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성능 고기능성 섬유산업별 실태분석

고성능 고기능성 섬유산업별 실태분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6-04-20 출간
  • |
  • 676페이지
  • |
  • 216 X 300 mm /1969g
  • |
  • ISBN 9791158620202
판매가

3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의 특징
전 세계적으로 산업용 섬유가 기술혁신에 의한 성능 향상으로 금속, 세라믹 등의 기존 소재류를 대체하며 자동차, 선박, 전기전자 등 우리의 주력 수출제품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고유가 지속 및 국제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해 수송기계산업의 연비절감을 위한 경량화, 신재생 에너지설비의 고성능화 등을 위해 고성능 산업용 섬유복합소재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선진국들은 사용용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산업용 섬유시장의 주도권 장악을 위해 기술개발 강화 및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섬유시장은 인구 증가와 신흥시장 성장에 따른 섬유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섬유 생산 및 수출 확대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며 품목별로는 패션의류, 산업용 섬유 등 고부가 제품에서 높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 섬유업계는 섬유소재 수출의 다변화, 신흥시장의 내수시장 진출 확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이처럼 국내 섬유산업은 선택과 집중이 요구되는 과도기에 있다. 최근의 생산 및 수출 성장 추이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을 것인지, 해외투자의 탈 중국 이후 대동남아로의 전환과 이에 따른 수출 확대가 지속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인지, 국내 생산이 고부가가치의 생산 구조로 안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따라 섬유산업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첨단 산업용 섬유에 해당하는 슈퍼섬유, 스마트섬유, 나노섬유, 탄소섬유 강화복합재의 국내?외 산업동향과 관련 기관들의 최신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고성능?고기능성 섬유산업별 실태분석 -슈퍼/스마트/나노/CFRP/에코섬유- 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섬유산업의 국가별 주요 산업 동향과 기능성 섬유소재의 시장 및 특허출원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고기능성 섬유인 슈퍼섬유, 스마트섬유, 나노섬유, 탄소섬유 강화복합재 및 환경친화성 기반 에코섬유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Ⅰ편 섬유산업
제1장 섬유의류산업의 최근 동향과 전망
1. 섬유의류 산업의 개요
1) 섬유의류 산업의 개념 및 범위
(1) 개념
(2) 산업의 분류
(3) 산업의 발전단계
(4) 산업의 범위
가. 공정별
나. 제품별
다. 산업별
2) 섬유의류 산업의 특성
3) 세계 섬유산업의 주요 트렌드
(1) 생산구조 변화
가. 섬유생산 주도국 변화
나. 섬유생산 구조변화
(2) 세계 섬유기술 개발 동향
4) 국내 섬유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
5) 섬유의류 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제도적 환경
가. 환경규제 강화
나. 에너지/자원 확보전략
다. FTA 및 세계 교역 환경변화
라. 지속적 국지적 정치 불안
(2) 경제적 환경
가. 국제 금융위기
나. 디자인 시장의 성장
다. 그린 비즈니스의 성장
라. 세계 섬유소비 시장의 양극화
(3) 사회적 환경
가. 인체친화성
나. 고령화/저출산 사회
다. 친환경 의식고조
라.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4) 기술적 환경
가. 융복합 기술의 성장
나. 친환경 기술의 요구
다. 고성능, 고기능화 요구
라. 공정 기술
2. 섬유의류 분야 시장 현황과 정책 동향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가. 패션섬유
나. 테크니컬섬유
(2) 국내 시장 동향
2) 국내외 정책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섬유의류 기술 동향과 경쟁력 분석
1) 국내외 섬유의류 기술개발 동향
(1) 패션섬유
(2) 테크니컬섬유
가. 섬유소재
나. 의류·생활용 제품
다. 산업용 제품
2) 섬유의류 기술 수준 및 경쟁력 분석
(1) 기술수준 및 격차
가. 섬유의류 전체 기술수준 및 격차(대분류 단위)
나. 중분류 단위 기술수준 비교
다. 소분류 단위 기술수준 비교
(2) 기술 경쟁력 분석
가. 해외 선도기업의 기술 경쟁력
나. 국내 기업의 기술 경쟁력
4. 한ㆍ중ㆍ일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1) 한ㆍ중ㆍ일 섬유산업의 가치사슬구조 비교 분석
(1) 생산구조 비교 분석
가. 섬유산업의 범위
나. 생산구조 비교
(2) 수출입구조 비교 분석
가. 수출구조 비교
나. 수입구조 비교
(3) 시사점
2) 한ㆍ중ㆍ일 섬유산업의 교역구조 및 수출입 특화 분석
(1) 한ㆍ중ㆍ일간 교역구조 분석
가. 개 요
나. 한ㆍ중간 교역구조 현황
다. 한ㆍ일간 교역구조 현황
(2) 우리나라의 대중국 및 대일 수출입 특화구조 분석
가. 대중국 수출입 특화구조
나. 대일 수출입 특화구조
(3) 시사점
3) 한ㆍ중ㆍ일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및 산업정책 분석
(1)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가. 세계시장점유율 비교
나. 기술경쟁력 비교
(2) 중국과 일본의 산업정책 분석
가. 일본의 섬유산업 정책
나. 중국의 섬유산업 정책
(3) 시사점
제2장 섬유산업 국내외 동향 및 인력 현황
1. 국내 섬유산업 동향
1) 섬유산업의 성장과정
2) 섬유산업의 시장개척 및 고부가가치화
(1) 섬유제품의 수출단가 상승 및 물량 회복
(2) 해외생산 확대·국제 분업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3)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구조로의 전환
3) 섬유ㆍ의류 산업 현황
(1) 섬유ㆍ의류산업의 경제적 지표
가. 섬유ㆍ의류산업의 규모
나. 수출입액과 무역수지
(2) 국내 섬유ㆍ의류 산업 동향
가. 세계적 시장 동향
나. 내수시장 동향
다. 국내 패션의류 기업 특성
라. 국내 의류제조업체 역량 변화
(3) 해외진출 의류기업 현황
가. 국내 패션기업의 해외 진출 개요
나. 국내 패션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4) OEM 의류기업 현황
가. 의류 OEM 방식의 특성
나. 국내 의류 OEM 산업의 특징
(5) 국내 의류제조ㆍ봉제산업 현황
4) 섬유류 수출입 동향
(1) 품목별 수출
(2) 국가별 수출
(3) 품목별 수입
(4) 국가별 수입
5) 섬유산업 수급 동향
(1) 전체 섬유산업
(2) 화섬
(3) 면방
(4) 직물
(5) 의류
6) 외환·국제 원자재 가격 동향
(1) 외환
(2) 국제 원자재 가격
2. 해외 섬유산업 동향
1) 국가별 섬유산업 동향
(1) EU
가. 섬유ㆍ의류산업 특징
나. 섬유ㆍ의류산업 업체수
다. 내수시장 동향
라. 섬유ㆍ의류산업 생산 현황
마. 섬유ㆍ의류산업 수출입 현황
(2) 미국
가. 섬유·의류산업 특징
나. 섬유?의류산업 업체수
다. 내수시장 동향
라. 섬유?의류산업 생산 현황
마. 섬유·의류산업 수출입 현황
(3) 일본
가. 시장현황
나.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다. 경쟁동향
라.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마.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4) 중국
가. 섬유산업 특징
나. 섬유산업 발전동향
다. 섬유ㆍ의류산업 업체수 및 종사자수
라. 내수시장 동향
마. 섬유ㆍ의류산업 생산
바. 섬유산업 수출입 현황
2) 세계 섬유산업 통계(Textile Statistics of World)
(1) 국가별 화학섬유 생산 설비(World Chemical Fiber Facilities by Country)
(2) 국가별 방적 설비 현황(Spinning Machinery Statistics by country)
(3) 국가별 제직 설비 현황 (Weaving Machinery Statistics by Country)
(4) 세계 주요섬유 생산량 (World Production of Major Fibers)
(5) 국가별 주요 합성섬유 생산량 (World Synthetic Fiber Production by Country)
3) 세계 섬유류 수출입 실적(Exports & Imports of World)
(1) 세계 섬유류 수출실적 (Textile & Clothing Export of World)
가. 섬유류(Textile & Clothing) 수출
나. 섬유(Textile) 수출
다. 의류(Clothing) 수출
(2) 세계 섬유류 수입실적(Textile & Clothing Import of World)
가. 섬유류(Textile & Clothing) 수입
나. 섬유(Textile) 수입
다. 의류(Clothing) 수입
3. 섬유패션산업의 고용동향과 인력양성 방향
1) 국내 섬유패션산업 인력 수급 현황
(1) 섬유패션 인력 수급 지표
가.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나. 취업현황 및 인력부족률
(2) 임금 및 근로 현황
가. 업종별 월평균 급여액
나. 근로 현황
(3) 산업기술인력 현황
(4) 자격 현황
가. 국가기술자격 현황
나. 공인민간자격 현황
2) 섬유패션산업의 고용 현황
(1) 고용현황 및 섬유패션산업 구조 변화
(2) 섬유패션산업의 고용 추이
(3) 섬유패션산업 업종별 고용 추이 및 비중 변화
(4) 지역별 섬유패션산업 고용 현황 및 특징
가. 경기도
나. 전라북도
다. 부산
라. 대구/경북
마. 경상남도
3) 섬유패션산업의 고용 이슈
(1) 섬유패션산업 및 인력 수요 전망
(2)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및 한계
4) 섬유패션산업 인력양성 방안
(1) 인력 양성 방향
(2) 정부지원 인력 재교육사업 보완
제3장 산업용 섬유 및 기능성 섬유소재 현황
1. 고성능 산업용 섬유 시장 및 구조변화 분석
1) 세계 산업용 섬유 시장 동향
(1) 산업용 섬유의 시장 분석
가. 특징 및 용도
나.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고성능 산업용 섬유 생산능력
(2) 산업용 장섬유 강력사와 직물 현황과 전망
가. 수요 현황
나. 산업용 섬유직물 생산 및 수요 현황과 전망
(3) 수요산업과의 연관 분석
가. 산업용 섬유의 용도전개와 기술개발 동향
나. 수요산업 용도별 섬유 수요 전망
다. 수요산업과의 협력 기술개발 사례
(4) 세계 산업용 섬유 수출 현황
가. 중국 수출
나. 선진국 수출
다. 주요국들의 세계시정점유율 국제비교
2) 국내 산업용 섬유산업 구조변화와 경쟁력 분석
(1) 수요산업과의 연관구조 분석
가. 수요산업에서 섬유 소비구조
나. 산업용 섬유 국산화율 분석
(2) 국내 산업용 섬유 생산여건 및 구조 분석
가. 산업용 섬유 생산여건 현황
나. 국내 산업용 섬유 생산구조 분석
(3) 국내 산업용 섬유 수출입 구조 분석
가. 무역수지 현황
나. 수출 현황
다. 수입 현황
(4) 기업경영상 애로요인 분석
가. 기업경영
나. 생산활동
다. 내수 마케팅
라. 수출
마. 설비투자
바. 인력확보
(5) 국내 산업용 섬유산업의 경쟁력 분석
가. 산업용 섬유 업계의 혁신역량 평가
나. 기술 및 지식경쟁력 분석
다. 무역성과를 통한 국제경쟁력 분석
2. 산업용 섬유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1) 중국의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 및 육성정책
가.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
나. 산업용 섬유산업 육성정책
(2) 일본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 및 육성정책
가. 고기능성 산업용 섬유 현황
나. 주요 산업 용도별 현황
다. 화섬업체들의 중장기 경영계획
라. 일본의 산업용 섬유 정책방향
(3) 유럽의 산업용 섬유 기술개발 정책
가. 섬유산업 현황
나. 유럽의 산업용 섬유 기술개발 정책
2) 국내 산업용 섬유산업 정책 동향
(1) 산업용 섬유산업 정책 현황
가. 정부의 R&D 지원 현황
나. 정부의 산업용 섬유 기반구축사업 현황
(2) 산업용 섬유산업 정책 평가
가. 사업성과
나. 사업의 문제점
3. 고기능성 섬유소재 산업 현황 분석
1) 기능성 섬유소재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4) 산업 특징 및 구조
2) 기능성 섬유소재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외 업체 현황
가.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3) 기능성 섬유소재 특허 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제Ⅱ편 고성능ㆍ고기능성 섬유
제1장 극한성능 슈퍼섬유 기술개발 동향
1. 슈퍼섬유 개요
1) 슈퍼섬유 정의와 범위
(1) 정의
(2) 범위
가. 관점별 분류
나. 특성별 분류
2) 슈퍼섬유 제조방법과 물성
(1) 슈퍼섬유의 고배향성을 위한 제조방법
가. 액정방사
나. 젤방사
(2) 슈퍼섬유의 물성
3) 슈퍼섬유의 용도
(1) 항공우주 분야
(2) 자동차 및 자전거 분야
(3) 스포츠 분야
(4) 토목건축 분야
(5) 정보통신 분야
4) 슈퍼섬유의 특성
(1) 고성능 섬유의 개요
(2) 고강도ㆍ고탄성 섬유
가. 탄소섬유의 분류와 특성
나. 파라-아라미드의 특성과 용도
다. 고강력 PE 섬유의 특성과 용도
라.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의 특성
마. PBO 섬유의 특성
(3) 고내열ㆍ난연 섬유
가. 메타-아라미드 섬유의 특성과 용도
나. 불소섬유의 특성과 용도
다. PPS 섬유의 특성과 용도
라. 멜라민 섬유의 특성
2. 슈퍼섬유 산업 현황과 발전 동향
1) 슈퍼섬유 시장 구조
2) 슈퍼섬유 시장 현황
(1) 탄소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2) 파라-아라미드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3) 고강력 PE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4)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5) PBO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6) 메타-아라미드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7) 불소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8) PPS(Polyphenylene sulfide)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9) 멜라민 섬유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현황
3) 국내 슈퍼섬유 생산 전망
4) 슈퍼섬유의 수요확대 전망
5) 슈퍼섬유 기술개발 동향
3. 극한성능 섬유 기술개발 및 산업 동향
1) 세계 극한성능 섬유 기술개발 및 생산 동향
(1) 분류 및 특성
가. 분류 방식
나. 특성
(2) 성능 및 가격
(3) 기술개발 동향 및 생산 현황
가. Aramid 섬유
나. 탄소섬유
다.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섬유
라. Fluoropolymer 섬유
마. PBI 섬유(Polybenzimidazole fiber)
바. PI 섬유(Polyimide fiber)
사. PAI 섬유(Polyamideimide fiber)
아. Novoloid 섬유
자. Polyarylate 섬유
차. PBO 섬유(Poly-p-phenylene benzobisoxazole fiber)
카. PPS 섬유(Polyphenylene Sulfide fiber)
타. PVA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
2) 국내 극한성능 섬유소재의 생산기술 수준 및 산업동향
(1) 전기자동차 Body Frame용 탄소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2) 고기능성 공중합 아라미드 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3) 방호용 초고강도 PE UD sheet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4) 초내열성 벤즈옥사졸계 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5) 고성능 폴리아조메틴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6) 용융방사형 액정 폴리에스터 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7) 방재용 고강력 PET 섬유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8) 에너지산업용 나노섬유소재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9) 해양용 고성능 섬유복합소재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10) 해양용 고성능 섬유복합소재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4. 산업안전보호 섬유 시장 전망과 개발 방향
1) 안전보호 섬유의 개요
2) 국내 산업재해 및 화재발생 현황 분석
3) 산업안전보호 섬유 시장 동향
4)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 개발 방향
5)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발전방안
제2장 스마트섬유 기술개발 동향
1. 섬유-IT융합 산업 동향과 발전 방향
1) 섬유-IT융합 개요
(1) IT융합 섬유의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범위
(2) IT융합 섬유의 특성
가. 기술성
나. 시장성
(3) IT융합 섬유의 발전과정 및 경쟁 환경, 관련 산업과의 연관성
가. 발전과정
나. 경쟁환경
2) 섬유-IT융합 기술 목표 및 핵심 기술
(1) 섬유-IT융합 기술 목표
(2) 주요 섬유-IT융합 핵심 기술
가. 전도성 원사
나. 직물부품
다. 연결 기술
라. 직물기반 회로 기술
마. 통신 및 시스템 기술
바. 응용 컨텐츠
3) 국내외 섬유-IT 시장 현황 및 전망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4) 국내외 섬유-IT 기술개발 추진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기타
(2) 국내 현황
5) 섬유-IT융합 기술 발전 방향 및 전략
2. 스마트섬유의 종류와 응용분야
1) 스마트섬유의 정의 및 구분
(1) 정의
(2) 구분
2) 스마트섬유 분류 및 종류
(1) 스마트섬유 분류
가. 패시브 스마트(Passive SMART) 섬유
나. 액티브 스마트(Active SMART) 섬유
다. Intelligent 스마트 섬유
(2) 스마트섬유 소재의 분류
(3) 전도성 섬유의 종류 및 특징
가. 1세대
나. 2세대
다. 3/4세대
3) 스마트섬유 기술 분류 및 응용분야
(1) 용도 및 기술 분류
가. 헬스케어용 스마트섬유 및 제품
나. 안전/보안용 스마트섬유 및 제품
다. Human-Machine Interactive 스마트섬유 및 제품
(2) 응용분야
가. 개인보호
나. 건축
다. 운송
라. 스포츠, 피트니스
마. 건강ㆍ의료
바. 군사
사. 헬스케어
아. 패션, 엔터테인먼트
3. 스마트섬유 기술 및 특허 동향
1) 스마트섬유 시장 동향
(1) 시장 구조
(2) 국내외 시장 동향
2) 국내외 스마트섬유 기술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기술개발 필요성
가. 미래 섬유산업의 핵심 분야
나.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생산기반 혁신
다. 스마트섬유 관련 주요국의 국가주도 연구사례
3) 국내외 스마트섬유 특허 동향
(1) 지역
(2) 분야
4. 전자섬유 기술개발 동향
1) 전자섬유 구성형태 및 참여기업
(1) 구성 형태
(2) 참여기업과 가치사슬
2) 전자섬유 응용 분야
3) 국내외 전자섬유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현황
가. 유럽
나. 미국
(2) 국내 현황
5. 스마트의류 기술개발 동향
1) 웨이러블 디바이스 시장 및 기술 동향
(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의 및 특성
(2)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 및 기능
가. 피트니스, 웰빙 기능(Fitness and Wellness)
나. 헬스케어, 의료(Healthcare and Medical) 기능
다.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라. 산업?군사(Industrial and military)
(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와 응용 분야
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
나. 웨어러블 전자기기 응용 분야
(4) 웨어러블 디바이스 세계 시장 현황
(5) 웨어러블 디바이스 업계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6)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적 메커니즘 및 주요 기술
가. 기능적 메커니즘 및 주요 기술
나. Chasm을 극복하기 위한 주요 사항
다. 향후 응용 분야
2) 스마트의류의 개념 및 기술
(1) 개념
(2) 주요 기술
(3) 스마트의류의 부상
3) 스마트의류 활용 분야 및 주요 사례
(1) 헬스케어
(2) 일상/패션
(3) 특수 분야
4) 센서 기능이 있는 스마트 의류
(1) 옷을 모션 센서로 바꿔주는 스마트 텍스타일
(2) 노턴과 협업해 RFID 신호 차단 기능을 갖춘 의류
(3) 모든 사물에 적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스마트 패브릭 센서
(4) 건강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
5) 직물/의류 일체형 웨어러블 컴퓨터 개발 동향
(1) 특성
(2) 시장규모
(3) 해외 개발 동향
가. 스마트의류
나. 센서의류
다. 휴대폰과 LED 부착 드레스
(4) 국내 개발 동향
가. 연구소
나. 대학
다. 기업
제3장 나노섬유 응용 및 나노기술개발 현황
1. 나노섬유의 개요
1) 나노섬유의 정의
2)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 단성분 방사
(2) 다성분 방사(복합방사, top-down 방식)
(3) 부직포 방사(bottom-up 방식)
(4) 에어제트 방사
(5) 플래시 방사
3) 전계방사 장치
4) 나노섬유의 종류
(1) 고분자 나노섬유
(2) 탄소 나노섬유(Carbon Nanofiber)
(3) 기타 나노섬유
5) 나노섬유의 특징
(1) 나노사이즈
(2) 초분자 배열
2. 전계방사 나노섬유의 응용 분야
1) 필터 소재
(1) 공기필터
(2) 정수필터
(3) 연료필터
2) 방호기능 소재
3) 활성탄소 소재
4) 에너지 저장기능 소재
5) 항균성 나노섬유
6) 생체 및 조직공학용 소재
(1) 상처 치료
(2) 약물 수송 및 방출
7) 템플릿
8) 직물
9) 촉매
10) 에너지용 나노섬유
(1) 전지용 나노섬유
(2) 에너지 저장/변환용 나노섬유
11) 수퍼캐패시터용 전극
12) 고감도 전개방사 센서
3.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 동향
1) 기능성 나노소재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범위
2)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3) 기능성 나노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 현황
4) 기능성 나노소재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2) 국내 업체 동향
5) 기능성 나노소재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4. 나노기술 산업 동향 및 기술개발 현황
1) 나노기술의 개요
(1) 정의 및 적용분야
가. 정의
나. 주요 적용분야
(2) 나노 시장의 급격한 성장
(3) 나노기술의 산업화 동향 7
2) 나노기술의 국내 역량 분석
(1) 나노기술 경쟁력
가. 지속적인 투자
나. 기술수준
다. 인프라
(2) 나노산업 현황
가. 빠르게 성장 중인 초기 산업
나.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
다. 나노전자가 성장 주도
(3) 해외 투자 및 시장 동향
가. 정부 R&D 투자는 일정수준 유지, 기업 투자는 확대
나. 나노기술 적용제품 시장의 급격한 성장
(4) 나노기술 사업화 현황
가. 기업의 기술혁신 의지 환경
나. 정부의 공동 투자 등 위험 분담 수요
다. 나노기술 사업화 장애요인
3) 나노기술개발 관련 정책 및 사업 추진 현황
4) 국내외 나노기술 정책 및 산업 동향
(1) 나노기술 분야의 특징 및 중요성
(2) 주요 국가 및 국내 나노기술 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3) 우리나라의 나노기술 개발 동향
(4) 나노융합산업 동향
가. 나노융합산업
나. 나노융합산업 국제 동향
다. 주요 국가의 나노융합산업 정책 동향
라. 국내 나노융합산업 정책 동향
5)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및 산업화 성과 분석
(1) 주요 연구개발성과
(2) 주요 산업화 성과
제4장 탄소섬유강화복합재 기술 동향
1. 탄소섬유강화복합재(CFRP) 개요
1) 탄소섬유 정의 및 용도
(1) 정의
(2) 용도
(3) 종류
(4) 사용실태
(5) 수요와 전망
2)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정의 및 특성
(1) 정의
(2) 구분
(3) 비강도와 비탄성률
(4) 산업 특성
2. 탄소섬유강화복합재(CFRP)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시장 현황과 전망
2) 탄소섬유강화복합재 기술개발 동향과 방향
(1) 기술 동향
가. 원가절감
나. 제품 다양화
(2) 기술개발 방향
가. Cost Down
나. 신제품 개발
다. 기반기술
3. 탄소섬유강화복합재(CFRP) 생산장비 및 자동화 기술 동향
1) 기술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기술의 필요성
2)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생산 자동화 시장 동향
3)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생산 자동화 기술 특징
4)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생산 자동화 기술 동향
(1) 탄소섬유 소재 준비공정
(2) 탄소섬유 프리폼 자동화
가. Dry Fiber Preform 자동화 기술
나. Tow/Tape prepreg Preform 자동화 기술
다. Braided preform 자동화 기술
라. CFRP 성형공정 자동화
마. BMW社의 i3/i8 차체 제작 자동화 공정 분석
(3) 탄소섬유강화복합재 생산 자동화 기술 발전 방향
제5장 에코섬유 기술개발 동향
1. 에코섬유의 개요
1) 에코섬유의 정의
2) 에코섬유의 분류
2. 에코섬유 산업 동향
1) 에코섬유 산업의 환경 변화
(1) 환경ㆍ에너지 문제의 심화에 따른 대외 환경변화
(2) 에코섬유에 대한 새로운 요구
2) 에코섬유의 시장동향
3) 선진국 및 기업 환경대응 동향
(1) 미국
(2) 일본
(3) 듀퐁
(4) 인비스타
3. 에코섬유 기술개발 동향
1) 에코 합성섬유에 관련된 해외 기술개발 현황
(1) 미국
(2) 일본
2) 기타 에코섬유소재
(1) Organic Cotton
(2) Organic Hemp
(3) Bamboo Fiber
4. 생분해성 섬유의 개발과 전망
1) 생분해성 섬유의 시장 동향
2) 생분해성 섬유의 개발
(1) 생분해성수지의 복합섬유화 기술
(2) 부직포로의 가공성
3) 생분해성 섬유의 용도 확장
(1) 생분해성 섬유의 기능
(2) 용도 전개 사례와 전망
5. 국내ㆍ외 섬유제품 에코라벨 동향
1) 에코라벨의 개념
2) 국내ㆍ외 에코라벨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6. 에코섬유 육성 필요성
1) 기술개발 필요성
(1) 섬유산업의 환경 및 에너지 사용 현황
(2) 국내 섬유산업의 에코섬유의 현황
가. 시장 동향
나. 기술 동향
(3) 해외 성공사례
(4) 선진국의 정부 지원 사례
2) SWOT 분석
(1) SO 전략(공격적 전략)
(2) ST 전략(다각화 전략)
(3) WO 전략(방향전환 전략)
(4) WT 전략(최소화 전략)
7. 에코섬유 산업의 발전비전 및 기대효과
1) 발전비전 및 목표
(1) 에코섬유 산업의 미래상
(2) 발전비전 및 중장기 목표
(3) 에코섬유의 목표와 추진방향
2) 에코섬유 기술개발의 경제적 기대효과
통계(도표)

도서소개

본서는 첨단 산업용 섬유에 해당하는 슈퍼섬유, 스마트섬유, 나노섬유, 탄소섬유 강화복합재의 국내ㆍ외 산업동향과 관련 기관들의 최신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ㆍ고성능ㆍ고기능성 섬유산업별 실태분석 -슈퍼/스마트/나노/CFRP/에코섬유-ㆍ 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섬유산업의 국가별 주요 산업 동향과 기능성 섬유소재의 시장 및 특허출원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고기능성 섬유인 슈퍼섬유, 스마트섬유, 나노섬유, 탄소섬유 강화복합재 및 환경친화성 기반 에코섬유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을 수록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