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깨달음의 재발견

깨달음의 재발견

  • 우오가와 유지
  • |
  • 조계종출판사
  • |
  • 2017-03-27 출간
  • |
  • 288페이지
  • |
  • 141 X 201 X 22 mm /433g
  • |
  • ISBN 9791155800867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불교 사상의 제로포인트
깨달음의 재발견

불교를 수행하는 목적, ‘착하게 사는 길?’

‘행복에 이르는 길’, ‘인간으로서 바르게 사는 길’ …
명상을 비롯해 불교 수행을 하는 이들의 목표를 물으면 자주 듣게 되는 이야기다.
하지만 적어도 불교의 개조(開祖)인 고따마 붓다에게는 그런 게 아니었다. 붓다 그리고 그의 제자들의 수행 목적은 ‘해탈(解脫)’이며 또 그것을 달성한 경지인 ‘열반(涅槃)’이었다. 통상 ‘깨달음’이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와서 유달리 명상의 ‘효과’들이 강조되면서 불교 수행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것을 달성하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담론은 먼 나라 이야기다. 심지어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라는 이유로 불교는 자기계발이나 처세에 동원되기도 한다. 나름의 이유는 있겠지만 본래 목적인 깨달음이라는 목표와는 궤를 달리한다.
그러나 저자가 말하듯 애당초 ‘과학성’과 ‘합리성’을 바란다면 불교 관련 책보다는 자연과학 관련 책을 읽으면 되고, ‘처세술’을 알고 싶다면 2,500년 전의 인도인이 현대인의 상황에 딱 맞게 말하는 자기계발서를 읽는 게 훨씬 참고가 될 것이다. 속세의 처세가 불교의 문제였다면 수천 년의 시간과 수천 킬로미터의 거리를 넘어서 우리에게까지 전해져 왔을 리가 없으며, 과학성과 합리성이 불교의 특장(特長)이라고 한다면 그 점에 관해서는 근대과학 쪽이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구태여 불교를 배워야 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는 다시 질문한다. 불교 사상의 제로포인트인 ‘깨달음’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그리고 해탈 · 열반을 증득하게 된다면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맹목적인 버릇을 멈추는 것

사실 해탈·열반의 경지가 애매한 형태로밖에 묘사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 경지가 언어를 넘어선 그 이상의 것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탈?열반 그 자체에 대해서 언어로 완전하게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그 성질이나 그 경지를 달성한 결과에 대해서는 조금 더 자세한 해명이 이루어져도 좋지 않겠는가, 라고 저자는 반문한다. 또한 언어로는 충분히 묘사하기가 불가능하다 하더라도 그 경험이 실천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로서 그들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는 이야기할 수 있다. 저자는 빨리어 경전과 아함경전 등 비교적 초기에 쓰였다고 전해지는 경전들에서 그 깨달음의 전제와 과정 그리고 그 경지에 대한 단초들을 찾아내고 또 현대 실천자들의 증언으로부터 유추해 그 대강을 찾아간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깨달음이란 무엇일까? 저자는 한마디로 “중생이 자신의 버릇 때문에 맹목적으로 계속하는 행위를 끊는 것이다.”라고 정의한다. 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마음에 번뇌가 있어서 더렵혀진 상태를 ‘유루(有漏)’라고 불러왔는데 이런 루의 영향 아래 있는 중생의 행동 양식을 다른 말로 바꾸면 ‘나쁜 버릇’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습관적이고 맹목적인 행위로서 ‘이건 나쁜 짓이다. 무의미한 일이다’라고 머리로는 알고 있어도 정신이 들면 어느새 또 저지르고 마는 행위이다. 불교에서 ‘수행’이 필요하다고 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머리로는 제대로 이치를 깨달았다고 해도 습관적인 행위를 끊을 수가 없는 한 달성되었다고 말할 수 없는 게 ‘깨달음’이라는 것의 성질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깨달음’을 지향한다는 것을 현상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 맹목적이고 습관적인 행위, 즉 버릇(漏와 비슷한 것, 번뇌)을 영원히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단히 설명하면 ‘중생이 버릇에 의해서 맹목적으로 행위를 계속하는 상태’가 ‘미혹[迷]’이고, ‘이것이 끊어진 상태’가 ‘깨달음’이다. 특히 남방불교에서 강조하고, 최근 대승의 승려들도 채용해서 흔히 사용하는 ‘마음챙김(sati)’이 이를 위한 실천이다.

왜 일본에서는 이 책 때문에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나?

이 책은 깨달음의 정의와 깨달음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하나하나 설명한다. 특히 깨달음을 설명하기 위해 무상, 고, 무아라는 테마에서 시작해 연기까지 이어지는 저자의 설명은 이의가 있을 수 없어 보인다. 그 명징한 설명으로 이 책은 일본 불교학계에서 일가를 이뤘다는 수많은 학자들로부터 추천사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깨달음에 대해 다양한 견지를 갖고 있는 일본 학계는 들썩였다. 심지어 논쟁은 물론 이 책을 비판하는 단행본까지 쏟아졌다. 저자가 던진 도발적인 질문 혹은 신선한 논쟁 중에 수행자와 학계가 가장 불편해 했던 것은 다음과 같은 대목이다.
△ 붓다는 깨달은 다음에 왜 죽지 않았나?
이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 후 저자는 “진리를 체득한 다음에 하는 모든 ‘행위’는 순수한 ‘유희’임을 고려”해야 한다며 붓다의 이타행은 ‘선택된 것’이라고 주장했다.(제7장 「지혜와 자비」 부분)
△ 붓다는 인간으로서 바르게 사는 길을 설한 게 아니다.
저자는 붓다의 말씀은 오히려 사회 유지에 없어서는 안 될 노동과 생식을 부정하고, 애초부터 그 전제가 되는 ‘인간’이라든가 ‘올바르다’든가 하는 이야기들을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고 봤다. 그래서 불교는 반선악(反善惡)이 아니라 탈선악(脫善惡)이라는 주장이다.(제3장 「‘탈선악’의 윤리」)
반면 불교를 말하면서 아직도 윤회를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논증(127쪽 이하 내용), 무아이기 때문에 윤회한다(115쪽 이하 내용)는 논지와 증명은 불교를 더 불교답게 했다는 높은 평가를 일본 최고의 불교학자들로부터 받기도 했다. 물론 아직도 윤회를 부정하는 일부 학자들과 윤회의 주체가 없을 수 없다는 견해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또 하나의 비판거리가 되기도 했다.

절대로 얼버무려서는 안 되는 것

저자는 현재 일본 불교학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젊은 피’다. 아직 마흔도 안 된 젊은 나이라는 것 외에도 학계와 수행자 사이에 여전히 만연한 윤회 부정과 윤회의 주체를 설정하는 문제에 대해 과감하게 비판한다. 이런 비판에는 일본 불교학계의 거장인 나카무라 하지메(비아설)나 와츠지 테츠로(윤회와 불교 세계관의 분리) 등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는 이런 거장들의 불교 논지 전개가 경전에서 자신이 필요한 부분만 솎아 내거나 때론 ‘절대로 얼버무리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 애써 무시하는 태도라도 통렬하게 비판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명상으로 인격이 좋아지지 않는다’거나 ‘불교는 착하게 살기 위한 가르침이 아니다’, ‘붓다가 깨달은 후 바로 열반에 들지 않고 법을 설했던 것은 유희다’라는 등의 도발적인 주장과 논지가 합쳐져 그 ‘젊은 피’는 논쟁의 한가운데 서고 말았다.
하지만 ‘깨달음’이라는 불교의 애초 목적을 찾아가는 그의 진지한 여정은 어쩌면 ‘(나의 가르침은) 흐름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얘기했던 붓다의 태도와 일맥상통하는 바가 없지 않다.

목차

제1장
절대로 얼버무려서는 안 되는 것
: 불교의 ‘방향’

불교는 ‘올바르게 사는 길’?
밭을 가는 바라드바자
노동(production)의 부정
마간디야의 딸
생식(生殖, reproduction)의 부정
흐름에 거스르는 것
재가자(在家者)에 대한 가르침의 성질
절대로 얼버무려서는 안 되는 것
이 책의 입장과 목적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2장
불교의 기본 구조
: 연기(緣起)와 사제(四諦)

‘전미개오(轉迷開悟)’의 한 가지 의미
유루(有漏)와 무루(無漏)
맹목적인 버릇을 멈추게 하는 것이 ‘깨달음’
의지해서 생기는 것
기본적인 큰 줄기
고(苦)와 무상(無常)
무아(無我)
가면(假面)의 예속(?屬)
혹업고(惑業苦)
사제(四諦)
불설(佛說)의 매력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3장
‘탈선악(脫善惡)’의 윤리
: 불교에서의 선과 악

명상으로 인격이 좋아지지는 않는다?
선(善)도 악(惡)도 버리기
명상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십선십악(十善十惡)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
소박한 공리주의(公利主義)
유루선(有漏善)과 무루선(無漏善)
사회와 대립하지 않기 위한 ‘율(律)’
‘탈선악(脫善惡)’의 윤리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4장
‘있다’고도 ‘없다’고도 말하지 않고
: ‘무아(無我)’와 윤회

‘무아(無我)’라고 말은 하지만
‘무아(無我)’의 ‘아(我)’는 ‘상일주재(常一主宰)’
단견(斷見)도 아니고 상견(常見)도 아니고
붓다의 ‘무기(無記)’
‘엄격한 무아(無我)’도 ‘비아(非我)’도 아니다
무상의 경험아(經驗我)는 부정되지 않는다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윤회한다
‘무엇’이 윤회하는 것인가
현상의 계기(繼起)가 윤회이다
붓다는 윤회를 설하셨다
윤회는 불교 사상의 암이 아니다
‘무아(無我)’와 ‘자유(自由)’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5장
‘세계’의 끝장
: 현법열반(現法涅槃)과 그곳으로 가는 길(道)

아집이 형이상학적인 인식으로 이어진다?
‘세계’란 무엇인가
오온(五蘊), 십이처(十二處), 십팔계(十八界)
‘세계’의 끝장이 고(苦)의 끝장
집착에 의한 고(苦)와 ‘세계’의 형성
희론적멸(戱論寂滅)
나[我]가 ‘세계’상(像)의 초점이 된다
왜 ‘무기(無記)’였던 것인가
염리(厭離)하고 이탐(離貪)하여 해탈하다
마음챙김(sati)의 실천
현법열반(現法涅槃)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6장
불교사상의 제로포인트
: 해탈?열반이란 무엇인가

열반이란 결정적인 것
이르는 길은 어렵지 않다(至道無難)
지혜는 사고(思考)의 결과가 아니다
직각지(直覺知)
불생(不生)이 열반이다
세간과 열반은 다른 것
적멸위락(寂滅爲樂)
불교의 실제
‘실제로 증명되는 것’
불교사상의 제로포인트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7장
지혜와 자비
: 왜 죽지 않았던 것인가

성인(聖人)은 어질지 않다
자비와 친절
범천권청(梵天勸請)
의미와 무의미
‘유희’
이타행은 선택하는 것
다양성을 생각한 인간
불교의 본질
다음 장으로의 이행

제8장
‘본래성(本來性)’과 ‘현실성(現實性)’
사이에서
: 그 후의 이야기

하나의 참고 의견
‘대승’의 기묘함
‘본래성’과 ‘현실성’
무엇이 ‘본래성’인가
중국선(中國禪)의 경우
미얀마불교와 태국불교
‘불교로 산다’는 것

마치면서
후기
미주

저자소개

저자 우오가와 유지 魚川祐司는 1979년 출생. 도쿄대학교 문학부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했고 같은 대학에서 인도철학·불교학을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마쳤다. 2009년 미얀마로 건너가 현재까지 테라와다 불교의 교리를 배우고 수행하면서 불교, 가치, 자유 등을 주제로 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5년 첫 선을 보인 이 책(원제 『불교 사상의 제로포인트』)은 일본에서 깨달음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촉발시키며 단숨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도서소개

『깨달음의 재발견』은 깨달음의 정의와 깨달음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하나하나 설명한다. 특히 깨달음을 설명하기 위해 무상, 고, 무아라는 테마에서 시작해 연기까지 이어지는 저자의 설명은 이의가 있을 수 없어 보인다. 그 명징한 설명으로 이 책은 일본 불교학계에서 일가를 이뤘다는 수많은 학자들로부터 추천사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깨달음에 대해 다양한 견지를 갖고 있는 일본 학계는 들썩였다. 심지어 논쟁은 물론 이 책을 비판하는 단행본까지 쏟아졌다.

상세이미지

깨달음의 재발견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