로 형상화된 주체성 그리고 소용돌이치듯 솟아나는 날것 그대로의 생명력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