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_ 5
서론 13
1. 왜 라캉 정신분석인가? 13
2. 이 책의 구성과 개요 18
제1부 국가와 주체
제1장 박정희 시대 국방의 의무 담론과 군사적 주체화
1. 주체를 지배하는 기표와 담론 35
2. 상징계의 진입 관문으로서 국방의 의무 48
3. 국방 의무의 ‘신성화’: 주인 기표의 확립 52
4. 국방 의무의 수행: 거세, 향유의 희생으로서 군대생활 66
5. ‘무조건 명령과 무조건 복종’, 잉여 향유의 순환 91
6. 박정희 시대 주인 기표의 작동 방식 103
맺는말 113
제2장 현대 한국의 고문과 폭압적 재주체화: 김근태, 김병진, 서승 등의 사례
1. 고문과 조작의 사례들 123
2. 고문과 조작의 구조 129
3. 고문자와 피고문자의 전이적 관계 147
4. 고문과 조작의 결말과 정체성의 회복 169
맺는말 184
제2부 혁명과 주체
제1장 혁명적 독립운동과 정체성의 문제: 김산과 조봉암
1. 정체성의 혼란과 비극적 죽음 191
2. 조봉암과 김산의 생애 194
3. 정체성의 형성: 동일시, ‘강제적 선택’, 낙인 197
4. 정체성 재형성의 계기: ‘낯선’ 세계와의 조우 222
5. 세계의 비일관성과 주체적 궁핍화 그리고 증상과의 동일시 241
6. 정체성의 재형성과 사랑의 문제 268
맺는말 273
제2장 이광수와 근대 주체의 문제
1. 심판과 이해의 사이 281
2. 1910년대의 이광수: 사회진화론적 문명개화주의자 285
3. 1920년대의 이광수: 근대적 규율, 근대의 도덕 305
4. 1930년대 후반 이후의 이광수: ‘민족을 위한 친일’이라는 증상 334
맺는말 355
제3부 권력과 주체
제1장 권력이란 무엇인가
1. 권력론과 정신분석 363
2. 권력 논쟁: 권력, 영향력, 권위 365
3. 주체와 권력: 푸코의 권력론 373
4. 라캉 정신분석과 권력 378
맺는말 396
제2장 영화 <똥파리>에 나타난 권력의 모습
1. 리얼리즘 영화와 삶의 이면 399
2. 공식적 삶과 이면적 삶 402
3. 볼 수 없는 것들, 억압된 것들과 초자아의 기능 409
4. 권력 앞에 무력한 주체 413
5. 상징적 현실의 틈새: 돌아갈 곳이 없는 삶의 나그네 420
6. 정신분석적 권력 개념의 두 측면 426
제3장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의 위기 문제를 중심으로
1. 정치의 몰락 431
2. 민주주의의 위기, 정치 위기의 현상들 433
3. 랑시에르와 지젝에게 있어서 정치와 민주주의 447
4. 지젝과 랑시에르 간의 논쟁: 계급투쟁과 해방의 과정 458
5. 민주주의와 정치: 최장집, 보그스, 랑시에르, 지젝 467
맺는말 475
참고 문헌 479
사항 찾아보기 493
인명 찾아보기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