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북아시아 바위그림 연구

동북아시아 바위그림 연구

  • 복기대
  • |
  • 주류성
  • |
  • 2016-11-27 출간
  • |
  • 224페이지
  • |
  • ISBN 9788962463071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중국에서 바위그림이 발견되고 관심을 갖게 된 시기인 1920년대는 이시기는 중국고고학의 태동기였다. 이때 처음 발견은 되었지만 바위그림이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된 것은 1970년대이다. 그후 90년대 들어 장족의 발전이 있었다. 지금까지 중국 동북방에서 발견된 바위그림을 보면 주로 내몽고(內蒙古) 적봉지역(赤峰地域)과 남만주지역(南滿洲地域)에서 발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들이 왜 일어날까 하는 것이다. 즉 내몽고 적봉지역의 초기 신석기문화인 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 흥륭와문화(興隆窪文化), 그리고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와 요동지역(遼東地區)의 신락하층문화(新樂下層文化)와 소주산문화(小珠山文化) 등과 같이 집단거주를 해가면서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현장에 가까이 다가섰다. 이런 방법은 그동안 바위그림은 별개의 사람의 행위로 생각했던 것을 탈피하여 하나의 문화를 이루는 요소로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연구방법은 바위그림이 인류학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는 방향이라 생각한다. 아직 갈 길이 먼 상태이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중국에서 바위그림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70년대이다. 이는 한국과 비슷한 연대이다. 70년대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지만 연구자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조사는 많이 진행을 하였다. 그러므로 중국 동북지역 바위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 남만주지역의 고대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위그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그동안 이 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연구사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연구사를 간단하게 정리한 다음 각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다. 이 책의 중심은 남만주 지역의 바위그림이지만 이 지역의 바위그림 이해를 위해 북으로는 몽골지역, 남으로는 한반도 지역, 그리고 바다 건너 일본 큐슈지역의 바위그림 일부도 소개를 하였다.

목차

들어가며 / 6 머리말 / 9 I . 바위그림 형성과 연구사 이해 1. 바위그림 형성과 관련하여 / 17 2. 연구사의 이해 / 23 II . 지역별 바위그림 분석 1. 적봉지역의 바위그림 / 37 2. 적봉지역 바위그림과 각 문화와의 관계 / 107 3. 요서지역의 바위그림 / 115 4. 요동지역 바위그림 / 120 5. 요동지역 바위그림 개요 / 155 6. 요동지역 바위그림의 특징 / 176 III 장. 주변지역과의 관계 1. 몽골 동부지역과의 관계 / 185 2. 한반도 및 큐수지역 바위그림과 중국지역과 관계 / 191 IV 장. 맺음말 1. 바위그림의 기원에 대하여 / 210 2. 그림의 소재에 대한 분석 / 213 3. 바위 위에 기록은 끊이지 않을 것이다 / 219 참고문헌 / 222

저자소개

저자 : 복기대 저자 복기대는 중국 길림대 고고학과 역사학박사 /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연구실장 - 저서 『요서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연구』, 백산자료원, 2004 『몽골 동부지역의 고대문화를 찾아서』, 주류성, 2016 - 공저 .『동북아시아 묘제 문화연구』, 주류성, 2016 『요서지역 초기 신석기 문화연구』, 주류성, 2016 - 역서 『북방고고학논총』, 학연문화사, 2013.

도서소개

바위그림은 이 그림들을 제작할 당시 사람들이 재미삼아 한 것보다는 필요에 의해서 만든 것이 훨씬 많다. 그 이유는 바위그림은 여간해서 훼손되지 않는다. 그래서 문자가 없었던 시대에는 기록용과 교육용으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런 전통은 훗날 여러 형태로 남겨지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비석이나 종교시설물일 것이다. 이런 표식들은 어느 지역에나 다 있으며, 그 중 유명한 것이 바로 황하유역의 기록문화를 대표로 하는 하도낙서이다. 그 지역은 주로 진흙이 발전한 지역으로 진흙판을 활용하여 기록하였을 것이고, 이것들의 약점을 보완하여 갑골문으로, 금문으로 가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그러나 진흙층이 발달하지 않은 남만주지역에서는 아주 오랫동안 기록을 보존할 수 있는 바위그림을 택하지 않았을까. 그 가능성은 동심원, 소용돌이무늬, 그리고 성혈 등에 분명하게 나타난 의사표시다. 삼좌점 석성 정문의 소용돌이 무늬석, 요동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연꽃형의 성혈들은 분명하게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황하유역이 ‘하도낙서’라면 남만주지역에는 ‘암도낙서’가 있는 것이다. 남만주지역의 바위그림은 이런 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바위그림은 홀로, 단순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문화인들이 그들의 생각을 써놓은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