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가족을 정의하기
제1장 체계로서 가족
체계로서 가족
가족을 정의하는 것의 어려움
가족체계의 특징
가족의 구조적 속성
전략과 규칙
가족이 수행해야 하는 과업
1차 과업
2차 과업
가족의 정치학
결 론
주요 개념
제2장 가족 전략
가족 전략
정체성 전략
경계선 전략
유지 전략
가족의 정서적 분위기 관리 전략
스트레스 관리 전략: 2차 과업으로서의 적응력
결 론
주요 개념
제2부 가족기능 모델
제3장 구조적 모델
가족기능의 구조적 모델
구조적 모델
가족 구조 그리기
결 론
주요 개념
제4장 세대 간 모델
가족기능의 세대 간 모델
보웬이론의 핵심 개념
원가족과의 미해결된 문제관리
가계도: 세대 간 과정에 대한 통찰
가계도의 예: 존슨가족
결 론
주요 개념
제5장 맥락적 모델: 가족의 다양성
인종, 민족, 문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메타관점
광범위한 인종적·민족적 맥락
계층,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의 다양성
빈곤, 인종차별주의, 가족생활
문화적응과 가족의 다양성
민족성, 인종, 가족 전략
결 론
주요 개념
제3부 가족발달 단계
제6장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개별화과정
개별화과정 및 이후 발달과 적응
개별화 어려움과 청춘의 문제
강요된 개별화의 다른 문제
결 론
주요 개념
제7장 배우자선택과 가족발달
배우자선택과 가족발달
평생동반자 선택하기
비교수준: 필터의 독특성
배우자선택에 대한 원가족 경험 영향
배우자선택과 관계역동성
결 론
주요 개념
제8장 결혼으로의 전환: 새로운 부부체계
결혼에 대한 포스트모던 관점
신혼부부 커플의 과업
결 론
주요 개념
제9장 의사소통과 친밀감
의사소통과 친밀감
의사소통의 정의
대화양식
결혼생활에서의 의사소통과 친밀감
결 론
주요 개념
제10장 결혼에서의 갈등
결혼에서의 갈등
갈등의 영역
결혼에서의 갈등원
갈등관리의 역동
결혼의 성공과 실패로 이끄는 상호작용 패턴
부부폭력
결 론
주요 개념
제11장 아동기 가족: 부모기 전환
발달경로 중 하나로서의 부모기
부모기 맥락의 변화
아동기 가족구조의 다양성
아동기 가족이 겪게 되는 어려움
결 론
주요 개념
제12장 부모-자녀관계 체계
부모-자녀관계 체계
부모양육 유형의 차원
부모양육 유형의 결정요인
젠더와 부모양육 유형
민족적 부모양육과 소수자 부모양육
부모양육 유형의 효율성: 아동학대와 방임
주요 개념
제13장 중년기의 가족과업
중년기의 가족과업
중년기의 부부관계
직업과 결혼생활의 요구에 균형 이루기
중년기의 부모-자녀 역동
부모기 이후의 부모-자녀 관계
중년기의 여러 요구
주요 개념
제14장 노년기 가족
노년기 가족
후기 성인기의 결혼
후기 세대 간 역동
결 론
주요 개념
제4부 대안적 가족발달 경로
제15장 죽음, 상실, 애도
죽음, 상실, 애도
가족체계 내의 죽음
죽음에 대한 가족체계의 반응을 중재하는 요인
죽음에 대한 다세대적·발달적 관점
미해결된 슬픔과 가족 전략
결 론
주요 개념
제16장 이 혼
이 혼
가족과정으로서 이혼
이혼 후의 적응
이혼에 대한 세대 간 체계 관점
결 론
주요 개념
제17장 부모가구
한부모가구
한부모체계 내의 다양성
한부모체계 내의 기본적 과업 충족을 위한 도전
결 론
주요 개념
제18장 재혼과 계부모관계
재혼과 계부모역할
재혼가족체계의 발달
결 론
주요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