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은 식품안전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전 세계적으로 적용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12월 식품위생법을 개정하여 HACCP 제도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으며, 1996년 12월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고시하면서 실질적인 도입이 이루어 졌다.
지금까지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준수를 원하는 영업자의 업소를 HACCP 적용업소로 지정․관리하여왔으나, 최근에는 위해발생가능성이 높은 어묵류 등 7개 식품제조․가공 업소에 대하여 연매출액 및 종업원
수 규모에 따라 2012년까지(배추김치는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의무적용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HACCP 실시 상황평가의 객관적이고 명확한 평가를 위해 항목별 세분화된 점수제 평가기준으로 개정 하게 되었다.
이에따라, HACCP 지정업소 및 적용을 희망하는 업소에서 HACCP팀원들이 효율적인 HACCP 관리를 할 수 있도록 「HACCP 검증가이드」를 발간하였다.
이 가이드는 HACCP 지정업소 및 적용을 희망하는 업소에서 지정․신청업무처리 절차와 관리기준을 알기 쉽게 제시하고 있고, 특히 관리기준 검증에 필요한 각각의 평가 항목별 세부기준 등을 수록하여 HACCP 팀원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