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육학 논술 플랫폼 119

교육학 논술 플랫폼 119

  • 권구현
  • |
  • 밝은내일
  • |
  • 2017-03-10 출간
  • |
  • 464페이지
  • |
  • 190 X 260 X 19 mm /778g
  • |
  • ISBN 9788968392054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0,9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9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교육학 논술 학습에 대하여

인간이 어떤 일을 하려고 할 때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은 필연적 사실이다. 이를 임용시험에 대입해보면 교사로서의 성공은 무수한 탐구와 실패의 시간 뒤에 오는 보람이기도 하다. 이러한 말들이 의미하는 내용은 명확하다. 자신이 임용시험에 합격한다는 자체는 뒤에 든든한 실패라는 우군이 떠받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학습은 무수한 도전과 실패의 연속에 의해 자기가 알게 된 어떤 지식을 모종의 문제 장면에서 판단은 물론 자유자재로 자신만의 해결 대안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의미가 아니던가.

그러나 최근에는 아주 짧은 시기에 이를 성공할 수 있다는 능률성과 효율성에 자신의 학습을 맡기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교육학 개념으로 보면 ‘중간언어’에 빠진 학습과 다르지 않다. 사고와 그 탐구라는 치열한 과정과 시간을 생략한 결과적 지식, 자신과 거리가 먼 지식을 암기하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습은 자신이 직접 사고하고 경험하는 '참여자'로서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냥 운동경기장의 객석에 앉은 것처럼 강의실에 앉아 '관람자'로서 교육학에 관한 지식을 배우게 된다. 이런 교육학 학습은 앎의 내면화는 물론 실전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마치 요리사 자격증만 있으면 누구나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듯이, 교사 자격증만 있으면 무조건 학생을 가르칠 수 있는 게 아니듯 말이다.

교육학이라는 학문은 탐구 실천적 학문이다. 이 때문에 교육학이 현실 학교의 문제와 연관하여 현상의 이해와 대안의 탐색이라는 관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공허한 학문으로 전락하고 만다. 이는 객관식 시험이 단순히 지식의 양적 측정에 지나지 않아 단순한 임기 학습에 매몰되었던 상황을 대조해본다면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학원 강사들도 그때 그랬던 것처럼 강의한다. 그러니 예비교사들도 마치 교육학 책을 사서 강의를 들으면 무조건 교육학 논술 문제를 풀고,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처럼 착각하다가 불에 덴 듯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결국 「할 줄 알아야 할」(know how to) 그 무엇이 아니라 그것에 관하여 알아야 할(know about) 그 무엇을 위해 학습한 셈이 된다. 이러한 암기학습에는 사고의 경험이나 그로 인한 실패의 경험이 없다. 단 한 번의 시험 실패에는 오직 남보다 더 적게 암기해서라는 이유만 있을 뿐이다.
실제 대나무처럼 성장이 빠른 존재는 없다. 우후죽순(雨後竹筍)이란 표현이 있듯이 대나무의 성장은 참 빠르다. 그러나 늘 앞으로 성장하는 데에만 몰두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대나무는 마디를 만들며 또 앞으로 나아간다. 시간을 기다리며 마디를 틀어 다음 줄기를 짓기 위한 기초를 꾸민다. 마디가 없다면 미끈하겠지만 대나무의 재질로 볼 때 충격이나 강한 바람에 휘어지거나 쉽게 부러져 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디는 자기 내면의 치열한 구조화이다. 역시 임용시험을 위한 교육학 학습도 자신이 아는 어떤 개념을 치밀하게 마디를 만들듯 스스로의 구조화를 필요로 한다. 이는 대나무뿐만 아니라 모든 성장하는 생명체의 기본적 법칙이다. 그러므로 교육학 지식의 구조화는 자신이 사고하고 엮는 과정으로 하나의 대안이다. 아만 이 책은 그 사고의 고리 중 이론과 실제의 맥락만을 줄뿐이다. 그 안에서 이론과 개념들의 난장판은 탐구하려고 하는 이들에게만 구조적 접근을 허락한다.

목차

PART 01 교육철학 플랫폼

제1절 교육의 정의와 개념 2

01 교육의 정의(Scheffler) 2
플랫폼 탐구 01 3

02 교육의 개념 4
플랫폼 탐구 02 5
플랫폼 탐구 03 7

03 교육의 비유 9
플랫폼 탐구 04 12
플랫폼 탐구 05 - 교직의 비유 13

04 교육목적의 이해 14
플랫폼 탐구 06 18
플랫폼 탐구 07 19

제2절 교육사조의 이해 21
01 전통교육의 사조 21
플랫폼 탐구 08 25
플랫폼 탐구 09 27
플랫폼 탐구 10 31
플랫폼 탐구 11 34

02 현대 교육의 사조 35
플랫폼 탐구 12 38
플랫폼 탐구 13 39
플랫폼 탐구 14 41
플랫폼 탐구 15 42
플랫폼 탐구 16 44

03 포스트모더니즘과 홀리스틱 45
플랫폼 탐구 17 48
플랫폼 탐구 18 49

제3절 교육적 지식론 50
01 교육적 지식의 이해 50
02 브루너의 ‘지식교육’ 51
플랫폼 탐구 19 54

PART 02 교육사회학 플랫폼

제1절 교육사회학의 거시론 56
01 교육사회학 주요 이론 56
02 거시적 사회학 57
03 학력 상승(팽창)과 교육선발 59
플랫폼 탐구 20 62

제2절 교육사회학 미시론 63
01 해석적 접근 63
02 신교육사회학(교육과정사회학) 65
플랫폼 탐구 21 68
03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69
플랫폼 탐구 22 73
플랫폼 탐구 23 74
플랫폼 탐구 24 75
04 교육격차의 요인 76
플랫폼 탐구 25 82
플랫폼 탐구 26 83
05 맥닐(MacNeil)의 방어적 수업(defensive teaching) 84
플랫폼 탐구 27 88
플랫폼 탐구 28 90
06 비행 이론 91
플랫폼 탐구 29 95

제3절 교육평등과 문화 97

01 교육평등론과 사회정의론 97
플랫폼 탐구 30 100
02 문화변화 관련 용어 101
플랫폼 탐구 31 103

PART 03 교육행정학 플랫폼

제1절 조직 이론(organization theories) 106
01 과학적 관리론 107
02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108
03 인간자원론과 행동과학론 111
04 사회과정 모형-체제 이론 111
플랫폼 탐구 32 114
플랫폼 탐구 33 115

제2절 조직의 이해 116
01 중앙집권적 행정과 지방분권적 행정 116
플랫폼 탐구 34 117
02 계선조직 참모조직 및 보조조직 118
03 학교의 조직 풍토와 문화 119
플랫폼 탐구 35 123
플랫폼 탐구 36 124

제3절 지도성 이론 125
01 일반 지도성의 구분과 유형 125
02 변혁적 지도성(Transformational Leadership) 127
플랫폼 탐구 37 130
플랫폼 탐구 38 132
03 학교장 지도성 133
플랫폼 탐구 39 134

제4절 교육 정책과 기획 및 학급경영 135
01 교육정책 135
02 교육기획 136
플랫폼 탐구 40 138
03 학급경영 140
플랫폼 탐구 41 142
04 조직의사소통론 143
플랫폼 탐구 42 144

제5절 조직동기 이론 145
01 동기 내용 이론 145
플랫폼 탐구 43 149
플랫폼 탐구 44 150
플랫폼 탐구 45 151
플랫폼 탐구 46 152
02 동기 과정 이론 153
플랫폼 탐구 47 155

제6절 장학 이론 156
01 장학의 목적과 원리(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156
02 장학의 유형 이해 157
플랫폼 탐구 48 161
플랫폼 탐구 49 162

PART 04 교육과정및평가 플랫폼

제1절 교육과정의 이해 164
01 교육과정의 의미 164
02 교육과정의 개념 165
플랫폼 탐구 50 168
플랫폼 탐구 51 169
플랫폼 탐구 52 170
플랫폼 탐구 53 171
플랫폼 탐구 54 172
03 교육과정의 설계 175
플랫폼 탐구 55 181
플랫폼 탐구 56 182
04 학습 경험의 선정 및 조직 184
플랫폼 탐구 57 188
플랫폼 탐구 58 189
플랫폼 탐구 59 190
플랫폼 탐구 60 191
플랫폼 탐구 61 192
05 교육과정의 유형 193
플랫폼 탐구 62 195
플랫폼 탐구 63 198
플랫폼 탐구 64 199

제2절 교육평가의 이해 201
01 평가 관련 교육관과 변화 양상 201
02 검사관과 평가도구 202
플랫폼 탐구 65 205
플랫폼 탐구 66 206
03 평가의 기본 유형 207
플랫폼 탐구 67 208
플랫폼 탐구 68 211
04 수행평가 212
플랫폼 탐구 69 216

PART 05 교육심리학 플랫폼

제1절 생태발달과 인지발달 218
01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발달 이론 218
플랫폼 탐구 70 220
02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221
03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225
플랫폼 탐구 71 229

제2절 성격 및 도덕성 발달 이론 230
01 에릭슨의 성격 및 정체성 발달 이론 230
플랫폼 탐구 72 237
플랫폼 탐구 73 239
02 사회성 발달 이론 - 조망 수용(perspective taking) 241
03 도덕성 발달 이론 243
플랫폼 탐구 74 244

제3절 동기 발달 이론 245
01 인본주의와 인지주의 245
02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 이론 246
플랫폼 탐구 75 249
03 기대 이론(期待 理論, expectancy theory) 250
플랫폼 탐구 76 252
04 자기효능감 이론(self-efficacy theory) 256
플랫폼 탐구 77 258
05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259
플랫폼 탐구 78 261
플랫폼 탐구 79 262
06 귀인이론 263
플랫폼 탐구 80 265
플랫폼 탐구 81 266
07 성취동기와 성취목표지향 이론 268
08 성취목표 성향 269
플랫폼 탐구 82 272
플랫폼 탐구 83 274

제4절 학습 양식과 전이 275
01 학습(인지) 양식(認知樣式, cognitive style) 275
플랫폼 탐구 84 278
02 학습전이 279

제5절 학습 이론 283
01 행동주의 학습 이론 283
02 인지주의 학습 이론 286
플랫폼 탐구 85 289
03 사회 - 인지학습이론 291
플랫폼 탐구 86 293
플랫폼 탐구 87 294
04 조나센(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296
플랫폼 탐구 88 297
플랫폼 탐구 89 298
05 구성주의 학습 이론 299
플랫폼 탐구 90 303

제6절 지능 이론과 정보처리 이론 304
01 전통적 지능론 304
02 현대적 지능론 306
플랫폼 탐구 91 309
플랫폼 탐구 92 311
03 정보처리 이론 312
플랫폼 탐구 93 315
플랫폼 탐구 94 316
플랫폼 탐구 95 317
04 정교화 교수 이론(elaboration theory of instruction) 318
플랫폼 탐구 96 320

PART 06 교수학습 플랫폼

제1절 교수 목표와 교수 학습 322
01 교수 목표의 분류 322
플랫폼 탐구 97 325
플랫폼 탐구 98 326
02 수업 목표의 진술 328
플랫폼 탐구 99 330
03 교수?학습 지도의 원리 332
플랫폼 탐구 100 333

제2절 교수설계 모형 334
01 일반체제설계 모형(ADDIE) 334
02 딕과 케리의 체제적 설계 335
03 켈러(Keller)의 동기유발 설계와 ARCS 336
플랫폼 탐구 101 338
플랫폼 탐구 102 339
플랫폼 탐구 103 341
04 수업(교수)매체(授業媒體, instructional media)의 이해 343

제3절 교수학습 모형 346
01 블룸의 완전학습 346
플랫폼 탐구 104 348
02 오수벨(D.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이해 349
플랫폼 탐구 105 352
플랫폼 탐구 106 353
03 가네의 목표별 수업 354
플랫폼 탐구 107 358

제4절 교육방법의 유형 360
01 강의법(Lecture Method) 360
플랫폼 탐구 108 361
02 문답법(발문법) 362
플랫폼 탐구 109 365
03 토의법(discussion method) 368
플랫폼 탐구 110 370
04 협동학습 371

PART 07 생활지도 및 상담 플랫폼

제1절 생활지도의 이해 376
01 생활지도의 개념과 원리 376
플랫폼 탐구 111 378
0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379
플랫폼 탐구 112 382

제2절 적응기제와 문제행동 384
01 적응기제 384
02 적응기제의 사례 384
플랫폼 탐구 113 390
03 문제 행동의 수정 392
04 행동수정의 유형 393
플랫폼 탐구 114 399

제3절 상담 이론의 이해 403
01 래포(rapport) 형성의 원리 403
플랫폼 탐구 115 406
02 합리 정서적 상담 407
플랫폼 탐구 116 409
03 인간중심 상담 411
04 형태주의 상담 412
05 행동중심(행동주의) 상담 413
플랫폼 탐구 117 415
06 현실치료(요법) 418
07 해결중심 상담(SFBC) 420
플랫폼 탐구 118 423

제4절 진로교육의 이해 425
01 진로교육(進路敎育, career education)의 개념 425
02 구조론적 진로발달 이론 426
03 발달적 이론 428
04 과정론적 이론과 사회적 학습 이론 430
05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단계 431
플랫폼 탐구 119 432

저자소개

1967년 09월 22일 서울 출생.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 석사. 동아일보 프라임타운 논술 집필진, 엘림에듀 CTI 전문연구위원, 다음카페 논술바다 주인장, 공주대 사범대학 겸임교수, 희소교육공동체 교수, 비타에듀 공교육지원센터 소장, 미래교육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도서소개

[교육학 논술 플랫폼 119]는 교육학 논술과 교직 논술을 위한 교재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