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육의 기초
Chapter 01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교육: 교사의 역할
1. 특수교육에서 ‘특수한’이란 무엇인가
2. 특수교육 교사의 역할
3. 특수교육 교사가 가르치는 사람들은 누구이며, 어디에서 가르치는가
4.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
5. 관련 서비스 전문가 및 특수교육 보조원
6. 모든 학생에게 좋은 교사가 되려면
7. 전문가 역할 알아보기: 특수교사가 되고 싶은 이유
8. 특수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숙고
Chapter 02 특수교육의 역사
1. 특수교육 이야기: 특수교육에서의 역사적인 사건
2.연방법
3. 표준화와 책무성의 시대
제2부 효과적인 교수 및 평가
Chapter 03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의 책무성
1. 학교 인구의 변화
2. 특수교육에서의 다양성
3. 학생의 다양성과 학업적 성취
4. 문화적 특성에 따른 차이
5. 교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문화적으로 반응적인 교사를 위한 안내
Chapter 04 장애아동의 진단 및 교육계획
1. 입학 전 장애아동을 위한 진단 및 교육계획
2.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진단
3.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계획
4. 검사 및 평가 절차
Chapter 05 교수, 학습 및 행동 관리
1.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대상학생
2. 교수 전달체계
3. 학생 행동관리
4. 의사소통 교육과 행동관리
제3부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효과적인 교수방법
Chapter 06 학습장애
1. 학습장애의 정의와 분류 기준
2. 학습장애의 특성
3. 출현율, 과정 및 발생 원인
4. 판별과 평가
5. 교육 실제
6. 성인기로의 전환
7.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07 정서 및 행동 장애
1. 정의와 분류 기준
2. 주요 행동적 특성
3. 출현율, 과정 및 발생 원인
4. 판별과 평가
5. 교육 실제
6.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08 경도 지적장애
1. 정의와 분류 기준
2. 지적장애 학생의 주요 특성
3. 출현율, 과정 및 발생 원인
4. 판별과 평가
5. 교육 실제
6. 성인기로의 전환 시 고려사항
7.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 정의와 분류 기준
2. 출현율, 과정 및 발생 원인
3. 판별과 평가
4. 교육 실제
5.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0 자폐범주성장애
1. ASD 학생의 정의와 분류
2. ASD의 특성
3. 관련 특성
4. 출현율, 과정 및 발생 원인
5. 판별과 평가
6. 교육 실제
7. 성인기 생활을 위한 전이
8.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1 의사소통장애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특성
2. 의사소통상의 차이 대 의사소통장애
3. 의사소통장애 학생의 특성
4. 출현율
5.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6. 판별과 평가
7. 효과적인 중재
8.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2 중도 지적장애와 중복장애
1. 중도 지적장애와 중복장애 학생의 정의와 분류 기준
2. 지적장애 분류
3. 중도 지적장애와 중복장애 학생의 특성
4. 출현율
5. 발생 원인
6. 평가와 계획
7. 효과적인 교수 실제
8.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3 감각장애
1. 감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기준
2. 감각장애 학생의 특성
3. 출현율과 발생 원인
4. 효과적인 교수 실제
5.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4 뇌손상, 지체장애 및 기타건강장애
1. 외상성 뇌손상의 정의와 외상성 뇌손상 학생의 주요 특성
2. 지체장애의 정의와 지체장애 학생의 주요 특성
3. 기타건강장애의 정의와 기타건강장애 학생의 주요 특성
4. 출현율과 경향
5. 발생 원인
6. 판별과 평가
7. 효과적인 교수 실제
8.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Chapter 15 우수아
1. 우수성의 정의와 분류 기준
2. 우수아의 주요한 행동적 특성
3. 출현율과 발생 원인
4. 판별과 평가
5. 교육 실제
6. 주요 쟁점 및 교사를 위한 함의
제4부 성공적인 교사생활: 교사의 전문성 신장
Chapter 16 성공적인 교사생활-전문성, 협력적 지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
1. 특수교사 되기
2. 신임교사를 위한 협력적 지원
3.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개인적 성장
4. 마지막으로 드는 생각: 열정과 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